KR200214345Y1 -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345Y1
KR200214345Y1 KR2020000026258U KR20000026258U KR200214345Y1 KR 200214345 Y1 KR200214345 Y1 KR 200214345Y1 KR 2020000026258 U KR2020000026258 U KR 2020000026258U KR 20000026258 U KR20000026258 U KR 20000026258U KR 200214345 Y1 KR200214345 Y1 KR 200214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moke
hood
corrugated pipe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설
Original Assignee
김지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설 filed Critical 김지설
Priority to KR2020000026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345Y1/ko

Link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Abstract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등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주방용 연기배출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가스레인지(50)의 상부에는 연기 등을 배출시키는 통로인 덕트(30)와, 덕트내에 연기를 흡입시키는 환풍팬(33)이 설치되어 있다. 덕트에는 흡입구인 그릴(32)이 형성되어 있고, 그릴 내측에는 필터(3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이 덕트(3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가스레인지에 근접되도록 수축/확장 가능한 후드(20)가 마련되어 있다. 후드는 상부프레임(21)과 하부프레임(22)을 구비하고, 상/하부프레임 사이를 수축/확장되는 주름관(23)으로 연결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주름관(23)은 경량인 알루미늄호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1)에는 고리공(27)을 형성하고, 이 고리공(27)에 걸려지는 걸고리(26)를 하부프레임에 설치하여서, 주름관의 수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관은 하부프레임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확장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기배출장치는 후드를 기존의 덕트에 간편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연소장치에 후드를 근접시킴으로써 저용량의 환풍팬으로도 연기 등의 흡입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주방용 연기배출장치{smoke exhaust apparatus}
본 고안은 주방용 연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주방용 덕트와 가스레인지간의 간격이 큼에 따른 연기의 낮은 흡입배출효율을 위해서 이미 설치된 주방용 덕트 또는 찬장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하고 수축/확장이 가능한 주방용 후드를 채용함으로써 연기의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연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의 조리시에는 연기, 수증기 및 음식냄새 등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요소들은 실내의 폐쇄된 공간으로 확산되어 거주자들의 안락한 휴식을 방해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주방에서 발생되는 상기한 요소들의 배출을 위한 연기배출장치가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기배출장치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연소장치인 가스레인지(15)의 상부에 연기, 수증기 및 음식냄새의 배출통로인 덕트(10)가 마련되어 있고, 덕트(10) 내부에는 음식의 조리시에 발생되는 상기한 요소들을 흡입시키는 환풍팬(13)이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덕트(10)의 입구측에는 그릴(12)이 형성되어 있고, 분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시키는 필터(11)가 마련되어 있다. 참조번호 14는 용기 등을 수용시키는 찬장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통상의 연기배출장치는 가스레인지(15)와 덕트(10)사이의 간격차이가 커서 발생되는 연기의 일부가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어 연기배출장치의 설치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배출되는 연기 등의 완전한 흡입을 위해서는 용량이 큰 환풍팬(13)이 요구되고, 이 경우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음식의 조리시에 발생되는 연기, 수증기 및 냄새 등을 실내공간으로 확산시키지 아니하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주방용 연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연소장치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시에 발생되는 연기 등을 배출시키는 통로인 덕트와, 덕트내에 마련되어 연기를 흡입시키는 환풍팬을 구비한 주방용 연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연소장치에 근접되도록 수축/확장 가능한 후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드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하부프레임 사이를 수축/확장되는 주름관으로 연결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부프레임에는 고리공을 형성하고, 이 고리공에 걸려지는 걸고리를 하부프레임에 설치하여서, 음식조리를 하지 않을 때에는 주름관의 수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주름관은 하부프레임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확장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주름관의 일측면은 주방벽체에 평행하게 하고, 타측면은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한편, 후드는 덕트에 양면테이프등의 접착제로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볼트등으로 덕트의 측부에 위치한 찬장 등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연기배출장치에 채용되는 후드는 기존의 덕트에 간편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에만 연소장치측으로 주름관을 확장시켜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연소장치에 근접시킴으로써 저용량의 환풍팬으로도 연기 등의 흡입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연기배출장치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연기배출장치에 채용되는 후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연기배출장치의 작동도,
도 5는 후드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후드 21,22...상,하부프레임
23...주름관 30...닥트
33...환풍팬 40...찬장
50...가스레인지 60...벽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소장치(이하 가스레인지라한다;50)의 상부에는 조리시에 발생되는 연기 등을 배출시키는 통로인 덕트(30)와, 덕트(30)내에 마련되어 연기를 흡입시키는 환풍팬(33)이 설치되어 있다. 덕트(30)에는 흡입구인 그릴(32)이 형성되어 있고, 그릴(32) 내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시키는 필터(3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의 연기배출장치는 용기 등을 수용하는 찬장(40) 등과 인접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일단이 상기 덕트(3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가스레인지(50)에 근접되도록 수축/확장 가능한 후드(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드(20)는 상부프레임(21)과 하부프레임(22)을 구비하고, 상/하부프레임(20)(21) 사이를 수축/확장되는 주름관(23)으로 연결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주름관(23)은 경량인 알루미늄호일로 형성되며, 또한 하부프레임(22)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시 주름관(23)의 확장상태를 유지시키고 열로부터 안정한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1)에는 고리공(27)을 형성하고, 이 고리공(27)에 걸려지는 걸고리(26)를 하부프레임(22)에 설치하여서, 음식조리를 하지 않을 때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23)의 수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주름관(23)은 하부프레임(22)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확장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23)의 일측면은 주방벽체(60)에 평행하게 하고, 타측면은 40°내지 50°경사지게 형성하였다. 이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50)에 올려놓은 조리용기의 주변까지 후드(20)의 하부측에 위치시키므로써 실내공간으로 연기 등을 확산시키지 아니하고 후드(2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드(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30)에 양면테이프(28)의 접착제로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찬장(40)등에 고정볼트(45)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정기간 사용후 후드(20)내부에 기름때 등의 오염물질이 존재할 때 간단하게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하며, 또한 분리후 청소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연기배출장치는 후드를 기존의 덕트에 간편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에만 연소장치측으로 주름관을 확장시켜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연소장치에 후드를 근접시킴으로써 저용량의 환풍팬으로도 연기 등의 흡입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연소장치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시에 발생되는 연기 등을 배출시키는 통로인 덕트와, 덕트내에 마련되어 연기를 흡입시키는 환풍팬을 구비한 주방용 연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연소장치에 근접되도록 수축/확장 가능한 후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연기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하부프레임 사이를 수축/확장되는 주름관으로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고리공을 형성하고, 이 고리공에 걸려지는 걸고리를 하부프레임에 설치하여서, 음식조리를 하지 않을 때에는 주름관의 수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하부프레임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확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의 일측면은 주방벽체에 평행하게 하고, 타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덕트에 양면테이프의 접착제로 부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고정볼트로 덕트의 측부에 위치한 찬장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KR2020000026258U 2000-09-19 2000-09-19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KR200214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58U KR200214345Y1 (ko) 2000-09-19 2000-09-19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58U KR200214345Y1 (ko) 2000-09-19 2000-09-19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345Y1 true KR200214345Y1 (ko) 2001-02-15

Family

ID=7308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258U KR200214345Y1 (ko) 2000-09-19 2000-09-19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3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28B1 (ko) 2016-11-30 2018-01-29 안귀숙 주방용 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28B1 (ko) 2016-11-30 2018-01-29 안귀숙 주방용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609B2 (en) Low-profile ventilation hood
KR20180099393A (ko) 포터블 후드
KR100946802B1 (ko) 렌지후드 조립체
KR200214345Y1 (ko) 주방용 연기배출장치
JP5577059B2 (ja) 整流板および整流板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20020072760A (ko) 주방용 배기 후드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JPS5951294B2 (ja) 焼肉用コンロに於ける冷却除煙装置
EP1630477A1 (en) kitchen exhaust hood
JP3490874B2 (ja) 調理用排気装置
CN220958611U (zh) 一种吸油烟机
JP3472370B2 (ja) 厨房室の換気装置
JP2008093112A (ja) 無煙ロースター及びそれに用いる吸煙グリル
KR100705716B1 (ko) 팬 없이 히터 가열의 상승기류 발생하여 배기 가능한 후드
CN216203637U (zh) 一种室内外气压平衡灶
KR200208950Y1 (ko) 레인지 후드
JP2500022B2 (ja) 調理用排気設備及びその設置方法
JPS5930816Y2 (ja) 換気装置
JP3316618B2 (ja) 厨房用排気装置
KR200248735Y1 (ko) 상하부 배기구조를 가진 레인지 후드
KR100289266B1 (ko) 조리용 배기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2355229Y (zh) 箱体油烟循环净化器
JP2007315725A (ja) レンジフード
JP2002267223A (ja) 台所用循環送風装置及び台所用換気システム
JPS6332217A (ja) 厨房器用エヤ−シヤツ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