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75Y1 -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 Google Patents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75Y1
KR200213475Y1 KR2019980028313U KR19980028313U KR200213475Y1 KR 200213475 Y1 KR200213475 Y1 KR 200213475Y1 KR 2019980028313 U KR2019980028313 U KR 2019980028313U KR 19980028313 U KR19980028313 U KR 19980028313U KR 200213475 Y1 KR200213475 Y1 KR 200213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ack
circuit
pack unit
pai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936U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80028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7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9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75Y1/ko

Links

Landscapes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스템에서 두 개의 회로팩 유니트가 하나의 세트(Set)로 구성되어 동작하는 경우, 세트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는지 확인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회로팩 유니트에 적합한 IO(Input Output)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는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시스템에서 한 쌍이 연결되어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의 풀업 저항과,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의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의 신호 경로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의 점퍼 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로팩 유니트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를 사용하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컨넥터의 단자를 점퍼 선으로 연결함으로서, 한 쌍의 회로팩임을 확인 할 수 있고, 또한, 점퍼선 대신에 전류의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는 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서, 경우의 수를 늘릴 수 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이는 만큼의 저가격화의 효과, 부품의 불량에 의한 불량 발생을 줄이는 효과, 생산성 향상의 효과 및 회로팩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본 고안은 시스템에서 두 개의 회로팩 유니트가 하나의 세트(Set)로 구성되어 동작하는 경우, 세트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는지 확인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회로팩 유니트에 적합한 IO(Input Output)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는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에서 하나의 회로팩 유니트로 필요한 기능을 모두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또 하나의 회로팩 유니트는 입출력(IO)을 담당하는 보조 회로팩 유니트로 구성하여, 주 회로팩 유니트와 한 쌍(Pair)의 회로팩 유니트를 이루어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한 쌍(Pair)의 회로팩 유니트가 모두 실장 되었는지 확인하는 기능은 주 회로팩 유니트에서 확인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를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도 이다.
한 쌍(Pair)으로 구성된 시스템 회로팩 유니트 중에서, 주(Main) 기능을 하는 회로팩 유니트(10)와,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10)의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보조(Sub) 회로팩 유니트(20)로 구성되는 세트 회로팩의 실장 상태를 확인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10)의 실장 상태 확인 회로는,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와 동일한 세트 회로팩의 구분 번호를 기록하는 제1 주소부(30)와, 상기 제1 주소부(30)의 신호를 일측단의 입력 신호로서 인가 받고, 다른 일측단은 풀업(Pull Up) 저항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와 연결되어 배타적 오어 연산을 하는 기능의 다수의 배타적 오어(EX-OR) 게이트(41∼47)와, 상기 다수의 EX-OR 게이트(41∼47)의 출력을 입력으로 인가 받고 오어 연산하는 기능의 오어 게이트(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의 실장 상태 확인 회로는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와 동일한 세트 회로팩의 구분 번호를 기록하는 제2 주소부(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10)와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의 실장 상태 확인 회로는 컨넥터를 통하여 용이하게 접속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실장 상태 확인 회로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의 컨넥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주소부(60)의 4 단자는 그라운드(GND)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단선 상태(OPEN)를 이루어 고유의 주소를 형성하고,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10)의 제1 주소부(30)의 4 단자도 상기 제2 주소부(60)와 동일한 구조의 고유 주소를 갖고 있으며, 상기 EX-OR 게이트(41,43,45,47)의 일측단 입력에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EX-OR 게이트(41,43,45,47)의 다른 일 측의 입력단은 각각 풀업 저항과 연결되어 있고, 이와 동시에 컨넥터를 통하여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의 제2 주소부(60)와 연결된다.
상기 풀업 저항은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탈장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EX-OR 게이트(41,43,45,47)를 보호하면서 하이 레벨의 입력 신호를 상기 다수의 EX-OR 게이트(41,43,45,47)에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주 회로팩 유니트(10)와 컨넥터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제1 주소부(30)와 제2 주소부(60)의 주소가 동일함으로, 상기 다수의 EX-OR 게이트(41,43,45,47) 입력단에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어 출력이 모두 로우 레벨이 되고, 오어 게이트(50)의 입력이 모두 로우 레벨이므로 상기 오어 게이트(50)의 출력 또한 로우 레벨이 되어 한 쌍(Pair)의 회로팩 유니트는 일치되게 구성되어 있음을 RIGHT 신호로서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다른 기능의 보조 회로팩 유니트(20)로 실장 되면, 상기 제2 주소부(60)의 주소와, 상기 제1 주소부(30)의 주소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고, 상기 다수의 EX-OR 게이트(41,43,45,47) 입력단에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되어 어느 하나의 EX-OR 게이트(41,43,45,47)의 출력이라도 하이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오어 게이트(50)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일치하지 않는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실장 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탈장되는 경우는 상기 풀업 저항에 의하여, 하이 레벨의 신호가 상기 다수의 EX-OR 게이트(41,43,45,47) 일측 입력단에 일률적으로 인가됨으로, 상기 다수의 EX-OR 게이트(41,43,45,47)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고, 따라서, 오어 게이트(50)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어, 보조 회로팩 유니트가 비정상임을 표시한다.
또한, 보조 및 주 회로팩 유니트(20,10)의 주소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주소부(30,60)의 단자가 4개이므로 24인 16가지의 조합으로 운용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한 쌍(Pair)의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는지 판단하는 회로는, 다수의 EX-OR 게이트 및 오어 게이트, 다수의 풀업 저항 및 주소부의 구성이 필요한 등의 비교적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기술과 같이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회로에 있어서, 다수의 EX-OR 게이트, 오어 게이트 다수의 풀업 저항 등이 필요하였던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부품 소자가 필요 없이 쉽게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는지 판단 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도1 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도 이고,
도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이고,
도3 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주 회로팩 20 : 보조 회로팩
30,60 : 주소부 41,43,45,47 : EX-OR 게이트
50 : 오어 게이트 100 : 풀업 저항
110 : 컨넥터 120 : 점퍼선
130 : 다이오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별도의 부품 소자가 필요하지 않고 컨넥터의 각 단자를 연결만 함으로서 용이하게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구성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스템에서 한 쌍이 연결되어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의 풀업 저항과,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의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의 신호 경로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의 점퍼 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를 설명한다.
도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이고, 도3 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이다.
상기의 도면에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였다.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10,20)로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팩이 시스템에 정상 실장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10,20)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의 풀업 저항(100)과,
상기 풀업 저항(100)으로부터 인가되며,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10,20)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의 컨넥터(110)와,
상기 컨넥터(110)의 각 단자를 서로 연결함으로서, 상기 풀업 저항(100)으로부터 인가된 신호가 통과하는 경로의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의 점퍼선(12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유니트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주 회로팩 유니트(10)와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주 회로팩 유니트(10)의 실장 상태 확인 회로는 컨넥터(110)의 일측 단자가 풀업 저항(100)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한 쌍의 회로팩이 정상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확인 단자(Right)로 사용되고, 다른 일측 단자는 접지(GND)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10)와 한 쌍을 이루는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의 컨넥터(110)에서는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10)의 풀업 저항(100)이 연결된 단자와, 접지(GND)와 연결된 단자에 상응하는 컨넥터(110)의 단자를 점퍼(Jumper) 선(120)을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2 에 다수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주 회로팩 유니트(10)와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한 쌍을 이루는 경우, 컨넥터(110)의 연결 상태에 의하여, 상기 주 회로팩 유니트(10)의 풀업 저항(100)이 공급하는 신호는 상기 풀업 저항(100)이 연결된 컨넥터(120) 단자를 통하고, 보조 회로팩 유니트(20)의 점퍼선(120)을 통하여 다시 컨넥터(110)로 인가되고, 주 회로팩 유니트(10)의 접지(GND)를 통하여 흐르므로, 상기 출력 단자(Right)는 로우 레벨의 신호, 즉, 한 쌍의 정상적인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의 도2 에서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보조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점퍼선(120)의 위치가 다르거나 또는 점퍼선(120)이 없으므로 인하여, 상기 풀업 저항(100)을 통하여 인가된 하이 레벨의 신호는 출력선(Right)에 인가되어 출력선(Right)에 하이 레벨의 신호, 즉, 일치하지 않는 보조 회로팩 유니트(20) 또는 보조 회로팩 유니트(20)가 실장 되지 않았음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컨넥터의 단자가, 일 실시예로서 4개이므로, 경우의 수는 24= 16이므로, 16가지의 종류를 구분 할 수 있으며, 컨넥터의 단자를 늘리면 더 많은 경우의 수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도3 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점퍼선(120)대신에 다이오드(130)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풀업 저항(100)으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 도2의 일 실시예보다 2배의 경우의 수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컨넥터(110)의 단자를 점퍼선(120) 또는 다이오드(130)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서,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실장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로팩 유니트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를 사용하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컨넥터의 단자를 점퍼 선으로 연결함으로서, 한 쌍의 회로팩임을 확인 할 수 있고, 또한, 점퍼선 대신에 전류의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는 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서, 경우의 수를 늘릴 수 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이는 만큼의 저가격화의 효과, 부품의 불량에 의한 불량 발생을 줄이는 효과, 생산성 향상의 효과 및 회로팩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스템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에 있어서,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의 풀업 저항과,
    한 쌍의 회로팩 유니트가 정상적으로 실장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의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의 신호 경로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의 점퍼 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 선은 다이오드로 이루어짐으로서, 경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KR2019980028313U 1998-12-31 1998-12-31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KR200213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13U KR200213475Y1 (ko) 1998-12-31 1998-12-31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13U KR200213475Y1 (ko) 1998-12-31 1998-12-31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36U KR20000014936U (ko) 2000-07-25
KR200213475Y1 true KR200213475Y1 (ko) 2001-03-02

Family

ID=6950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313U KR200213475Y1 (ko) 1998-12-31 1998-12-31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847B1 (ko) * 2000-06-23 2002-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프의 유니트 실탈장 판별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36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6383B2 (en) Variable length backplane bus
US4468612A (en) Arrangement for indicating when different types of electrical components are interconnected
CN101273507A (zh) 保护ic组件的系统和方法
US4042832A (en) Logic board interlock indication apparatus
KR200213475Y1 (ko) 회로팩 유니트의 정상 실장 상태 확인 회로
US6661236B2 (en) Method of initializing a pluggable electrical unit
US6870372B2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of comparator
US6952788B2 (en) 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 programming cable
US5876238A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integrity of a blind autodock electrical connection
KR100279198B1 (ko) 2개의 집적회로를 갖춘 플레이트
JPH02246561A (ja) 通信装置間の障害検出方式
JP2002510903A (ja) バスシステムでデジタル電圧信号を発生する信号化最終段
US6703841B2 (en) Method for detecting a discontinuity in the electrical connections of a microchip and circuit using said method
JP2802760B2 (ja) コネクタ抜け検出回路
JPH01154546A (ja) 端子開放検出回路半導体装置
JP2830486B2 (ja) 通信装置
US5446399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a fault-free input configuration control mechanism
US5347182A (en) Device for indicating that an optional component is mounted on a board
JP3769986B2 (ja) 電子システム
JPH04194672A (ja) プリント基板の誤接続検出装置
JP2941082B2 (ja) Icメモリカード処理装置
JPH06295214A (ja) システム・バス装置
JP2820337B2 (ja) パッケージ挿抜検出回路及びそれが配設されたパッケージ
JPH06500675A (ja) 負荷回路の断線を検出する手段を備える回路装置
JPS60252932A (ja) ユニツト誤插入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