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831Y1 - 테이블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831Y1
KR200212831Y1 KR2020000025894U KR20000025894U KR200212831Y1 KR 200212831 Y1 KR200212831 Y1 KR 200212831Y1 KR 2020000025894 U KR2020000025894 U KR 2020000025894U KR 20000025894 U KR20000025894 U KR 20000025894U KR 200212831 Y1 KR200212831 Y1 KR 200212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transfer
drive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전
Original Assignee
박준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전 filed Critical 박준전
Priority to KR2020000025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831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정해진 궤도에서 테이블 세트를 이송하도록 된 테이블 이송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자유곡선을 이루어 설치되는 안내부재(20); 상기 테이블 세트(10)가 상면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구동륜(42)과 조향부(60)가 설치되며, 궤도이탈방지부재(70)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재(20)에 의해 일정한 궤도로 이동하기 위한 이송부재(30);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륜(4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및 상기 이송부재(3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방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40)를 제어하기 위한 거리감지부(5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카페나 음식점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테이블 세트(10)를 자유곡선으로 된 일정한 궤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향시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송부재(30)를 자체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송부재(30)의 안내와 이송을 위한 고가의 구조물이 삭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이송부재(30)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되면서도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이송될 수 있고, 반경이 작은 곡선부위도 무리없이 통과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블 이송장치{TABLE TRANSPORTATION DEVICE}
본 고안은 테이블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테이블 세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가 자체 구동되면서 스스로 조향되어 자유곡선으로 된 궤도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테이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커피숍, 레스토랑, 카페 등과 같은 공간에는 손님이 앉는 테이블 세특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정해진 전망 또는 인테리어 만을 접하도록 된다.
최근에는 대형 회전판 위에 다수개의 테이블 세트를 설치한 후,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 세트의 위치 변동은 가능하였으나, 상기 회전판이 그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있을 경우에는 어지럼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모든 테이블 세트가 대형 회전판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회전되는 테이블을 이용하기 꺼려하는 손님도 선택의 여지없이 회전되는 테이블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레일과 소형 기차를 설치하여 소형 기차에 손님을 태우고 일정 궤도를 이동하도록 된 구조가 놀이공원 등에 설치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넓은 공간이 필요로 하였고, 다수개의 객차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원의 동력이 크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관(ENGINE)일 경우에는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식당, 카페와 같은 소 공간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테이블 이송장치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으나, 상기한 테이블 이송장치는 반드시 고가의 'I'자형상의 레일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선출원된 테이블 이송장치는 반경이 작은 코너부위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카페나 음식점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테이블 세트를 자유곡석으로 된 궤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향시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송장치를 자체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송부재의 안내와 이송을 위한 고가의 구조물이 삭제될 수 있는 테이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이송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되면서도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이송될 수 있는 테이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정해진 궤도에서 테이블 세트를 이송하도록 된 테이블 이송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자유곡선을 이루어 설치되는 안내부재; 상기 테이블 세트가 상면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구동륜과 조향부가 설치되며, 궤도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일정한 궤도로 이동하기 위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및 상기 이송부재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방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거리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궤도이탈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블 세트 20 : 안내부재
30 : 이송부재 40 : 구동부
50 : 거리감지부 60 : 조향부
70 : 궤도이탈방지부재 80 : 캐스터부재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의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궤도이탈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는 바닥에 자유곡선을 이루어 설치되는 안내부재(20)와 상기 테이블 세트(10)가 상면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구동륜(42)과 조향부(60)가 설치되며, 궤도이탈방지부재(70)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재(20)에 의해 일정한 궤도로 이동하기 위한 이송부재(30)와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륜(4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와, 상기 이송부재(3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방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40)를 제어하기 위한 거리감지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재(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폭을 갖는 자석 또는 컬러테이프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닥에 일정한 폭으로 도포되는 컬러페인트(컬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될 경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안내부재(20)는 후술할 궤도이탈방지부재(70)의 라인감지센서(72)가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면 충분한 것이다.
상기 이송부재(30)는 테이블 세트(10)가 설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저면에는 구동륜(42)과 조향륜(67)이 각각 설치되며, 궤도이탈방지부재(70)가 설치되고, 구동부(40)와 거리감지부(5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안내부재(20)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라인감지센서(72)와, 상기 라인감지센서(72)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74)와, 상기 제어부(74)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조향부(60)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구동부재(76)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인감지센서(72)는 복수개의 이루어져 일정한 폭을 갖는 상기 안내부재(20)의 가장자리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라인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반적인 라인 감지용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4)는 상기 라인감지센서(72)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할 조향부(60)의 조향구동부재(76)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조향구동부재(76)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74)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상기 조향부(60)는 일단이 상기 조향구동부재(76)와 결합되어 정,역회전되는 워엄기어와 섹터기어가 내설되고,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브라켓에 의해 설치되는 조향기어박스(62)와, 상기 조향기어박스(62)의 섹터축에 결합되어 원호운동을 하도록 된 드롭아암(64)과, 상기 드롭아암(64)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진 작동하기 위한 드래그 링크(66)와,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조향차축의 양단에 설치되고, 한쌍의 조향륜(67)이 설치되며, 상기 드래그 링크(66)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향륜(67)을 조향하기 위한 한쌍의 너클아암(68A,68B)과, 상기 일측의 너클아암(68A) 작동방향을 타측 너클아암(68B)에 전달하기 위한 타이로드(69)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조향부(60)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변경 가능하다. 즉,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보다 정확한 조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구동륜(42)이 양단에 설치되고, 피동기어(43)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차축(44)과, 상기 피동기어(43)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감지부(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브라켓에 의해 설치되는 구동부재(4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46)는 거리감지부(50)가 감지한 거리감지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이다. 즉, 다수개의 이송부재(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감지부(50)는 전방에 위치한 이송부재(3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재(46)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륜(42)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감지되면 다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이송부재(30)는 전진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각 이송부재(30)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축(44)은 이송부재(30)의 후방측 저면에 브라켓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피동기어(43)를 구비하고, 양단에는 구동륜(4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46)는 일반적인 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동부재(46)의 구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륜(42)에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동기어(43)와 구동부재(46)의 구동기어(46A)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부재(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피동기어(43)와 구동기어(46A)가 스프로켓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46A)와 피동기어(43)를 연결하면서 구동기어(46A)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연결기어(49)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어(49)는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축설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46A)와 피동기어(43)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기어(49)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결기어(49)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기어(49)가 감속을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종감속기어와 차동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륜(4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페와 같은 실내 또는 실외에 꾸며진 휴식공간의 바닥에 일정한 폭을 갖는 안내부재(20)를 설치하고, 상기 안내부재(20)가 그 저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재(30)를 설치한다. 즉, 상기 구동륜(42)과 조향륜(67)이 사이에 상기 안내부재(20)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의 각 라인감지센서(72) 중앙부에 상기 안내부재(20)의 양측 가장자리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0)의 상면에는 테이블 세트(10)가 고정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구동륜(4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와 조향륜(67)를 조향하기 위한 조향부가 설치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안내부재(20)의 상부로는 다수개의 이송부재(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재(30)의 전방부에 각 이송부재(30)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거리감지부(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40)와 궤도이탈방지부재(70) 및 조향부(60), 거리감지부(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이송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구동부(40)의 구동부재(46)가 작동되어 구동기어(46A)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체인부재(47)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43)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차축(44)의 양단에 설치된 구동륜(42)은 전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재(30)는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이송부재(30)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의 라인감지센서(72)는 금속판, 자석 또는 컬러테이프 중에서 선택되어 이루어진 상기 안내부재(20)를 감지하게 된다. 즉, 각 라인감지센서(72) 사이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는 안내부재(20)가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라인감지센서(72)로부터 안내부재(20)가 벗어나게 되어 안내부재(20)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74)는 조향구동부재(76)를 작동시켜 상기 조향륜(67)이 조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면, 안내부재(20)의 오른쪽으로 굽어진 코너부위를 통과할 경우에, 상기 이송부재(30)가 전진하게 되면, 왼쪽에 위치한 라인감지센서(72)는 상기 안내부재(2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오른쪽에 위치한 라인감지센서(72)는 상기 안내부재(20)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부재(30)는 굽어진 안내부재(20)로부터 직진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4)는 상기 조향구동부재(7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조향구동부재(76)는 왼쪽에 위치한 라인감지센서(72)가 안내부재(20)를 감지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미리 설정된 만큼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조향구동부재(7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린 섹터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드롭아암(64)이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드롭아암(64)이 원호운동을 하면서 상기 드래그 링크(66)를 당기게 되면, 상기 드래그 링크(66)와 결합된 보조링크가 일측의 너클아암(68A)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각 너클아암(68A,68B)는 타이로드(69)에 의해 각각 킹핀을 중심으로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각 너클아암(68A,68B)에 설치된 각 조향륜(67)은 오른쪽으로 조향되는 것이다. 즉, 오른쪽으로 굽어진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각 조향륜(67)이 오른쪽으로 조향되어 상기 안내부재(20)로부터 벗어났던 왼쪽의 라인감지센서(72)가 다시 안내부재(20)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74)는 상기 조향구동부재(76)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조향구동부재(76)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워엄기어축 또는 조향구동부재(76)의 축에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조향구동부재(76)를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모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구동륜(42)를 구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이송부재(30)는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에 의해 자유곡선을 이루는 안내부재(20)의 범위(폭)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안내부재(20)를 감지하여 조향륜(67)을 조향하는 작용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 세트(10)가 설치된 이송부재(30)는 자유곡선을 이루는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전방부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 상기 구동부(40)의 구동부재(46)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이송부재(3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예를들면, 다수개의 이송부재(30)가 각각 개별적으로 안내부재(20)를 따라 이송되는 상태에서,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이송부재(30)를 차기 이송부재(30)의 전방부에 설치된 거리감지부(50)가 감지하게 되면, 차기 이송부재(30)에 설치된 구동부(40)의 구동부재(46)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송부재(30)는 정지되는 것이고, 상기 차기 이송부재(30)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리감지부(50)가 다시 전방측의 이송부재(3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설정치 이상으로 파단되면 상기 구동부재(46)에 다시 전원을 인가하여 이송부재(30)가 전진 이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거리감지부(50)는 전방부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이송부재(30)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고, 상기 구동부재(46)는 상기 거리감지부(50)가 감지한 거리가 설정값 이상이면 작동되고 설정값 이하이면 정지되어 전,후방의 이송부재(30)가 추돌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테이블 세트(10)에 착석한 손님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0)는 자체적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에 의해 스스로 조향되면서 자유곡선으로 이루어진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테이블 이송장치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는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는 자유곡선을 이루어 바닥과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원통형의 안내레일(22)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조향부(60)는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 양측에 캐스터부재(8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조향이 자유롭게 된 한 쌍의 조향륜(67)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안내레일(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지지되도록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각 설치브라켓(77)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78)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제 2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는 상기 안내부재(20)가 원통형의 아내레일(22)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재(30)가 상기 안내레일(22)에 지지되면서 안내레일(2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레일(22)은 바닥과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고 자유곡선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22)은 상기 바닥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향부(60)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향되는 한쌍의 조향륜(67)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조향륜(67)은 구름이 용이하고 조향성이 양호한 캐스터부재(80)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부재(30)의 전방부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 조향륜(67)의 조향을 독립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부재(8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는 원통형의 안내레일(22)에 지지되면서 안내되도록 된 다수개의 안내로울러(78)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각 안내로울러(78)는 상기 안내레일(22)의 외주면 상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브라켓(77)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로울러(78A)와, 안내레일(22)의 외주면 양측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브라켓(77)에 의해 상기 상부로울러(78A)를 중심으로 이송부재(30)의 저면 좌,우측에 설치되는 좌,우측로울러(78B,78C)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로울러(78A)는 상기 이송부재(3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게 되고, 상기 좌,우측로울러(78B,78C)는 상기 이송부재(30)의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고, 각각의 안내로울러(78)는 상기 안내레일(22)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2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재(30)의 상면에 테이블 세트(10)가 설치되고, 이송부재(30)의 저면에는 구동륜(4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재(30)의 전방부 저면 양측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향되는 조향륜(67)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조향륜(67) 사이의 이송부재(30) 저면에 각 안내로울러(78)가 원통형의 안내레일(22)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재(46)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재(46)는 작동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 구동륜(42)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이송부재(30)가 전진하게 될 때, 상기 이송부재(30)는 상기 안내레일(22)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상기 각 안내로울러(78)가 상기 안내레일(22)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레일(22)이 자유곡선을 이루더라도 안내레일(2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30)가 곡선부위를 통과할 때, 상기 이송부재(30)는 굽어진 방향으로 상기 각 안내로울러(78)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게 되고, 상기 각각의 조향륜(67)은 각각 독립적으로 굽어진 방향으로 조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부재(30)가 안내부재(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자유곡선으로 이루어진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안내레일(22)에 상기 각 안내로울러(78)가 감싸듯이 설치되어 구동륜(42)이 구동될 때, 안내레일(22)을 안내로울러(78)가 지지하면서 회전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이로 인하여 각 이송부재(30)는 보다 부드럽게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되고, 반경이 작은 곡선부위도 무리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테이블 이송장치는 카페나 음식점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테이블 세트를 자유곡선으로 된 일정한 궤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조향시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송장치를 자체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송부재의 안내와 이송을 위한 고가의 구조물이 삭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이송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되면서도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이송될 수 있고, 반경이 작은 곡선부위도 무리없이 통과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정해진 궤도에서 테이블 세트를 이송하도록 된 테이블 이송장치에 있어서,
    자유곡선을 이루어 바닥에 설치되는 안내부재(20);
    상기 테이블 세트(10)가 상면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구동륜(42)과 조향부(60)가 설치되며, 궤도이탈방지부재(70)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송부재(30);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륜(4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및
    상기 이송부재(3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방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40)를 제어하기 위한 거리감지부(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는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는 일정한 폭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는 일정한 폭을 갖는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안내부재(20)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라인감지센서(72);
    상기 라인감지센서(72)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74);
    상기 제어부(74)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조향부(60)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구동부재(7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60)는 일단이 상기 조향구동부재(76)와 결합되어 정,역회전되는 워엄기어와 섹터기어가 내설된 조향기어박스(62);
    상기 조향기어박스(62)의 섹터축에 결합되어 원호운동을 하도록 된 드롭아암(64);
    상기 드롭아암(64)에 일단이 결합되고 보조암을 구비하여 전,후진 작동하기 위한 드래그 링크(66);
    한쌍의 조향륜(67)이 설치되고, 상기 드래그 링크(66)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륜(67)을 조향하기 위한 한쌍의 너클아암(68A,68B); 및
    상기 일측의 너클아암(68A) 작동방향을 타측 너클아암(68B)에 전달하기 위한 타이로드(69);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구동륜(42)이 양단에 설치되고, 피동기어(43)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차축(44); 및
    상기 피동기어(43)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감지부(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구동부재(4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피동기어(43)와 구동부재(46)의 구동기어(46A)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부재(4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부재(46)의 구동기어(46A)와 피동기어(43)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기어(4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0)는 자유곡선을 이루어 바닥과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원통형의 안내레일(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향부(60)는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 양측에 캐스터부재(8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조향이 자유롭게 된 한 쌍의 조향륜(6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궤도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안내레일(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지지되도록 상기 이송부재(30)의 저면에 각 설치브라켓(77)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7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이송장치.
KR2020000025894U 2000-09-14 2000-09-14 테이블 이송장치 KR200212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94U KR200212831Y1 (ko) 2000-09-14 2000-09-14 테이블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94U KR200212831Y1 (ko) 2000-09-14 2000-09-14 테이블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831Y1 true KR200212831Y1 (ko) 2001-02-15

Family

ID=7305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894U KR200212831Y1 (ko) 2000-09-14 2000-09-14 테이블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8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28B1 (ko) * 2011-12-12 2013-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기 펄스 측정용 센서 위치 고정 장치
CN117842171A (zh) * 2024-03-04 2024-04-09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多种控制方式的电车转向方法
CN117842171B (zh) * 2024-03-04 2024-06-07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多种控制方式的电车转向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28B1 (ko) * 2011-12-12 2013-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기 펄스 측정용 센서 위치 고정 장치
CN117842171A (zh) * 2024-03-04 2024-04-09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多种控制方式的电车转向方法
CN117842171B (zh) * 2024-03-04 2024-06-07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多种控制方式的电车转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5474A1 (en) Conveyance apparatus using movable bodies
CA2180509A1 (en) Car body carrier
KR100797552B1 (ko) 무인운반카트
KR200212831Y1 (ko) 테이블 이송장치
JP2002087251A (ja) 搬送設備
JP2000159099A (ja) 有軌道台車
JPH10279291A (ja) 鉄道車輪輪軸無人搬送車
JP4220891B2 (ja) 軌道レール式の自動走行台車
EP1270418A1 (en) Wrapping machine
JPH0733011A (ja) 無人搬送車の駆動輪負荷解放装置
JP2004206440A (ja) 無人搬送台車の駆動装置及び無人搬送台車
JP3997718B2 (ja) 搬送設備
JP3417889B2 (ja) 糞尿処理工程などで用いる台車走行装置
JPH0728046Y2 (ja) 列車式搬送車
JP2614131B2 (ja) 搬送装置
JP2008081014A (ja) 案内軌条式走行台車
JP2000318603A (ja) 自走台車による搬送装置
JP2715177B2 (ja) 移動車
KR100397976B1 (ko) 블랭크 가이드 롤러의 자동 위치 제어장치
JP2001270435A (ja) 懸垂式昇降搬送装置
JPH04264903A (ja) 無人搬送車
JPH0432331Y2 (ko)
JPH04266565A (ja) モノレール式搬送台車
JP4423555B2 (ja) 物品搬送設備
KR200216382Y1 (ko) 테이블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