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216Y1 -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216Y1
KR200212216Y1 KR2020000022340U KR20000022340U KR200212216Y1 KR 200212216 Y1 KR200212216 Y1 KR 200212216Y1 KR 2020000022340 U KR2020000022340 U KR 2020000022340U KR 20000022340 U KR20000022340 U KR 20000022340U KR 200212216 Y1 KR200212216 Y1 KR 200212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coil spring
compression coil
vibrat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덕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216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로, 원반형상을 갖는 기판(30)의 상부에 부착되며, 기판(30)의 하부를 통해 돌출된 접속부(1) 선단으로는 마이컴과 접속된 전선(C)이 연결된 압축 코일스프링(10) 및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0)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도록 기판(30)의 중심부로부터 수직으로 결합되며, 기판(30)의 하부로 돌출된 일측 선단으로는 마이컴과 접속된 전선(C)을 연결시킨 고정 접점(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세탁조의 이상 진동에 의해 압축 코일스프링(10)이 진동하는 한편, 이에 따른 압축 코일스프링(10)과 고정 접점(20)간의 접촉에 의해 세탁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세탁조의 이상 진동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A VIBRATION SENS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조가 고속회전하는 세탁기의 탈수모드에서 세탁물의 편중에 따라 세탁조로부터 이상 진동이 발생할 경우 압축 코일스프링 및 고정 접점이 반복 접촉되는 한편, 이와 같은 단위시간당의 압축 코일스프링 및 고정 접점간의 접촉 빈도에 따라 세탁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조 및 탈수조가 하나로 이루어진 일조식 세탁기는, 세탁 및 헹굼 동작 직후, 또는 세탁이 완료될 경우 세탁조를 고속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조가 고속회전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세탁물이 균일하게 투입되지 못하고, 편중된 상태로 배열될 경우에는 중량편차에 의해 세탁조에 진동이 발생한다.
특히, 이와 같이 세탁물이 편중된 상태로 세탁조가 고속회전을 하면, 과다한 소음과 함께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와 함께 모터를 포함한 내부 구성부품의 수명이 급격히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통상적인 세탁기에서는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세탁과정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진동이 발생할 경우에는 경고음과 함께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진동감지수단에 대한 예로써 종래에는 세탁기의 상부 일측에 저수조와의 접촉에 따라 접점이 연결되는 안전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접점을 마이컴과 연결시켜 저수조의 진동에 의해 안전스위치의 접점이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스위치의 개폐빈도에 따라 세탁기의 진동정도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한 안전스위치는 전방으로부터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서만 접점이 연결되므로 예로써 안전스위치가 세탁조의 정면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세탁조의 전후방향에 대한 진동의 감지만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정확한 진동의 감지를 위해 다수개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진동 감지수단은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이와 함께 다수의 진동 감지수단을 마이컴과 각각 연결시켜야 하므로 복잡한 회로구성에 의해 설치에 많은 인력소모가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세탁조의 이상 진동에 의해 압축 코일스프링이 진동하는 한편, 이에 따른 압축 코일스프링과 고정 접점간의 접촉에 의해 세탁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세탁조의 이상 진동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원반형상을 갖는 기판의 상부에 부착되며, 기판의 하부를 통해 돌출된 접속부 선단으로는 마이컴과 접속된 전선이 연결된 압축 코일스프링;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도록 기판의 중심부로부터 수직으로 결합되며, 기판의 하부로 돌출된 일측 선단으로는 마이컴과 접속된 전선을 연결시킨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따른 세탁기용 진동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부 10 : 압축 코일스프링
20 : 고정 접점 30 : 기판
C : 전선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따른 세탁기용 진동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단면 구조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50)는 원반형상을 갖는 기판(30)의 상부에 결합된 압축 코일스프링(10) 및 고정 접점(20)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 코일스프링(10)은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이나 진동에 따라 상부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기판(30)의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결합되며, 기판(30)의 하부를 통해 돌출된 접속부(1)에는 전선(C)이 연결됨으로써 접점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한 압축 코일스프링(10)과 함께 기판(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접점의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 접점(20)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진동에 따라 유동이 이루어지는 압축 코일스프링(10)과 달리 기판(30)의 상부로부터 정확한 직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압축 코일스프링(10)이 유동하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고정 접점(20)이 도 3과 같이 압축 코일스프링(10)의 중심축선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편, 압축 코일스프링(10)의 내벽과 등간격을 갖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고정 접점(20)은 기판(30)의 하부를 통해 돌출된 일측 선단으로 압축 코일스프링(10)과 같이 마이컴과 연결된 전선(C)이 연결됨으로써 압축 코일스프링(10) 및 고정 접점(20)의 접촉에 따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으로써 폐회로를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단위시간당 압축 코일스프링(10) 및 고정 접점(20)간의 단속적인 접촉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설정치보다 스위칭 동작의 빈도가 작을 경우에는 세탁기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설정치보다 많은 빈도의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세탁기의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와 함께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단위시간당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세탁기의 동작을 정상, 또는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과 함께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은 본 고안과 별개의 구성인 동시에 통상적인 세탁기의 마이컴을 이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50)는, 세탁기를 구성하는 저수조의 전후면이나 상부와 같이 세탁조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는 부위라면 수직방향으로의 설치는 물론, 수평방향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며, 이와 함께 컨트롤패널의 기판상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을 세탁기(100)를 구성하는 저수조(110)의 외주면 하부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저수조(110)의 주연 상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기판(30)을 저수조(110)의 외주면에 부착시키고, 상기한 기판(30)에 결합된 압축 코일스프링(10)및 고정 접점(20)과 연결된 전선(C)을 케이스(130)의 내벽을 통해 도시안된 컨트롤 패널의 기판으로 각각 접속시킴에 따라 압축 코일스프링(10) 및 고정 접점(20)의 접촉에 의한 스위칭 동작이 세탁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설치가 완료된 본 고안은, 세탁기(100)의 세탁과정에 세탁 및 헹굼 동작 직후, 또는 세탁이 완료될 경우 세탁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모드에서 세탁조(120)의 이상진동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조(120)가 고속회전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세탁물이 균일하게 투입되지 못하고, 편중된 상태로 배열될 경우에는 중량편차에 의해 세탁조에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은 세탁조(120)의 진동은 세탁조(120)의 외부에 결합된 저수조(110)로 전달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50)의 압축 코일스프링(10)을 진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 따라 본 고안에 전달된 진동이 미약할 경우에는 압축 코일스프링(10)과 고정 접점(20)이 이격된 상태를 갖게 되는 반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50)에 강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될 경우에는 도 5의 가상선과 같이 압축 코일스프링(10)의 순간적인 유동과정에서 고정 접점(20)과 접촉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마이컴과 접속된 전선(C)을 연결시켜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 코일스프링(10) 및 고정 접점(20)간의 접촉에 따른 단위시간당의 스위칭 동작이 마이컴에 입력된 설정치보다 작은 빈도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세탁기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진동이 압축 코일스프링(10) 및 고정 접점(20)의 접촉 빈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증대될 경우에는 마이컴은 세탁기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경보와 함께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세탁물의 편중에 의한 소음 및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모터를 포함한 내부 구성부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세탁조(12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균일하게 분포시킨 상태에서 세탁기를 재동작시키면 전술한 동작이 반복되는 상태로 세탁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은 진동이나 충격의 전달방향과 관계없이 진동에 대응하여 스위칭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설치위치 및 설치갯수에 관계없이 진동에 대한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50)는, 세탁조(120)에 가해진 충격이나 이상 진동에 의해 압축 코일스프링(10)이 진동하는 한편, 이에 따른 압축 코일스프링(10)과 고정 접점(20)간의 접촉에 의해 세탁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의 방향에 관계없이 정확한 진동의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단순한 구성을 갖는 한편, 설치가 간단히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주장하는 본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원반형상을 갖는 기판(30)의 상부에 부착되며, 기판(30)의 하부를 통해 돌출된 접속부(1) 선단으로는 마이컴과 접속된 전선(C)이 연결된 압축 코일스프링(10);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0)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도록 기판(30)의 중심부로부터 수직으로 결합되며, 기판(30)의 하부로 돌출된 일측 선단으로는 마이컴과 접속된 전선(C)을 연결시킨 고정 접점(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KR2020000022340U 2000-08-05 2000-08-05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KR200212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40U KR200212216Y1 (ko) 2000-08-05 2000-08-05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40U KR200212216Y1 (ko) 2000-08-05 2000-08-05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216Y1 true KR200212216Y1 (ko) 2001-02-15

Family

ID=7305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40U KR200212216Y1 (ko) 2000-08-05 2000-08-05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2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92A (ko) * 2001-11-30 2003-06-09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 및 그에 따른 세탁 행정 제어방법
KR20030047339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탈수 행정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92A (ko) * 2001-11-30 2003-06-09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 및 그에 따른 세탁 행정 제어방법
KR20030047339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탈수 행정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25174A (ja) 全自動洗濯機の脱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U2004237865A1 (en) Drum type washer
KR200212216Y1 (ko)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CN108729123B (zh)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KR200212215Y1 (ko)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KR100487401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140064285A (ko) 수위/도어개폐감지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3611532B2 (ja) 振動検出装置
JP3611531B2 (ja) 振動検出装置
JPH09313777A (ja) 全自動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スイッチ
JPH077898Y2 (ja) 洗濯機
JP2002292180A (ja) 洗濯機の脱水制御方法
JPS626470B2 (ko)
JPH11156084A (ja) 洗濯機
JP2002078998A (ja) 洗濯機の脱水制御方法
KR200208977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289433B1 (ko) 세탁기의 수위/진동 센서 고정장치
JP3321532B2 (ja) 振動検出装置
JPH10156081A (ja) 洗濯機
JP2002273096A (ja) 洗濯機用振動検出装置
KR200212739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263559B1 (ko) 드럼 세탁기의 수위 감지센서
KR20010057796A (ko) 드럼세탁기의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의한 구동부 제어방법
JPH10263275A (ja) 全自動洗濯機のアンバランス検出装置
JPS63402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