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339A - 탈수 행정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탈수 행정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339A
KR20030047339A KR1020010077808A KR20010077808A KR20030047339A KR 20030047339 A KR20030047339 A KR 20030047339A KR 1020010077808 A KR1020010077808 A KR 1020010077808A KR 20010077808 A KR20010077808 A KR 20010077808A KR 20030047339 A KR20030047339 A KR 2003004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over
electrode
dehydra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1007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7339A/ko
Publication of KR2003004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조의 과진동에 따라 탈수 행정을 제어하는 탈수 행정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 행정 제어 방법은, 세탁조의 외벽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언발런스에 따른 세탁조의 과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원이 제공되는 전극과, 상기 스프링의 끝에 설치되어 세탁조과 과진동할 때 상기 스프링의 작용력에 따라 상기 전극과 접속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도전성의 중량물을 포함하는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에 따른 탈수 행정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탈수 행정 선택되어 모터가 회전될 때 전극과 중량물이 접속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전극과 중량물이 접속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스프링의 진동에 따라 전극과 중량물의 접속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c) 상기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인 지를 체크하고,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세탁수를 세탁조내로 공급하여 세탁물의 포풀림 행정으로 진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탈수 행정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수 행정 제어 방법{DEHYDRATING PROCESSOR METHOD }
본 발명은 탈수 행정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세탁조의 과진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에 따라 탈수 행정을 제어하도록 한 탈수 행정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과 세탁 날개(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수류의 마찰 작용, 그리고,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 내부에 세탁조 지지장치(2)에 의해 세탁조(3)가 지지되어있고, 세탁조(3) 내부에는 모터(4)와 클러치(5)에 의하여 구동되는 탈수조(6)가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탈수시 세탁조(3)가 편중되어 소정의 진동폭 이상으로 진동되면 세탁조(3)의 물리력에 의하여 작동되게 세탁기의 커버에 안전 스위치(8)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펄세이터이고, 10은 모터풀리이며, 11은 클러치풀리이고, 12는 V벨트이며, 13은 고무다리이다.
도 2는 종래 상기 안전 스위치(8)의 상세 구성도로서, 세탁조(3)가 편중되어 소정의 진동폭 이상으로 진동되면 세탁조(3)의 물리력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설치된 스위치 레그(81)와, 이 스위치 레그(81)가 작동되면 연동되어 복수의 접점이 상호연결되게 설치된 스위치(82)와, 세탁조(3)의 진동에 의한 물리력에 반대되어 스위치 레그(81)를 초기 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작용력을 전달하는 스프링(83)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에서 동작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세탁기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 과정이 완료되어 탈수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 세탁기의 탈수 행정시 세탁물의 편심으로 인하여 세탁조(3)가 편중되어 소정의 진동폭 이상으로 진동되면 안전스위치(8)의 스위치레그(81)에 세탁조(3)의 진동에 의한 물리력이 가하여 진다.
이때, 가하여 지는 물리력이 안전 스위치(8)의 부속품인 스프링(83)의 작용력 보다 상위하면 스위치 레그(81)가 작동되어초기 상태가 분리되어져 있는 스위치(82)의 복수의 접점이 상호 연결된다.
그러면, 별도의 제어 과정에 의하여 탈수 행정이 중단되며, 다시 급수한 후 맥동 장치를 짧은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시키면서 편심된 세탁물을 골고루 분포시킨 후 재차 탈수 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조(3)에 의하여 스위치 레그(81)에 가하여 지는 물리력이 소멸되면 스프링(83)의 작용력에 의하여 스위치 레그(81)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스위치(82)의 복수의 접점이 초기 상태와 같이 다시 분리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종래의 세탁조(3) 상부의 편심으로 인해 진동이 크게 발생되었을 때는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세탁조(3) 하부의 편심으로 인해 진동이 크게 발생되었을 때는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가 위치된 수평상태나 스위치 레그(81)의 휨 정도에 따라 안전 스위치(8)의 작동 상태가 달라지므로 진동량의 정확한 감지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편심량이 클 때에도 감지 에러에 의해 탈수행정이 계속되어 과도 진동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탁조와 안전 스위치(8)의 마찰로 인해 이상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간단하게 세탁조의 진동량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에 따라 탈수 행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탈수 행정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세탁조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세탁물의 언발런스에 따른 세탁조의 과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원이 제공되는 전극과, 상기 스프링의 끝에 설치되어 세탁조과 과진동할 때 상기 스프링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전극과 접속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도전성의 중량물을 포함하는 탈수 행정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탈수 행정 선택되어 모터가 회전될 때 전극과 중량물이 접속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전극과 중량물이 접속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상기 스프링의 진동에 따른 상기 전극과 중량물의 접속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c) 상기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인 지를 체크하고,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세탁수를 세탁조내로 공급하여 세탁물의 포풀림 행정으로 진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탈수 행정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게 세탁조의 과진동을 감지하고, 그 세탁조의 과진동의 감지 여부에 따라 탈수 행정을 제어함으로서, 정확하게 탈수 행정을 제어할수 있고, 세탁조의 과진동 발생시 무리한 탈수 행정으로 인한 제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조의 진동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진동 감지 장치에 따른 탈수 행정 제어 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스프링 103 : 전극
105 : 중량물 107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의 상세하게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행정 제어 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3)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세탁물의 언발런스에 따른 세탁조(3)의 과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스프링(101)과, 상기 스프링(101)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원(Vcc)이 제공되는 전극(103)과, 상기 스프링(101)의 끝에 설치되어 세탁조(3)과 과진동할 때 상기 스프링(101)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전극(103)과 접속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중량물(10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01)및 중량물(105)은 스프링(101)의 탄성 계수와 중량물(105)의 무게에 따라 소정치 이상의 진동량이 감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량물(105)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는, 상기 스프링(101)이 세탁조(3)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면, 이 스프링의 진동에 따라 도전상의 중량물(105)이 전원(Vcc)이 제공되는 전극(103)과 접속되고, 이 전극(103)의 중량물(105)의 접속으로 과진동 감지 신호가 발생되며, 이러한 과진동 감지 신호를 제어부(107)에 제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07)는 이 과진동 감지 신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탈수 행정을 정지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의 기술과 중복되는 세탁기의 탈수 행정은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그대로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탈수 행정 제어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의 탈수 행정이 시작되어(단계 301) 세탁조(3)의 배수가 완료되면 모터(4)가 구동되어 탈수조(6)가 회전되기 시작한다(단계 303). 이때 세탁물의 편심으로 인하여 세탁조가 과진동하게 되고, 그 세탁조의 진동량이 세탁조의 진동량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스프링(101)이 심하게 요동된다.
이러한 스프링(101)의 요동으로 인해 중량물(105)과 전극(103)이 접속하게 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가 발생되고(단계 305), 이 과진동 감지 신호는 제어부(107)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107)는 상기 과진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는 지를 체크하고(단계 307), 여기서, 과진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현재의 탈수 행정을 계속 실행한다(단계 309).
그러나, 단계(307)에서 상기 과진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우선 모터(4)의 구동을 정지한 후 스프링(101)의 요동으로 입력되는 과진동 감지 신호의 입력 횟수(N)를 카운팅한다(단계 311).
여기서, 과진동 감지 신호의 입력 횟수(N)가 소정치(M)이상이면(단계 313), 세탁물의 포꼬임을 판단하여 세탁수를 세탁조(3)로 제공한 후 세탁물의 포풀림 행정을 실행한다(단계 315).
그러나, 단계(311)에서 과진동 감지 신호의 입력 횟수(N)가 소정치(M) 이하이면, 탈수 행정 시간이 남아 있는 지를 체크하고(단계 317), 여기서, 탈수 행정 시간이 남아 있다고 판단되면 모터(4)을 동작하여 탈수 행정을 실행하는 단계(309)로 진행하고, 또한 탈수 행정 시간이 남아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하게 세탁조의 과진동을 감지하고, 그 세탁조의 과진동의 감지 여부에 따라 탈수 행정을 제어함으로서, 정확하게 탈수 행정을 제어할 수 있고, 세탁조의 과진동 발생시 무리한 탈수 행정으로 인한 제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세탁조의 외벽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언발런스에 따른 세탁조의 과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원이 제공되는 전극과, 상기 스프링의 끝에 설치되어 세탁조가 과진동할 때 상기 스프링의 작용력에 따라 상기 전극과 접속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도전성의 중량물을 포함하는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에 따른 탈수 행정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탈수 행정이 선택되어 모터가 회전될 때 전극과 중량물이 접속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전극과 중량물이 접속되어 과진동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스프링의 진동에 따라 전극과 중량물의 접속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c) 상기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인 지를 체크하고,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세탁수를 세탁조내로 공급하여 세탁물의 포풀림 행정으로 진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접속 횟수가 소정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탈수 행정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행정 제어 방법.
KR1020010077808A 2001-12-10 2001-12-10 탈수 행정 제어 방법 KR20030047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808A KR20030047339A (ko) 2001-12-10 2001-12-10 탈수 행정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808A KR20030047339A (ko) 2001-12-10 2001-12-10 탈수 행정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339A true KR20030047339A (ko) 2003-06-18

Family

ID=2957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808A KR20030047339A (ko) 2001-12-10 2001-12-10 탈수 행정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3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28B1 (ko) * 2005-12-19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CN103126747A (zh) * 2011-12-01 2013-06-05 陈姬顺 角质去除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676A (ja) * 1996-08-26 1998-03-03 Nippon Kentetsu Co Ltd 全自動洗濯機のフタスイッチ
KR20000014063A (ko) * 1998-08-17 2000-03-06 구자홍 세탁기의 진동 감지장치
JP2000245990A (ja) * 1999-02-25 2000-09-12 Lg Electronics Inc 洗濯機用水位及び振動感知センサー
KR200212216Y1 (ko) * 2000-08-05 2001-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KR20010057796A (ko) * 1999-12-23 2001-07-0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의한 구동부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676A (ja) * 1996-08-26 1998-03-03 Nippon Kentetsu Co Ltd 全自動洗濯機のフタスイッチ
KR20000014063A (ko) * 1998-08-17 2000-03-06 구자홍 세탁기의 진동 감지장치
JP2000245990A (ja) * 1999-02-25 2000-09-12 Lg Electronics Inc 洗濯機用水位及び振動感知センサー
KR20010057796A (ko) * 1999-12-23 2001-07-0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의한 구동부 제어방법
KR200212216Y1 (ko) * 2000-08-05 2001-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28B1 (ko) * 2005-12-19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CN103126747A (zh) * 2011-12-01 2013-06-05 陈姬顺 角质去除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7339A (ko) 탈수 행정 제어 방법
KR20010017348A (ko) 탈수시 언밸런스 감지방법
JPH119887A (ja) 懸垂された洗濯用アセンブリの動つりあい制御を改良した洗濯機
KR20020076135A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00360246B1 (ko) 세탁기의 포엉킴 및 포치우침 방지 방법
KR20030044492A (ko) 세탁조의 과진동 감지 장치 및 그에 따른 세탁 행정 제어방법
KR100474903B1 (ko) 세탁기의 모터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JPH10328479A (ja) 洗濯機の洗濯用アセンブリの適正な動つりあいを確保する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た洗濯機
KR100741810B1 (ko) 주파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세탁기
KR100357165B1 (ko) 드럼세탁기의 진동수 변화량 검출장치 및 이에 의한 구동부 제어방법
JP2004242735A (ja) 洗濯機
KR100617223B1 (ko) 드럼세탁기의 수위겸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따른 구동부제어방법
CN112601851B (zh) 脱水机
JP2019118478A (ja) 衣類処理装置
KR101326300B1 (ko)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JP2002292180A (ja) 洗濯機の脱水制御方法
KR100234046B1 (ko) 세탁기의 과도 진동 방지방법
KR20040046050A (ko) 세탁기
KR20020005869A (ko) 세탁기의 수위감지 방법
KR20000003805A (ko) 세탁기에서의 언발란스 검출 방법
KR101144783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JPH0887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00045018A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감지방법
JP2002078998A (ja) 洗濯機の脱水制御方法
KR20030080728A (ko) 세탁기의 탈수 행정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