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101Y1 -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101Y1
KR200212101Y1 KR2020000023997U KR20000023997U KR200212101Y1 KR 200212101 Y1 KR200212101 Y1 KR 200212101Y1 KR 2020000023997 U KR2020000023997 U KR 2020000023997U KR 20000023997 U KR20000023997 U KR 20000023997U KR 200212101 Y1 KR200212101 Y1 KR 200212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ear
tape
roller devic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호
Original Assignee
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호 filed Critical 유광호
Priority to KR2020000023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101Y1/ko

Link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축간의 간격확보가 어려워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고안에서는 동일축선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축간의 거리를 없애 전체적인 공간효율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오자나 탈자 등을 수정하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수정테이프 롤러장치{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본 고안은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에 잘못 기재된 부분이 있는 경우 수정액이 건조된 상태로 도포 되어 있는 피막테이프를 그 부분에 눌러 잘못 기재된 부분에 수정액이 덮어 씌워지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형태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테이프 롤러장치는 개구를 갖는 소정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롤러(roller)와 롤러에 감겨져 있는 피막테이프와 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 되어 피막테이프의 이동을 안내하고 필요한 경우 피막테이프를 지면에 눌러줄 수 있도록 해주는 테이프 가이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테이프 롤러장치(100)는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10)의 앞쪽 끝단과 뒤쪽 끝단에는 개구(111, 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110)의 상면 일측에는 걸림구멍(11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일측에는 사용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관측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쪽 측면에는 필요에 따라 호주머니 등에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115)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피막 테이프(120)와 각종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여주고, 또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아래쪽으로 케이스(110) 내부에 결합되는 몸체(1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몸체(130)는 피막 테이프(1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1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131)는 앞쪽으로 길게 돌출 되어 있으며, 케이스(110)의 뒤쪽 개구(112)로 삽입되어 앞쪽 개구(111)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 되며 피막 테이프(120)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테이프 가이드(131)는 탄성력이 뛰어난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테이프 가이드(131) 앞쪽으로 끼움구(13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끼움구(132)는 테이프 가이드(131)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33)을 구비하고 있으며, 테이프 가이드(131)에 결합되어 피막테이프(120)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테이프 가이드(131) 뒤쪽으로 롤러 설치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롤러 설치부(134)는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둘레로 탄성팔(1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팔(135)은 몸체(130)를 케이스(11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구멍(113)에 걸리는 걸림턱(136)을 구비하고 있다.
몸체(130)의 양측면으로 제 1롤러(140)와 제 2롤러(15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롤러(140)와 제 2롤러(150)는 몸체(130)의 롤러 설치부(134)의 양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롤러(140)의 일측면에는 제 1기어(160)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제 1축(1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축(162)을 통해 제 1롤러(140)가 설치된다. 제 1롤러(140)는 사용되지 않은 피막 테이프(120)가 감기는 부분이다. 또한, 롤러 설치부(134)에는 제 2축(1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축(172)을 통해 제 2롤러(150)가 롤러 설치부(134)의 타측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며 그 반대편 끝단에 제 2기어(170)가 결합된다. 제 2롤러(150)는 사용후의 공 테이프(122)가 감기는 부분이다.
즉, 제 1축(162)에 제 1기어(160)와 제 1롤러(140)를, 제 2축(172)에 제 2롤러(150)와 제 2기어(170)를 각각 조립 후 피막 테이프(120)를 테이프 가이드(131)의 끝단에 걸고, 끼움구(132)를 끼운 다음 몸체(130)의 탄성팔(135)을 살짝 누른 상태에서 케이스(110)에 삽입하면 걸림턱(136)이 걸림구멍(113)에 걸리면서 조립이 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 가이드(131)의 끝단은 앞쪽 개구(111)로 돌출 되고 수정테이프 롤러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쪽 끝단을 앞쪽으로 당기면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고 피막테이프(120)는 보호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100)에서는 제 1축(162)과 제 2축(172)간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130)와 케이스(110)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정 작업이 한 방향으로만 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적어도 한 쌍의 롤러가 설치되는 축간의 거리 확보가 필요 없어 전체적인 공간 활용도를 높임으로서 상대적으로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수정테이프 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몸체에 제1 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요부인 제 1롤러와 제 2롤러가 결합되는 몸체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210 - 케이스 211, 212 - 개구
213 - 걸림구 215 - 클립
220 - 피막 테이프 222 - 공 테이프
230 - 몸체 231 - 테이프 가이드
234 - 롤러 설치부 235 - 탄성팔
236 - 돌기 238 - 관통공
240 - 제 1롤러 250 - 제 2롤러
260 - 제 1기어 262 - 제 1축
270 - 제 2기어 272 - 제 2축
280 - 동력전달기어 280A - 하단기어
280B - 상단기어 282 - 제 3축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테이프가 감길 수 있는 제 1롤러와 제 2롤러를 구비하는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소정 형태의 케이스; 상기 개구로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이 테이프 가이드의 일측에 롤러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가이드와 롤러 설치부의 연결부는 절곡되어 테이프 가이드와 롤러 설치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 상기 제 1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 설치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 1기어; 상기 제 2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 설치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 2기어; 및 상기 제 1기어의 회전을 제 2기어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도록 상하 2단의 기어로 구성되고, 하단기어는 몸체의 관통공을 통해 제1기어에 맞물리며, 상단기어는 제 2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상기에 있어서, 제 1기어와 제 2기어는 롤러 설치부의 일측면과 그 반대면에 각각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의 몸체에 제1 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롤러와 제 2롤러가 결합되는 몸체의 정면도이고, 도5 는 제 1롤러와 제 2롤러가 결합되어 있는 몸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롤러장치(200)는 케이스(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210)의 앞쪽과 뒤쪽에는 개구(211)(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210)의 상면에는 걸림구멍(21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일측에는 호주머니 등에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215)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롤러장치(200)는 소정 형상의 몸체(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30)는 상기 케이스(210)의 뒤쪽 개구(212)를 통해 삽입되어 앞쪽 개구(211)로 그 끝단이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23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테이프 가이드(231)의 일측에는 대략 원형을 이루는 롤러 설치부(2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가이드(231)와 상기 롤러 설치부(234)의 연결되는 부분은 절곡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 가이드(231)와 롤러 설치부(234)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가이드(231)와 롤러 설치부(234)의 절곡되는 부분에는 관통공(2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설치부(234)의 외측으로는 탄성팔(2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팔(235)은 몸체(230)를 용이하게 케이스(2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면에는 돌기(2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36)는 상기 케이스(210)의 걸림구멍(213)에 걸리는 부분으로, 몸체(230)와 케이스(21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 설치부(234)의 일측면에는 제 1축(26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제 2축(2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축(262)과 제 2축(272)은 동일축선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종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보다 공간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다시 설명하면 종래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는 축간의 간격 확보가 필수적이었으나, 본 고안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는 동일축선상에 위치됨으로서 축간의 간격 확보가 필요 없음으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종래의 것과 동일한 크기의 것이라면 본 고안의 수정테이프 롤러장치(200)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피막 테이프(220)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롤러장치(200)는 사용되기 전의 피막 테이프(220)가 감기는 제 1롤러(240)와 사용된 후의 공 테이프(222)가 감기는 제 2롤러(25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롤러(240)에는 제 1기어(260)가 연결되어 있고, 제 2롤러(250)에는 제 2기어(27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롤러(240)와 제 2롤러(250)는 롤러 설치부(234)의 서로 반대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기어(260)는 그 일측이 몸체(230)의 롤러 설치부(234)와 테이프 가이드(231)의 서로 절곡되는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238)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기어(260)의 회전을 제 2기어(270)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도록 동력전달기어(2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어(280)는 제 3축(28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3축(282)은 테이프 가이드(23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어(280)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단기어(280A)는 몸체(230)의 관통공(238)을 통해 제 1기어(260)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단기어(280B)는 제 2기어(27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제 1기어(260)의 회전을 이와 맞물린 동력전달기어(280)에 의해 제 2기어(270)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몸체(230)의 롤러 설치부(234) 외측으로 형성된 탄성팔(235)을 살짝 누른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10)의 뒤쪽 개구(212)를 통해 케이스(210)내로 밀어 넣으면 돌기(236)는 걸림구멍(213)에 결합되어 수정테이프 롤러장치(200)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테이프 가이드(231)의 끝단을 누르고 이동시키면 수정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2롤러(250)에 피막 테이프(220)가 감겨있게 하고, 제 1롤러(240)에 사용된 후의 공 테이프(222)가 감기게 할 수도 있다.
피막 테이프(220)를 모두 사용 후 피막 테이프(220)를 새 것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팔(235)을 누른 상태에서 뒤쪽으로 당기면 몸체(230)는 케이스(210)에서 이탈되게 된다. 그런 다음 제 1롤러(240)와 제 2롤러(250)를 교체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롤러장치는 제 1롤러(240)와 제 2롤러(250)가 결합되는 제 1기어(260)와 제 2기어(270)가 롤러 설치부(234)의 일측면과 그 반대면에 각각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동력전달기어(280)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축간의 거리 확보가 필요 없어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에서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가 롤러 설치부의 서로 반대면에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됨으로서, 그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간의 거리 확보가 필요 없어 전체적인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소정 테이프가 감길 수 있는 제 1롤러와 제 2롤러를 구비하는 수정테이프 롤러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소정 형태의 케이스;
    상기 개구로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이 테이프 가이드의 일측에 롤러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가이드와 롤러 설치부의 연결부는 절곡되어 테이프 가이드와 롤러 설치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
    상기 제 1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 설치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 1기어;
    상기 제 2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 설치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 2기어; 및
    상기 제 1기어의 회전을 제 2기어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도록 상하 2단의 기어로 구성되고, 하단기어는 몸체의 관통공을 통해 제1기어에 맞물리며, 상단기어는 제 2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와 제 2기어는 롤러 설치부의 일측면과 그 반대면에 각각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KR2020000023997U 2000-08-24 2000-08-24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KR200212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97U KR200212101Y1 (ko) 2000-08-24 2000-08-24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97U KR200212101Y1 (ko) 2000-08-24 2000-08-24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101Y1 true KR200212101Y1 (ko) 2001-02-01

Family

ID=7308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997U KR200212101Y1 (ko) 2000-08-24 2000-08-24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1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036A (en) 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JPH0794157A (ja) 電子機器の電池パック保持構造
JPH1126097A (ja) パネル取り付け用ソケット
KR200212101Y1 (ko) 수정테이프 롤러장치
JPH02139995A (ja) 機器のカバーのための取付装置
US5017157A (en) Receptacle for cable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and electric shielding property
KR100290802B1 (ko) 수정테이프롤러장치
JPH10148052A (ja) 蓋の着脱構成
JP3643955B2 (ja) 修正テープ転写具
JPH02139881A (ja) 接続用ソケット
CN204442620U (zh) 背贴式耳机绕线器
JP3476490B2 (ja) グロメット
JP3199687B2 (ja) ヒンジ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ヒンジ装置
CN210247294U (zh) 一种具有固定框架的智能数字式温度控制器
JP2980238B1 (ja) 修正テープの保持器
CN211456068U (zh) 线缆连接器模块
KR200207499Y1 (ko) 이어폰줄 케이스
CN217935894U (zh) 耳机控制组件及耳机
JPH0218346Y2 (ko)
JPS5834458Y2 (ja) 表示板取付装置
CN115500600B (zh) 静音锁紧机构以及穿戴设备
JP2002367725A (ja)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3792415B2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
JPS5826467Y2 (ja) ソケット取付装置
JP2516956Y2 (ja) 防護幕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