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646Y1 -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646Y1
KR200211646Y1 KR2020000021687U KR20000021687U KR200211646Y1 KR 200211646 Y1 KR200211646 Y1 KR 200211646Y1 KR 2020000021687 U KR2020000021687 U KR 2020000021687U KR 20000021687 U KR20000021687 U KR 20000021687U KR 200211646 Y1 KR200211646 Y1 KR 200211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freight vehicle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우
변양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스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스만
Priority to KR2020000021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646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 지지대가 포함된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에 관한것으로, 컨테이너 지지대가 포함된 컨테이너는 화물차량이 위치되는 하부공간을 제공하여 하역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적재시 컨테이너가 화물차량에 올바른 위치에 적재되기 어렵고,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해 화물차량의 유압지지대를 이용하여 화물차량 자체까지도 승강시켜야 하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4 와 같이, 컨테이너 지지대가 포함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이 컨테이너 전용의 승강수단(12)과 이 승강수단(12)과 연동되어 컨테이너의 적재 정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수단(16)이 마련된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로서, 승강수단(12)은 화물차량의 동력이 이용되는 유압실린더로 화물차량의 화물적재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유도수단(16)은 상기 적재 정위치에 따라 승강수단(12)과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14)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유도수단(16)은 서로의 중심이 일치되는 안내공(18)과 이 안내공에 마추어 지는 원추형돌기 등과 같은 경사형돌기(22)로 구분되어져 승강수단(12)의 상승에 의해 원추형돌기의 경사면이 안내공(18)의 내주와 간섭되면서 그 중심이 서로 일치되고 이에 의해 정위치가 유도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컨테이너 전용의 승강수단에 의해 컨테이너를 하역함으로써, 불합리적인 동력의 낭비가 방지되며, 특히 컨테이너의 적재작업시 유도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컨테이너 상·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으로의 적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지지대가 마련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이 컨테이너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용의 승강실린더와 적재 작업시 그 정위치를 보정하여 주는 유도수단이 마련된 컨테이너 상·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수송용의 컨테이너는 지상 또는 해상에서의 이송을 위해 적층이 용이하도록 규격화된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지상에서 화물차로의 컨테이너 적재를 위해 지게차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지상에서 컨테이너가 위치될 공간이 있다면 이러한 컨테이너는 그 자체로 하나의 간이 창고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컨테이너는 단순한 직육면상의 강체이기 때문에 하역작업마다 지게차 등이 필수적으로 동원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컨테이너는 그 목적상 하역작업이 빈번하고, 하나의 화물차는 컨테이너를 교체하여 반복적으로 다수의 컨테이너를 별개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마다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지게차 등의 하역장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다수의 장비와 인력이 소모되었던 것이다.
이에 개발된 것이 상·하역장치가 구비된 컨테이너(출원번호10-2000-0038868)이며, 예시도면 도 1 a, b, c는 그 개요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화물차량으로의 컨테이너(1) 탈착을 위해 컨테이너(1) 하부에 화물차량의 화물적재부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지지대(2)가 설치된 것이다.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조립되도록 이루어진 컨테이너 지지대(2)는 수평가변지지대와 수직지지대로 구분되며, 수평가변지지대가 수납프레임에 삽입되고, 수직지지대에는 가변지지대가 삽입 설치되어 컨테이너 지지대(2)의 지지높이가 임의로 변경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3)의 유압지지대(4)를 작용시켜 차체를 들어올린 후 컨테이너 지지대(2)를 연장시킨 다음 다시 차체를 하강시키면 컨테이너(1)는 지면에 지지된다.
뒤이어 화물차량(3)이 빠져 나가게 되면 컨테이너(1)의 하부에 화물차량의 적재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며, 이러한 컨테이너(1)의 적재는 상기된 과정의 역순이다.
그러나, 컨테이너(1)의 적재에 있어 정확한 위치에 화물차량을 위치시키기 어렵고, 이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컨테이너(1)가 적재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컨테이너(1)의 적재는 화물차량(3)이 컨테이너 지지대(2)가 제공하는 하부공간으로 위치되고, 유압지지대(4)를 작동시켜 차체를 들어올리게 되면 컨테이너(1)가 화물차량(3)에 적재되며, 뒤이어 컨테이너 지지대(2)를 해체하고 유압지지대(4)를 작동시켜 차체를 하강시키면 적재가 완료된다.
한편, 컨테이터(1)의 적재 완료 후, 화물차량(3)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미도시)로 컨테이너(1)를 고정하도록 되어있는데, 컨테이터(1)가 정위치에 있지 않으면 고정장치와 컨테이너(1)가 맞물리지 않게되어 불안정한 상태로 적재가 된다.
또한, 화물차량(3)의 정위치는 운전에 의해서 정하여 지는 것이므로, 컨테이너(1) 하부로의 화물차량 위치시 화물차량(3)을 적재를 위한 정확한 위치에 두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의해 컨테이너(1)가 화물차량(3)에 올바른 위치에 적재되기 어렵고, 컨테이너(1)를 적재하기 위해 화물차량(3)의 유압지지대(4)를 이용하여 화물차량 자체까지도 승강시켜야 하는 불합리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컨테이너 지지대가 포함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이 컨테이너 전용의 승강수단과 이 승강수단과 연동되어 컨테이너의 적재 정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수단이 마련된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로서, 승강수단은 화물차량의 동력이 이용되는 유압실린더로 화물차량의 적재 프레임에 설치되고, 유도수단은 상기 적재 정위치에 따라 승강수단과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유도수단은 서로의 중심이 일치되는 안내공과 이 안내공에 마추어 지는 원추형돌기 등과 같은 경사형돌기로 구분되어져 승강실린더의 상승에 의해 원추형돌기의 경사면이 안내공의 내주와 간섭되면서 그 중심이 서로 일치되고 이에 의해 정위치가 보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컨테이너 전용의 승강수단에 의해 컨테이너를 하역함으로써, 불합리적인 동력의 낭비가 방지되며, 특히 컨테이너의 적재작업시 유도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의 a,b,c 는 컨테이너 지지장치가 포함된 컨테이너에 의한 하역작업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의 a,b,c 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장치에 의해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의 a, b 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실린더와 유도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4 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실린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컨테이너, 2 - 컨테이너 지지대,
10 - 화물적재 프레임, 12 - 승강수단,
14 - 하부프레임, 16 - 유도수단,
18 - 안내공, 20 - 걸림구,
22 - 경사형돌기.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 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상·하역장치의 확대설명도로서, 본 고안은 컨테이너 화물차량의 화물적재 프레임(10)에 컨테이너 지지대(2)가 포함된 컨테이너(1)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12)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12)은 상방향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가 차체의 섀시에 설치되어 차체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이 승강수단(12)의 상단부와 컨테이너(1)의 하부프레임(14)에는 컨테이너(1)의 정위치 적재를 유도하기 위하여 서로 맞물리는 유도수단(16)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유도수단(16)은 맞물릴 때 서로의 중심이 일치되는 안내공(18)과 경사형돌기(22)로 구분되어져, 안내공(18)이 포함되는 걸림구(20)와 상기 경사형돌기(22)가 컨테이너(1)의 적재 정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12)과 컨테이너(1)의 하부프레임(14)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컨테이너 지지대(2)가 포함된 컨테이너(1)의 하역, 특히 컨테이너(1)의 적재시 컨테이너(1)를 정위치에 적재하기 위하여 유도수단(16)이 포함된 컨테이너 전용의 상·하역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승강수단과(12)와 유도수단(16)으로 이루어지며, 승강수단(12)은 화물차량의 동력을 이용한 유압실린더로서 화물차량의 화물적재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컨테이너(1)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최소한 3개 이상이 설치되어야 하며, 4점 지지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12)은 상술된 유압지지대와는 다르며, 이것은 컨테이너(1)만을 위한 전용의 유압실린더이다.
즉, 종래 장착된 유압지지대를 이용할 경우 차체와 더불어 컨테이너를 승강시키는 불합리성이 있었지만, 본 고안의 승강수단(12)은 컨테이너(1)만을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이므로, 상기 화물차량의 유압지지대와 같이 대용량일 필요는 없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1)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만을 소비할 따름이다.
이와 더불어, 화물차량의 어느정도의 적재위치가 결정되어지면 컨테이너(1)의 정확한 적재위치를 잡아주는 유도수단(16)이 마련되어 진다.
유도수단(16)은 컨테이너(1)의 적재위치에 따라 형성되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은 원추형의 경사형돌기(22)와 원형의 안내공(18)에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유도의 범위를 결정하는 안내공(18)과 이 안내공(18)의 중심점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형돌기(22)는 상기 원추형의 돌기와 원형의 안내공(18)에만 한정지어지는 아니고 다수의 형상이 존재할 수 있는데, 다만 바람직한 형상으로서 원형의 안내공(18)과 경사형돌기(22)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도수단(16)에 의한 적재 정위치의 유도는 안내공(18)에 경사형돌기(22)가 삽입될 때 이 두 부재의 간섭에 의한 중심점의 일치이다.
즉, 안내공(18)이 이루는 원의 중심과 경사형돌기(22)의 중심축은 동일축으로서 이 중심과 중심축의 일치가 정위치로 컨테이너(1)가 적재되는 것을 의미하며, 안내공(18)내의 폐면적이 유도수단(16)의 유도범위인 것이다.
이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승강수단(12)의 승강에 의해 경사형돌기(22)가 상승될 때, 경사형돌기(22)의 중심축과 안내공(18)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으면 경사형돌기(22)의 측면인 경사면과 안내공(18)의 내주가 간섭된다.
승강수단(12)이 계속 상승되면 상기 간섭에 의해 안내공(18)이 형성된 걸림구(20)에 승강수단(12)의 외력이 작용되고 이에 의해 걸림구(20), 즉 컨테이너(1)가 이동되면서 서로의 중심이 일치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승강수단(12)에 형성된 경사형돌기(22)가 안내공(18)의 범주내에 위치해 있으면 이러한 컨테이너(1)의 움직임으로 정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안내공(18)의 크기와 이에 따른 경사형돌기(22)의 크기는 정위치 고정을 위해 실험적으로 결정되어질 것이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12)에 경사형돌기(22)가 설치되고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14)에 안내공이 형성된 걸림구(22)가 설치되는 것에 유도수단(16)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도 4 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돌기(22)와 걸림구(22)는 역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컨테이너 지지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전용의 승강실린더가 화물차량의 화물적재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 승강실린더와 컨테이너에는 컨테이너의 적재시 적재 정위치를 마추기 위한 유도수단이 마련됨으로써, 불합리적인 동력의 낭비가 방지되며, 특히 컨테이너의 적재작업시 유도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컨테이너 화물차량의 화물적재 프레임(10)에 컨테이너지지대(2)가 포함된 컨테이너(1)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12)이 차체섀시에 설치되어 지되, 상기 승강수단(12)은 상방향의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이 승강수단(12)과 컨테이너(1)의 하부프레임(14)에는 컨테이너(1)의 정위치 적재를 유도하기 위하여 서로 맞물리는 유도수단(16)이 마련된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도수단(16)은 맞물려지면서 서로의 중심이 일치되는 안내공(18)과 경사형돌기(22)로 구분되어져, 이 안내공(18)이 포함되는 걸림구(20)와 상기 경사형돌기(22)가 컨테이너(1)의 적재 정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12)과 컨테이너(1)의 하부프레임(14)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KR2020000021687U 2000-07-29 2000-07-29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KR200211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87U KR200211646Y1 (ko) 2000-07-29 2000-07-29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87U KR200211646Y1 (ko) 2000-07-29 2000-07-29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950A Division KR100360532B1 (ko) 2000-07-07 2000-07-29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646Y1 true KR200211646Y1 (ko) 2001-01-15

Family

ID=7308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687U KR200211646Y1 (ko) 2000-07-29 2000-07-29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64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532B1 (ko) * 2000-07-29 2002-11-13 (주)코스만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KR100414045B1 (ko) * 2002-05-23 2004-01-13 심광식 구급차용 분리형 컨테이너
KR102127606B1 (ko) 2020-01-08 2020-06-26 박하용 컨테이너 적재차량
KR102484609B1 (ko) * 2022-07-26 2023-01-04 박하용 화물 배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532B1 (ko) * 2000-07-29 2002-11-13 (주)코스만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KR100414045B1 (ko) * 2002-05-23 2004-01-13 심광식 구급차용 분리형 컨테이너
KR102127606B1 (ko) 2020-01-08 2020-06-26 박하용 컨테이너 적재차량
KR102484609B1 (ko) * 2022-07-26 2023-01-04 박하용 화물 배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7150A (ja) コンテナの荷役積載装置
US20090261112A1 (en) Self-lifting/lowering transport container
WO2021047191A1 (zh) 托盘自动运输方法、系统及设备
CA3177465A1 (en) Container handling vehicle
KR200211646Y1 (ko)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IE50283B1 (en) Arrangement for moving the batteries of battery-operated vehicles
EP0346292A1 (en) A self-propelled lift truck, in particular for handling palletized loads
KR100360532B1 (ko) 컨테이너의 상·하역장치
JPS6253379B2 (ko)
CN211140372U (zh) 一种港口码头用集装箱
FI68597B (fi) Anordning foer transport av enhetslast
KR200388140Y1 (ko) 철도화차의 컨테이너 로킹장치
CN215905272U (zh) 一种穿梭车升降装置
RU195011U1 (ru) Корзина для по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автомобильных полуприцепов на вагоне-платформе
JP2017095235A (ja) フォークカバー
KR100881125B1 (ko) 리프트 장치
FI74445B (fi) Anordning foer hantering av packor med laongstraeckt gods saerskilt traevaropackor.
CN110949423A (zh) 导向装置及具有其的车辆
JP2001316073A (ja) クレーンのコンテナ専用吊具
DK180335B1 (en) Lifting Apparatus
CN218805429U (zh) 一种侧翻式自卸车车厢的安装机构
KR200333443Y1 (ko)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JP3100015U (ja) コンテナ昇降装置
CN214296191U (zh) Pc构件装卸运输装置
KR200204527Y1 (ko)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