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58Y1 - 유압 전단기 - Google Patents

유압 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58Y1
KR200211558Y1 KR2020000025662U KR20000025662U KR200211558Y1 KR 200211558 Y1 KR200211558 Y1 KR 200211558Y1 KR 2020000025662 U KR2020000025662 U KR 2020000025662U KR 20000025662 U KR20000025662 U KR 20000025662U KR 200211558 Y1 KR200211558 Y1 KR 200211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tating body
blade
disk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해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58Y1/ko

Links

Landscapes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철제물을 절단하는 유압 전단기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메인 붐대의 선단에 연결핀으로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원반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본체와, 상기 고정원반과 회전원반 사이에 볼트로서 부착되는 베어링 장치와, 상기 회전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날체와, 상기 고정날체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날체와, 상기 고정원반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가동날체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센터조인트로 구성된 유압 전단기에 있어서, 상기 센터조인트의 하부는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 중심부와 회전원반의 중심부까지 관통하여 회전본체의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본체의 내부로 돌출된 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링홈과; 상기 회전본체 내부로 돌출된 센터조인트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준 상태에서 상기 회전원반의 저부에 볼트로 나사체결되는 안전하우징과; 및 상기 안전하우징의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링을 구성하여 철제물 절단작업시 회전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한편 절단된 철제물이 고정 및 가동날체에 끼이지 않게 하는 특징을 지닌 고안이다.

Description

유압 전단기{Oil pressure shear}
본 고안은 각종 철제물을 절단하는 유압 전단기에 관한 것이다.
건설장비인 굴삭기는 메인 붐대에 연결되는 작동암의 선단에 버켓(bucket), 전단기(shear), 크래셔(crasher) 등의 장비를 작업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장비들은 굴삭기 자체에 설치된 유압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굴삭기에 장착되는 각 장비들 중 유압으로 작동되는 전단기 및 크래셔의 경우는 메인 붐대의 작동암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유압 전단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메인 붐대에 연결되는 작동암에 고정상태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본체(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고정원반(101)과 상기 회전본체(200)의 회전원반(201)은 베어링 장치로 결합되는데, 그 베어링 장치는 상기 고정원반(101)의 저부측 주연부에 볼트(102)로 고정 부착되는 고정링(103)과 상기 회전원반(201)의 상부측 주연부에 볼트(202)로 고정 부착되는 회전링(203)이 볼(300)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103)의 내측에서 회전링(203)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링(203)의 내주면에는 유압모터(400)의 구동기어(401)가 치합되는 기어(2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원반(101)의 중심부에는 회전본체(200)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500)를 작동시키는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센터조인트(6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조인트(600)는 그 하부가 회전원반(201)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유압 전단기의 회전본체(200)에는 고정날체(20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날체(205)의 힌지부(206)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가동날체(207)는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고정날체(205)에 대하여 가위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날체(205)와 가동날체(207) 각각의 고정절단날(205a)과 가동절단날(207a)이 설치되는 절단안내판(205b)(207b)들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유압 전단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종래 기술의 유압 전단기는 고정브라켓(100)과 회전본체(200)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101)의 저부측 주연부에 고정링(103)을 부착시키는 볼트(102)와 상기 회전본체의 회전원반(201)의 상부측 주연부에 회전링(203)을 부착시키는 볼트(202)의 나사체결력에 의존하여 결합된 상태인데, 상기의 볼트(102)(202)들은 철제를 절단할 때 절단하고자 하는 철제와의 접촉과 진동 등에 의하여 상기 고정링(103)을 나사체결하고 있는 볼트(102) 또는 상기 회전링(203)을 나사체결하고 있는 볼트(202) 중 어느 쪽이든지 나사풀림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회전본체(200) 자체가 고정원반(101)에서 이완될 수도 있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유압 전단기는 가동날체(207)를 가위식으로 철제를 절단할 때 고정절단날(205a)과 가동절단날(207a)에 의하여 절단된 철제가 쉽게 배출되지 않고 도 5의 가상선부분과 같이 철제가 고정절단날(205a)와 절단안내판(205b)의 사이 및 가동절단날(207a)과 절단안내판(207b)의 사이 각각에 끼이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철제의 절단작동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유압 전단기의 고정브라켓과 회전본체의 결합구조를 베어링 장치를 고정 부착시키는 볼트에만 의존하지 않고 상기 회전본체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센터조인트에 안전장치를 추가로 설치하는 수단으로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전본체를 베어링 장치에 나사체결하는 볼트들이 나사풀림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회전본체가 고정브라켓에서 이완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므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고정날체와 가동날체로 철제를 절단할 때 절단되는 철제가 끼이는 현상없이 고정날체와 가동날체에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굴삭기의 메인 붐대에 연결되는 작동암의 선단에 연결핀으로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원반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본체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과 회전본체의 회전원반 사이에 볼트로서 부착되는 베어링 장치와, 상기 회전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날체와, 상기 고정날체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채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가위식으로 절단작동을 하는 가동날체와, 상기 고정원반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가동날체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센터조인트로 구성된 유압 전단기에 있어서,
상기 센터조인트의 하부는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 중심부와 회전원반의 중심부까지 관통하여 회전본체의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본체의 내부로 돌출된 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링홈과;
상기 회전본체 내부로 돌출된 센터조인트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준 상태에서 상기 회전원반의 저부에 볼트로 나사체결되는 안전하우징과; 및
상기 안전하우징의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링;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안전하우징은 복수개로 분할된 상태에서 센터조인트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회전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날체와, 상기 고정날체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날체 각각에는 고정절단날 및 가동절단날을 부착시키는 부착금구를 기준하여 상기 고정 및 가동절단날 반대쪽을 향해 경사진 끼임방지경사면이 형성된 절단안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 전단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센터 조인트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요부인 가동 및 고정날체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유압 전단기에서 센터조인트 부분을 단면한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의 유압 전단기의 고정날체와 가동날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브라켓 2 : 회전본체
3 : 베어링 장치 4 : 유압모터
5 : 유압실린더 6 : 센터조인트
7 : 안전하우징 11 : 고정원반
21 : 회전원반 22 : 고정날체
22a : 고정절단날 22d,24d : 절단안내판
23 : 힌지부 24 : 가동날체
24a : 가동절단날 31 : 고정링
32,34,71 : 볼트 33 : 회전링
62 : 링홈 72 : 걸림링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 전단기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센터 조인트의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요부인 가동 및 고정날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굴삭기의 메인 붐대에 연결된 작동암의 선단에 복수개의 결합핀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는 회전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고정본체(1)와 회전본체(2)는 베어링 장치(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장치(3)는 고정브라켓(1)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원판(11)과 회전본체(2)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원반(21)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베어링 장치(3)의 고정링(31)은 상기 고정원반(11)의 저부측 주연부에 볼트(32)에 의하여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31)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링(33)은 상기 회전원반(21)의 상부측 주연부에 볼트(34)에 의하여 나사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의 고정원반(11) 상부에는 유압모터(4)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모터(4)의 출력축에 축착된 구동기어(41)는 고정원반(11)을 관통하여 베어링 장치(3)의 회전링(33) 내측에 형성된 기어(33a)에 치합되어 상기 회전링(33)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원반(11)의 중심부에는 회전본체(2)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센터조인트(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조인트(6)는 고정원반(1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됨과 동시 그 하부(61)가 회전원반(21)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본체(2) 내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센터조인트(6)의 하부(61)로서 상기 회전본체(2) 내부로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는 링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원반(21)의 저부측 중심부에는 회전본체(2) 내부로 돌출된 상기 센터조인트(6)의 하부(61)를 감싸주는 안전하우징(7)이 볼트(71)로 나사체결되는데, 상기 안전하우징(7)은 2등분 이상으로 복수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조인트(6)의 하부(61)를 감싸주는 구조로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전하우징(7)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링(72)을 링홈(62)에 삽입시키면서 조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터조인트(6)의 하부(61)를 감싸주는 안전하우징(7)과 그 내주면에 돌출되어 링홈(62)속에 삽입된 걸림링(72)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므로서 회전원반(21)의 회전이 자유롭게 하면서 상기 회전원반(21) 자체를 센터조인트(6)의 하부(61)에 결합된 상태가 되게 하여 상기 고정원반(11) 및 베어링 장치(3)에 나사체결된 볼트(32)(34)가 나사풀림되어 이완되더라도 상기 회전본체(2)가 센터조인트(6)에 걸림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본체(2)에는 고정날체(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날체(22)의 힌지부(23)에는 가동날체(2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동날체(24)는 회전본체(2) 내부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23)를 기점으로 하여 가위식으로 작동하여 고정날체(22)와 함께 절단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날체(22)와 가동날체(24) 각각의 절단작동부측에는 고정절단날(22a)과 가동절단날(24a)을 교체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금구(22b)(24b)가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금구(22b)(24b)가 용접되는 고정판(22c)(24c)은 평탄하게 부착되어 있는 반면에 고정 및 가동절단날(22a)(24a) 각각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절단안내판(22d)(24d)들은 상기 고정 및 가동절단날의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 끼임방지경사면(22e)(24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브라켓(1)과 회전본체(2)를 결합시키는 안전하우징(7)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굴삭기에 유압전단기를 장착하여 각종 철제물을 절단할 때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의 고정원반(11)에 베어링 장치(3)의 고정링(31)을 나사체결하는 볼트(32)와 상기 베어링 장치(3)의 회전링(33)에 회전본체(2)의 회전원반(21)을 나사체결하는 볼트(34)가 철제물에 접촉하게 됨과 동시 절단작동시 유압전단기에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한 볼트(32)(34)들이 나사풀림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나사풀림현상이 심하게 나타나 회전원반(21)을 베어링 장치(3)의 회전링(33)에 나사체결하고 있던 볼트(34)들이 이완되거나 또는 베어링 장치(3)의 고정링(31)을 고정원반(11)에 나사체결하고 있던 볼트(32)가 이완되더라도 상기 회전본체(2)는 고정원반(11)에서 분리되지 않고 센터조인트(6)의 하부(61)에 걸려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원반(21)의 저부측 중심부에 볼트(71)로서 부착되어 있는 안전하우징(7)의 걸림링(72)이 상기 센터조인트(6)의 하부(61)에 형성된 링홈(62)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장치(3)의 고정링(31)과 회전링(33)에 나사조립된 볼트(32)(34)가 나사풀림되었을 때에도 상기 회전본체(2)는 상기 센터조인트(6)의 하부(61)에 형성된 링홈(62)에 걸려있게 되어 회전본체(2)가 고정원반(11)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회전본체(2)의 고정날체(22)와 가동날체(24)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본체(2)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의 작동으로 가동날체(24)가 고정날체(22)쪽으로 회전작동하여 철제물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절단날(22a)과 가동절단날(24a)에 의하여 절단되는 철제물을 받아주는 절단안내판(22d)(24d)이 부착금구(22b)(24b)를 기준하여 고정 및 가동절단날(22a)(24a)의 반대쪽에 위치한 채 각 고정판(22c)(24c)보다 외측으로 밀려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절단안내판 각각에는 각 절단날의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 끼임방지경사면(22e)(24e)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및 가동절단날(22a)(24a)에 의해 절단되는 철제물은 도 3의 가상선부분과 같이 절단안내판(22d)(24d)의 경사진 끼임방지경사면(22e)(24e)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배출되는 상태가 되어 고정절단날(22a)과 절단안내판(22d) 및 가동절단날(24a)과 절단안내판(24d) 사이에 절단된 철제물이 끼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이 철제물 절단작업시 절단되는 철제물이 고정날체(22) 및 가동날체(24)에 끼이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철제물의 절단작업을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압전단기를 굴삭기에 장착하여 철제물을 절단할 때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에 베어링 장치 및 회전본체의 회전원반을 나사체결하고 있던 볼트가 나사풀림되더라도 상기 회전원반의 저부에 부착된 안전하우징이 센터하우징의 하부에 걸림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어 회전본체가 분리되어 낙하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철제물을 절단할 때 절단된 철제물이 고정날체의 고정절단날과 가동날체의 가동절단날 사이에 끼이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므로서 철제물의 절단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철제물의 절단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절단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굴삭기의 메인 붐대에 연결되는 작동암의 선단에 연결핀으로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원반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본체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과 회전본체의 회전원반 사이에 볼트로서 부착되는 베어링 장치와, 상기 회전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날체와, 상기 고정날체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채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가위식으로 절단작동을 하는 가동날체와, 상기 고정원반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가동날체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센터조인트로 구성된 유압 전단기에 있어서,
    상기 센터조인트의 하부는 고정브라켓의 고정원반 중심부와 회전원반의 중심부까지 관통하여 회전본체의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본체의 내부로 돌출된 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링홈과;
    상기 회전본체 내부로 돌출된 센터조인트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준 상태에서 상기 회전원반의 저부에 볼트로 나사체결되는 안전하우징과; 및
    상기 안전하우징의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링;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전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하우징은 복수개로 분할된 상태에서 센터조인트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전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날체와, 상기 고정날체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날체 각각에는 고정절단날 및 가동절단날을 부착시키는 부착금구를 기준하여 상기 고정 및 가동절단날의 반대쪽을 향해 밀려난 채 절단된 철제물의 끼임을 방지하는 끼임방지경사면이 형성된 절단안내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전단기.
KR2020000025662U 2000-09-08 2000-09-08 유압 전단기 KR200211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62U KR200211558Y1 (ko) 2000-09-08 2000-09-08 유압 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62U KR200211558Y1 (ko) 2000-09-08 2000-09-08 유압 전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58Y1 true KR200211558Y1 (ko) 2001-01-15

Family

ID=7308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662U KR200211558Y1 (ko) 2000-09-08 2000-09-08 유압 전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70B1 (ko) 2012-11-30 2014-08-04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70B1 (ko) 2012-11-30 2014-08-04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704B1 (ko) 포크레인용 회전링크
JPH0692705B2 (ja) 油圧式掘削機のための破壊用ツール
US4890798A (en) Structure crushing equipment
CN205100262U (zh) 用于机器的液压驱动的作业工具组件
EP0629747B1 (en) Universal breaker
CN212896564U (zh) 一种液压破碎锤的外壳结构
KR200211558Y1 (ko) 유압 전단기
KR102558578B1 (ko)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CN110259469B (zh) 盾构机及其盾构机刀盘
KR200319901Y1 (ko) 유압파쇄기의 크러셔 죠 간극조정장치
CN210946932U (zh) 一种多回转作业平台及工程车辆
CN207508402U (zh) 一种液压剪
KR20150136562A (ko) 소형굴삭기용 멀티회전장치 와이어쏘오머신 면삭기
KR100874372B1 (ko) 유압절단기의 가동암 벌어짐 방지장치
CN213289970U (zh) 一种精拆拆车钳
CN213654332U (zh) 一种双缸液压剪
CN210067526U (zh) 一种全回转可变剪切刃式钢筋混凝土破拆剪
KR200306190Y1 (ko) 유압 크래셔
KR200267832Y1 (ko) 굴착기의 선단장치
KR200381253Y1 (ko) 유압절단기의 가동아암 벌어짐 방지장치
CN211648055U (zh) 抽油杆液压剪
KR102585931B1 (ko) 어태치먼트 장착해제 식별 기능을 갖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SU1263841A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орган проходческого комбайна
KR102354497B1 (ko)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격조절장치
KR200315511Y1 (ko) 유압 전단기의 칼날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