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070B1 - 유압 절단기 - Google Patents

유압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070B1
KR101425070B1 KR1020120137726A KR20120137726A KR101425070B1 KR 101425070 B1 KR101425070 B1 KR 101425070B1 KR 1020120137726 A KR1020120137726 A KR 1020120137726A KR 20120137726 A KR20120137726 A KR 20120137726A KR 101425070 B1 KR101425070 B1 KR 10142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ulk cap
cap member
cutter body
bu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304A (ko
Inventor
이원해
김호철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0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1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ovel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나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장착되어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유압 절단기에서 중장비 조종석에 탑승한 작업자가 가동아암과 절단기 몸체의 단부에 배치된 블레이드부의 절단작업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붐대의 중심선과 경사진 각도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부와, 붐대의 선단부와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제 1벌크 캡부재와, 제 1벌크 캡부재의 단부로부터 플랜지측으로 연장되고 붐대의 중심선과 경사진 각도로 꺾여진 제 2벌크 캡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압 절단기{SHEAR}
본 발명은 유압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가 굴삭기나 크레인의 중장비의 조종석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철을 절단하는 유압 절단기의 작업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유압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장비인 굴삭기는 메인 붐대에 연결되는 작동암의 선단에 버켓(bucket), 전단기(shear), 크래셔(crasher) 등의 장비를 작업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장비들은 굴삭기 자체에 설치된 유압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굴삭기에 장착되는 각 장비들 중 유압으로 작동되는 전단기 및 크래셔의 경우는 메인 붐대의 작동암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굴삭기를 이용한 유압 절단기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254081호 "유압 크레인 절단기용 어태치먼트"(등록일자: 2001.11.0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에 적용되는 유압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굴삭기 또는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연결되는 벌크 캡(120)과, 상기 벌크 캡(120)과 플랜지(170) 연결되는 절단기 몸체(110)와, 절단기 몸체(110)의 상부에 힌지핀(14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아암(130)과, 가동아암(130)과 절단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터닝커버(160)를 회전기점으로 상기 가동아암(130)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150)와, 상기 절단기 몸체(110)와 가동아암(130)의 단부에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부(200)는 절단기 몸체(110)와 가동아암(130)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와,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칼날(230)과 가동칼날(240)로 구성된다.
상기한 유압 절단기에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0821호 "굴삭기 장착용 파워 고철절단기"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블레이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에 고정된 고정칼날(230)과 가동칼날(240)이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 굴삭기 또는 크레인)의 조종석(11)에 탑승한 작업자는 실제 고철등의 피대상물(P)을 절단하는 작업중에 절단 작업이 수행되는 블레이드부의 작업 부위가 붐대(15) 또는 가동아암(130)에 가려지게 되므로, 피대상물(P)의 절단작업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피대상물(P)의 절단작업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되므로, 미숙련자일 경우 실제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조종석에 벗어나서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254081호 "유압 크레인 절단기용 어태치먼트"(등록일자: 2001.11.0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0821호 "굴삭기 장착용 파워 고철절단기"(등록일자 : 2004.09.30)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굴삭기 또는 크레인의 중장비에 장착되어 고철 등의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작업시 중장비 조종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실제 작업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유압 절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장비의 붐대 선단부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벌크 캡과, 상기 벌크 캡과 플랜지 연결되는 절단기 몸체와, 상기 절단기 몸체의 상부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아암과, 상기 가동아암과 절단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터닝커버를 회전기점으로 상기 가동아암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절단기 몸체와 가동아암의 단부에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절단기 몸체에 고정되는 제 1칼날 고정구에 결합되는 고정칼날과, 상기 가동아암에 고정되는 제 2칼날 고정구에 결합되는 가동칼날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칼날 고정구와 고정칼날 및 가동칼날의 일단부가 상기 절단기 몸체와 가동아암의 단부로 갈수록 일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벌크 캡은 상기 붐대에 연결되고 상기 붐대와 동일선상으로 연결되는 제 1벌크 캡부재와, 상기 제 1벌크 캡부재로부터 상기 플랜지 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진 각도를 갖는 제 2벌크 캡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중장비의 붐대 선단부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벌크 캡과, 상기 벌크 캡과 플랜지 연결되는 절단기 몸체와, 상기 절단기 몸체의 상부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아암과, 상기 가동아암과 절단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터닝커버를 회전기점으로 상기 가동아암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절단기 몸체와 가동아암의 단부에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벌크 캡은 상기 붐대에 직선 형태로 연결되는 제 1벌크 캡부재와, 상기 제 1벌크 캡부재로부터 상기 플랜지 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측으로 갈수록 일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각도를 갖는 제 2벌크 캡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유압 절단기의 블레이드부(200)의 단부가 중장비의 조종석(11)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조종석(11)에 탑승한 작업자가 작업 부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미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작업자의 작업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것에 비해 작업 속도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유압 절단기의 벌크 캡(120)을 직선형의 제 1벌크 캡부재(121)와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제 2벌크 캡부재(123)로 구성함으로써, 조종석(11)에 탑승한 작업자가 작업 부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미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작업자의 작업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것에 비해 작업 속도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은 일단부가 휘어지도록 형성된 블레이드부(200)와 제 1,2벌크 캡부재(121,123)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넓은 작업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유압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블레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유압 절단기가 장착된 굴삭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절단기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절단기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절단기의 제 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굴삭기나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장착되어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유압 절단기에서 중장비 조종석에 탑승한 작업자가 가동아암과 절단기 몸체의 단부에 배치된 블레이드부의 절단작업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절단기의 제 1실시예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굴삭기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의 붐대 선단부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벌크 캡(120)과, 상기 벌크 캡(120)과 플랜지 연결되는 절단기 몸체(110)와, 상기 절단기 몸체(110)의 상부에 힌지핀(14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아암(130)과, 상기 가동아암(130)과 절단기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터닝커버(160)를 회전기점으로 상기 가동아암(130)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150)와, 상기 절단기 몸체(110)와 가동아암(130)의 단부에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200)로 구성된다.
벌크 캡(120)은 일단부에 붐대의 선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핀이 끼워지도록 복수의 결합공(122)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부(200)는 상기 절단기 몸체(110)에 고정되는 제 1칼날 고정구(210)에 결합되는 고정칼날(230)과, 상기 가동아암(130)에 고정되는 제 2칼날 고정구(220)에 결합되는 가동칼날(24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와 상기 고정칼날(230) 및 가동칼날(240)의 일단부가 상기 절단기 몸체(110)와 가동아암(130)의 단부로 갈수록 일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블레이드부(200)는 절단기 몸체(110)의 가동아암(13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 내측에 제 1,2칼날 고정구(210,220)가 고정되고,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에 고정칼날(230)과 가동칼날(240)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아암(130)과 절단기 몸체(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일방향 외측으로 휘어진 각도(θ1)로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부(200)는 평면상에서 중장비의 조종석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칼날(230)과 가동칼날(240)은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의 휨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상기한 블레이드부(200)의 단부가 휘어진 각도는 실제 붐대의 중심선상과 비교해볼 때 10~25°의 각도 범위내에서 휘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0°의 각도보다 미만일 경우에는 휘어짐의 각도가 미약하여 조종석에 탑승한 작업자의 시야 확보가 어렵고, 25°의 각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동아암(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동아암(130)의 가압력이 전달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절단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 1실시예는, 유압실린더(150)의 동작시 가동아암(130)을 회전시키게 되고, 가동칼날(240)이 고정칼날(230)과 교차하는 과정에서 피대상물인 고철이 절단되는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블레이드부(200)가 가동아암(130)과 절단기 몸체(110)의 단부에 외측 일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굴삭기의 조종석에 탑승한 작업자가 피대상물의 절단작업시 붐대의 중심선보다 일방향으로 휘어진 블레이드부(2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절단기의 제 2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실시예의 벌크 캡(120)이 일단부에 힌지핀이 끼워지는 결합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붐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직선 형태로 연결되는 제 1벌크 캡부재(121)와, 상기 제 1벌크 캡부재(12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170) 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170) 측으로 갈수록 일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각도를 갖는 제 2벌크 캡부재(123)로 구성된 것이다.
제 2벌크 캡부재(123)는 제 1벌크 캡부재(121)의 타단부로부터 일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각도로 꺾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벌크 캡부재(123)는 제 1벌크 캡부재(121)의 타단부로부터 붐대의 중심선상으로부터 20~45°의 각도로 꺾어지도록 경사진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20°미만의 각도일 경우에는 조종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렵고, 45°의 각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절단기 몸체(110)와 가동아암(130)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취약한 제 1,2벌크 캡부재(121,123)의 연결부위에 피로하중이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 2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는 달리, 블레이드부(200)가 기존과 동일하게 붐대의 중심선상에 배치되며, 벌크 캡(120)의 제 2벌크 캡부재(123)가 제 1벌크 캡부재(121)로부터 외측(중장비의 조종석 방향)을 향해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중장비의 조종석에 탑승한 상태에서 실제 가동칼날(240)과 고정칼날(230)을 이용한 피대상물의 절단작업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 1,2실시예의 구성요소가 병행된 것으로,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레이드부(200)가 일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고,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벌크 캡부재(121)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연장 형성된 제 2벌크 캡부재(123)로 구성된 벌크 캡(120)을 구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붐대(15)의 중심선과 경사진 각도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부(200)와, 붐대(15)의 선단부와 연결핀(20)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제 1벌크 캡부재(121)와, 제 1벌크 캡부재(121)의 단부로부터 플랜지(170)측으로 연장되고 붐대(15)의 중심선과 경사진 각도로 꺾여진 제 2벌크 캡부재(123) 및 나머지 유압 절단기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중장비(10; 굴삭기, 크레인)의 조종석(11)에 탑승한 작업자는 조종석(11)을 벗어나지 않고도 블레이드부(200)의 휘어진 각도와 제 2벌크 캡부재(123)의 경사진 각도가 더해짐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시야가 넓게 확보되어 가동아암(130)의 회전동작에 의한 피대상물(P)의 절단작업시 작업 부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해 조종석에 탑승한 작업자가 유압 절단기의 작업 부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미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작업자의 작업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것에 비해 작업 속도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 중장비 15 : 붐대
110 : 절단기 몸체 120 : 벌크 캡
121,123 : 제 1,2벌크 캡부재 130 : 가동아암
140 : 힌지핀 150 : 유압실린더
160 : 터닝커버 170 : 플랜지
200 : 블레이드부 210,220 : 제 1,2칼날 고정구
230 : 고정칼날 240 : 가동칼날
P : 피대상물

Claims (3)

  1. 중장비의 붐대 선단부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벌크 캡과, 상기 벌크 캡과 플랜지 연결되는 절단기 몸체와, 상기 절단기 몸체의 상부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아암과, 상기 가동아암과 절단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터닝커버를 회전기점으로 상기 가동아암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절단기 몸체와 가동아암의 단부에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피대상물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는 유압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200)는 상기 절단기 몸체(110)에 고정되는 제 1칼날 고정구(210)에 결합되는 고정칼날(230)과, 상기 가동아암(130)에 고정되는 제 2칼날 고정구(2200에 결합되는 가동칼날(240)을 구비하며,
    상기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와 고정칼날(230) 및 가동칼날(240)의 일단부가 상기 절단기 몸체(110)와 가동아암(130)의 단부로 갈수록 일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절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크 캡(120)은 상기 붐대(15)에 연결되고 상기 붐대(15)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 1벌크 캡부재(121)와,
    상기 제 1벌크 캡부재(121)로부터 상기 플랜지(170) 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170)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진 각도를 갖는 제 2벌크 캡부재(1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절단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2칼날 고정구(210,220)와 고정칼날(230) 및 가동칼날(240)의 일단부가 일방향 외측으로 휘어진 각도는 붐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10~25°이고, 상기 제 1벌크 캡부재(121)로부터 상기 플랜지(170) 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제 2벌크 캡부재(123)가 외측을 향한 경사진 각도는 붐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2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절단기.
KR1020120137726A 2012-11-30 2012-11-30 유압 절단기 KR10142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26A KR101425070B1 (ko) 2012-11-30 2012-11-30 유압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26A KR101425070B1 (ko) 2012-11-30 2012-11-30 유압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304A KR20140072304A (ko) 2014-06-13
KR101425070B1 true KR101425070B1 (ko) 2014-08-04

Family

ID=5112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726A KR101425070B1 (ko) 2012-11-30 2012-11-30 유압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78A (ko) 2016-12-01 2018-06-11 삼일산업기계 (주)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4421B (zh) * 2014-12-29 2017-10-2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绞吸式挖泥船绞刀梁长轴孔绞支架的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558Y1 (ko) 2000-09-08 2001-01-15 대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유압 전단기
KR200381253Y1 (ko) 2005-01-04 2005-04-14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절단기의 가동아암 벌어짐 방지장치
KR200390807Y1 (ko) 2005-04-20 2005-07-27 안광석 커터 간격 조절용 심플레이트를 구비한 철구조물 절단용압쇄기
KR20110033589A (ko) * 2009-09-25 2011-03-31 (주) 진흥이엔지 수목 전지 및 절단용 커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558Y1 (ko) 2000-09-08 2001-01-15 대모 엔지니어링주식회사 유압 전단기
KR200381253Y1 (ko) 2005-01-04 2005-04-14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절단기의 가동아암 벌어짐 방지장치
KR200390807Y1 (ko) 2005-04-20 2005-07-27 안광석 커터 간격 조절용 심플레이트를 구비한 철구조물 절단용압쇄기
KR20110033589A (ko) * 2009-09-25 2011-03-31 (주) 진흥이엔지 수목 전지 및 절단용 커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78A (ko) 2016-12-01 2018-06-11 삼일산업기계 (주)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304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272B2 (en) Upper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cab of construction machinery
JP4763362B2 (ja) 破砕ハンマと、破砕ハンマの固定要素、側板および保護ケーシング
JP5173976B2 (ja) 建設機械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装置
KR101425070B1 (ko) 유압 절단기
JP5834152B2 (ja) ガード付き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油圧ショベル
KR100979429B1 (ko) 건설기계의 상부프레임
JP5446549B2 (ja) 建設機械
KR20100075337A (ko) 시트베이스 슬라이딩 장치
KR20130001690A (ko) 건설기계
KR20130039043A (ko) 이중안전장치를 갖춘 어태치먼트용 클램프
WO2022163388A1 (ja) 建設機械
KR101319658B1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굴삭기용 클램프 안전장치
KR20150128347A (ko) 브레이커용 파편 비산 방지장치
EP2423393A1 (en) Cab protection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ry
CN210438313U (zh) 起重机臂架及起重机
EP2497865B1 (en) Piping guard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JP4816621B2 (ja) 作業機械
CN202492884U (zh) 驾驶室防护装置以及安装驾驶室防护装置的挖掘机
CN204821333U (zh) 挖掘机后视镜的安装结构
JP7247041B2 (ja) 重機用のセンサ取付ステーおよび接触防止機能付き重機
KR20160116409A (ko) 매설형 보조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
JP4781416B2 (ja) 建設機械
JP2002294756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構造
CN210860315U (zh) 一种工字钢安装支架
KR101481199B1 (ko) 피로도 표시기를 구비한 굴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