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375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375Y1
KR200211375Y1 KR2020000018739U KR20000018739U KR200211375Y1 KR 200211375 Y1 KR200211375 Y1 KR 200211375Y1 KR 2020000018739 U KR2020000018739 U KR 2020000018739U KR 20000018739 U KR20000018739 U KR 20000018739U KR 200211375 Y1 KR200211375 Y1 KR 200211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height
winding
roller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우 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우 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우 아이디
Priority to KR2020000018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375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본체(1)의 양측에 한 쌍의 제1,2가이드봉(2)(2A)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2가이드봉(2)(2A) 상에는 싱크대(100)가 고정되는 제1,2고정브라켓트(3)(3A)가 이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2슬라이더(4)(4A)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제1,2가이드봉(2)(2A) 사이의 상부측 중앙부에는 구동모터(51)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 상에 제1,2권취부(52A)(52B)가 동축상으로 상호 일체로 형성된 권취롤(52)이 축설되며, 상기 권취롤(52)의 양측에는 제1,2권취부(52A)(52B)에서 인출된 제1,2와이어로프(53)(53A)가 통과되는 제1,2활차부(54)(55) 및 제1,2아이들롤러(56)(56A)와 제1,2고정브라켓트(3)(3A)에 일체로 형성된 제1,2견인롤러(57)(57A)가 구비되고, 상기 제1,2견인롤러(57)(57A)를 통과한 제1,2와이어로프(53)(53A)의 각 단부측은 본체(1)의 상부측에 고정된 승강구동부(5)를 구비함으로써 정상적인 사람은 물론 통상의 싱크대 기준높이에서 작업이 어려운 지체장애자가 싱크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바닥에서부터 싱크대의 기준높이까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상으로 인한 휠체어 사용자도 싱크대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휠체어를 넣고 싱크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별도의 싱크대 제작이나 사람이 상주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The sink make a possible control heigh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싱크대 기준높이에서 작업을 할 수 없는 지체장애자 또는 부상으로 인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싱크대는 정상적인 사람의 키에 맞추어 기준높이를 정하고, 그 높이로 제작되어 일반가정의 주방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지체장애자 또는 부상으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높이차로 인하여 싱크대를 이용한 설거지 등의 작업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상시 그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상적인 사람이 상주하거나 별도로 싱크대를 주문 제작할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의 싱크대 기준높이에서 작업이 어려운 지체장애자가 싱크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바닥에서부터 싱크대의 기준높이까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상으로 인한 휠체어 사용자도 싱크대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휠체어를 넣고 싱크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편안하게 사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양측에 한 쌍의 제1,2가이드봉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2가이드봉 상에는 싱크대가 고정되는 제1,2고정브라켓트가 이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2슬라이더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제1,2가이드봉 사이의 상부측 중앙부에는 구동모터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상에 제1,2권취부가 동축상으로 상호 일체로 형성된 권취롤이 축설되며, 상기 권취롤의 양측에는 제1,2권취부에서 인출된 제1,2와이어로프가 통과되는 제1,2활차부 및 1,2아이들롤러와 제1,2고정브라켓트에 일체로 형성된 제1,2견인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1,2견인롤러를 통과한 제1,2와이어로프의 각 단부측은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된 승강구동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싱크대의 배수관을 주름관으로 형성하고, 싱크대의 하부측에 휠체어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와 주름관 사이는 주름판으로 차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싱크대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승강구동부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며,
도 2c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브라켓트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2A:제1,2가이드봉
3,3A:제1,2고정브라켓트 31:플랜지
32:고정공 4,4A:제1,2슬라이더
40:슬라이드공 5:승강구동부
51:구동모터 51A:회전축
52:권취롤 52A:제1권취부
52B:제2권취부 53,53A:제1,2와이어로프
54:제1활차부 54A,B,C,D,E,F,G,H:제1활차A,B,C,D,E,F,G,H
55:제2활차부 55A,B,C,D,E,F,G,H:제2활차A,B,C,D,E,F,G,H
56,56A:제1,2아이들롤러 57,57A:제1,2견인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싱크대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체(1)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제1가이드봉(2) 및 제2가이드봉(2A)이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2) 및 제2가이드봉(2A) 상에는 싱크대(100)가 체결되는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를 제1가이드봉(2) 및 제2가이드봉(2A)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1)의 상부측에 승강구동부(5)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부(5)는 중앙부에 구동모터(51)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 상에는 제1와이어로프(53) 및 제2와이어로프(53A)가 귄취된 귄취롤(52)이 축설된다. 또한 상기 권취롤(52)의 양측에는 기중기 원리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1활차부(54) 및 제2활차부(55)가 구비되고, 상기 제1활차부(54) 및 제2활차부(55)를 통과한 제1와이어로프(53) 및 제2와이어로프(53A)는 제1아이들롤러(56) 및 제2아이들롤러(56A)를 거쳐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에 축설된 제1견인롤러(57) 및 제2견인롤러(57A)를 통과해 본체(1)의 상부측에 단부측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싱크대(100)의 하부측은 휠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0)의 후방측 배수관은 주름관(110)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공간부(120)와 주름관(110) 사이는 주름판(130)으로 차단되어 외부에서 상기 주름관(110)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a,도 2b,도 2c는 본 고안의 승강구동부 구성을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승강구동부(5)는 본체(1)의 상부측 중간부에 구동모터(51)를 회전축(51A)이 상부측으로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 상에는 제1,2와이어로프(53)(53A)가 권취된 권취롤(52)이 형성된다. 또, 상기 권취롤(52)은 제1권취부(52A)와 제2권취부(52B)로 분리 구성되고, 이들은 동축상으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52)의 제1권취부(52A) 및 제2권취부(52B)와 본체(1)의 양측 제1,2가이드봉(2)(2A) 사이에는 기중기 원리에 따라 적은 힘으로 중량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1와이어로프(53) 및 제2와이어로프(53A)가 통과되는 제1활차부(54) 및 제2활차부(55)가 구비되고, 각각의 제1,2가이드봉(2)(2A) 상부측에는 제1아이들롤러(56) 및 제2아이들롤러(56A)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가이드봉(2)(2A) 상에 설치된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에는 제1견인롤러(57) 및 제2견인롤러(57A)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활차부(54)는 전방 양측에 한쌍으로 제1활차A,B(54A)(54B)와 제1활차G,H(54G)(54H)가 수평방향의 동일선상으로 구비되고, 이의 후방측에는 각각 제1활차C,D(54C)(54D)와 제1활차E,F(54E)(54F)가 각각 수평방향의 동일선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활차부(55)는 전방양측에 한 쌍으로 제2활차A,B(55A)(55B)와 제2활차G,H(55G)(55H)가 수평방향의 동일선상으로 구비되고, 이의 후방측에는 각각 제2활차C,D(55C)(55D)와 제2활차E,F(55E)(55F)가 각각 수평방향의 동일선상에 구비된다.
이와함께 상기 권취롤(52)의 제1권취부(52A)에서 인출된 제1와이어로프(53)는 제1활차B(54B)를 돌아 제1활차A,B(54A)(54B)를 사이를 통과한 후, 이의 후방측 제1활차C,D(54C)(54D) 사이를 통과하여 다시 제1활차E,F(54E)(54F) 사이를 통과한다. 그런 다음 제1활차F(54F)를 돌아 제1활차G,H(54G)(54H) 사이를 통과한 후 제1활차H(54H)를 돌아 제1가이드봉(2) 상부측 제1아이들롤러(56)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이들롤러(56)를 통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제1와이어로프(53)의 방향이 전환되고, 이 전환된 제1와이어로프(53)는 다시 제1고정브라켓트(3)에 축설된 제1견인롤러(57)를 통과한 후 본체(1)의 상부측에 그 단부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52)의 제2권취부(52B)에서 인출된 제2와이어로프(53A)는 제2활차B(55B)를 돌아 제2활차A,B(55A)(55B) 사이를 통과한 후, 이의 후방측 제2활차C,D(55C)(55D) 사이를 통과하여 다시 제2활차E,F(55E)(55F) 사이를 통과한다. 그런 다음 제2활차F(55F)를 돌아 제2활차G,H(55G)(55H) 사이를 통과한 후 제2활차H(55H)를 돌아 제2가이드봉(2A) 상부측 제2아이들롤러(56A)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아이들롤러(56A)를 통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제2와이어로프(53A)의 방향이 전환되고, 이 전환된 제2와이어로프(53A)는 다시 제2고정브라켓트(3A)에 축설된 제2견인롤러(57A)를 통과한 후 본체(1)의 상부측에 그 단부가 고정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구동모터(51)에 전원을 공급시켜 이의 정.역회전에 의한 와이어로프 전동에 의해서 싱크대(10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에 축설된 권취롤(5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권취롤(52)의 제1권취부(52A) 및 제2권취부(52B)에 제1와이어로프(53) 및 제2와이어로프(53A)가 권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로프(53) 및 제2와이어로프(53A)는 제1활차부(54) 및 제2활차부(55)와 제1,2아이들롤러(56)(56A) 그리고 제1,2고정브라켓트(3)(3A)에 축설된 제1견인롤러(57) 및 제2견인롤러(57A)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견인롤러(57) 및 제2견인롤러(57A)를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견인롤러(57) 및 제2견인롤러(57A)와 결합된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가 함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는 이의 후방측에 결합된 제1슬라이더(4) 및 제2슬라이더(4A)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1가이드봉(2) 및 제2가이드봉(2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에 고정된 가구, 즉 싱크대(100)와 함께 상부측으로 이동시켜 싱크대(100)의 높이를 상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51)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권취롤(52)의 제1권취부(52A) 및 제2권취부(52B)에서 제1와이어로프(53) 및 제2와이어로프(53A)가 풀어지게 되면서 제1견인롤러(57) 및 제2견인롤러(57A)를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함께 제1가이드봉(2) 및 제2가이드봉(2A)을 따라 제1슬라이더(4) 및 제2슬라이더(4A)에 의해 지지된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도 함께 하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3A)에 고정된 싱크대의 높이를 하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싱크대 기준높이에서 작업이 어려운 지체장애자가 싱크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바닥에서부터 싱크대의 기준높이까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상으로 인한 휠체어 사용자도 싱크대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휠체어를 넣고 싱크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별도의 싱크대 제작이나 사람이 상주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1)의 양측에 한 쌍의 제1,2가이드봉(2)(2A)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2가이드봉(2)(2A) 상에는 싱크대(100)가 고정되는 제1,2고정브라켓트(3)(3A)가 이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2슬라이더(4)(4A)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제1,2가이드봉(2)(2A) 사이의 상부측 중앙부에는 구동모터(51)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51A) 상에 제1,2권취부(52A)(52B)가 동축상으로 상호 일체로 형성된 권취롤(52)이 축설되며, 상기 권취롤(52)의 양측에는 제1,2권취부(52A)(52B)에서 인출된 제1,2와이어로프(53)(53A)가 통과되는 제1,2활차부(54)(55) 및 제1,2아이들롤러(56)(56A)와 제1,2고정브라켓트(3)(3A)에 일체로 형성된 제1,2견인롤러(57)(57A)가 구비되고, 상기 제1,2견인롤러(57)(57A)를 통과한 제1,2와이어로프(53)(53A)의 각 단부측은 본체(1)의 상부측에 고정된 승강구동부(5)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00)의 배수관을 주름관(110)으로 형성하고, 싱크대(100)의 하부측에 휠체어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120)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20)와 주름관(110) 사이는 주름판(130)으로 차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KR2020000018739U 2000-06-30 2000-06-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KR200211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39U KR200211375Y1 (ko) 2000-06-30 2000-06-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39U KR200211375Y1 (ko) 2000-06-30 2000-06-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988A Division KR20010025168A (ko) 2000-06-30 2000-06-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375Y1 true KR200211375Y1 (ko) 2001-01-15

Family

ID=7305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39U KR200211375Y1 (ko) 2000-06-30 2000-06-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3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48A (ko) * 2019-01-15 2020-07-23 최창열 싱크대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48A (ko) * 2019-01-15 2020-07-23 최창열 싱크대 높이 조절장치
KR102140558B1 (ko) 2019-01-15 2020-08-03 최창열 싱크대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576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toilet user in standing up
US4003479A (en) Hoist and transporting apparatus
US6006377A (en) Patient carrying device
KR20021137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JP2004321630A (ja) 電動車椅子
KR20010025168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JPH10295749A (ja) 歩行補助器
CN214387296U (zh) 淋浴辅助装置
KR102058890B1 (ko)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KR101403524B1 (ko) 다기능성 침대겸용 목욕대
KR101123760B1 (ko) 고령친화형 샤워 캐리어
JP2926319B2 (ja) 移動支援機器
JPS6159734B2 (ko)
JP3444695B2 (ja) 便座昇降装置
JPH06209970A (ja) 介護用リフト
JPH09580A (ja) 介護用リフト装置
KR102670191B1 (ko) 사륜구동 전동 휠체어
JPH0630778Y2 (ja) 階段昇降装置
JP2001112823A (ja) 介護用走行リフト及び外部レール
JP3715468B2 (ja) 入浴介助装置
JP2004008678A (ja) 介護用スライドチェアシステム
JP2002017796A (ja) 介護補助具
JPH1176323A (ja) 介護用昇降座椅子
EP3235975B1 (en) Bathtub heat insulation cover pulled up and down by wire rope
JP3022876B1 (ja) 浴槽用監視ボックス及び浴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