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80Y1 -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080Y1
KR200211080Y1 KR2019960064308U KR19960064308U KR200211080Y1 KR 200211080 Y1 KR200211080 Y1 KR 200211080Y1 KR 2019960064308 U KR2019960064308 U KR 2019960064308U KR 19960064308 U KR19960064308 U KR 19960064308U KR 200211080 Y1 KR200211080 Y1 KR 200211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 plate
hinged
motor
link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131U (ko
Inventor
최석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4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8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1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1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80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봉(5)에 나사체결되어 이 원형봉(5)이 회전될 때 상호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넓어지는 이동부재(4,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쌍을 이루는 상부링크(7,7')와 하부링크(3,3')가 힌지고정되고, 이 상부링크(7,7')와 하부링크(3,3')가 각각 스텝플레이트(8)와 지지패널(1)에 고정된 고정부재(2)에 힌지이음되는 구조로 되어, 제어유니트(10)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텝플레이트(8)가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내의 플로어에 빈공간이 생기지 않게 되고, 승차 및 하차가 편리해지게 되었다.

Description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본 고안은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시에는 상승되어 시트가 고정된 플로어와 동일평면상에 위치되어 플로어의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된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에는 차체의 측면에 좌우로 여닫히는 슬라이드도어가 구비되어, 이 도어를 통해 차내로 승하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차내의 플로어와 지면과 고저차가 심하므로 승하차시의 편리함을 위해 상기 플로어와 단차를 이루어 스텝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하차하는 탑승자들은 지면에서 1차적으로 상기 스텝플레이트를 밟고, 그 다음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로 올라서게 됨으로써 한층 용이하게 승차할 수 있게 되었고, 하차시에도 지면과 플로어의 중간 높이에 설치된 상기 스텝 플레이트를 밟게 됨으로써 보다 안전한 하차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설치공간으로 인하여 차내에는 플로어의 슬라이드도어측 부분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차내의 바닥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물건의 수납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또한 주행중 물건을 떨어뜨릴 경우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위쪽 공간으로 물건이 떨어지게 되면 꺼내기도 불편하였고, 아이가 있는 경우 안전상의 위험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스텝플레이트가 상승하여 플로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또한 본래의 위치로 하강될 수 있게 됨으로써 주행시 상승되어 차내 플로어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바닥면적이 확대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며, 더불어 탑승자의 승하차동작을 보조하여 보다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된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패널 2 : 고정부재
3,3' : 하부링크 4,4' : 이동부재
5 : 원형봉 6 : 모터
7,7' : 상부링크 8 : 스텝플레이트
9 : 전자석 10 : 제어유니트
11 : 차속센서 12 : 물체감지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패널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힌지이음된 한쌍의 하부링크와, 이 하부링크의 상단에 힌지이음된 두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가 나사체결되어 있는 원형봉과, 이 원형봉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이음된 한쌍의 상부링크와, 이 상부링크가 힌지이음되는 스텝플레이트와, 이 스텝플레이트의 양단에 구비된 전자석과, 상기 원형봉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이 모터에 연결되어 차속센서 및 물체감지센서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모터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원형벙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됨으로써 스텝플레이트가 상승 또는 하강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차체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1)에 고정부재(2)가 고정되고, 이 고정부재(2)의 중앙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하부링크(3,3')의 하단이 힌지이음되며, 이 하부링크(3,3')들의 상단이 2개의 이동부재(4,4')의 하부에 각각 힌지이음되며, 이 이동부재(4,4')의 상부는 한쌍의 상부링크(7,7')의 하단에 각각 힌지이음되며, 이 상부링크(7,7')의 상단은 스텝플레이트(8)의 힌지이음되는 한편, 상기 이동부재(4,4')가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봉(5)에 끼워지되, 상기 두 이동부재(4,4')에는 상호 회전방향이 다른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봉(5)은 모터(6)에 연결되고, 이 모터(6)의 ON/OFF와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0)가 구비되며, 이 제어유니트(10)에 차량에 기구비된 차속센서(11)와 버스의 스텝플레이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도는 물체감지센서(12)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6)가 가동되면 원형봉(5)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이 원형봉(5)에 나사체결된 두 이동부재(4,4')가 원형봉(5)상에서 이동되어 상호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며, 이 이동부재(4,4')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부재(4,4')의 상하부에 힌지이음된 하부링크(3,3')와 상부링크(4,4')에 힌지이음된 스텝플레이트(8)가 상승 또는 하강되게 되며,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석(9)이 작동되어 스탭플레이트(8)의 위치를 고정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니트(10)에는 차속센서(11)로 부터 차량의 정지 및 주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이 정지중일 경우 상기 스텝플레이트(8)를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차량이 주행중일 경우 스텝플레이트(8)를 위쪽 즉, 플로어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시키며, 또한 물체감지센서(12)로 부터 스텝플레이트(8)에 사람이 올라서 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 스텝플레이트(8)를 현재의 위치에서 상반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모터(6)를 회전시키는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중일 때 상기 스텝플레이트(8)가 플로어와 동일평면상에 위치되어 플로어에 아래로 함몰된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활용할 수 있는 바닥면적이 넓어지고, 빈 공간으로 발을 헛디딤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며, 승차 및 하차시에 상기 스텝플레이트(8)가 부드럽게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체중을 지지해 주므로 보다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텝플레이트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게 됨으로써, 주행중 실내에 활용가능한 바닥면적이 넓어지고,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며, 승하차시 탑승자의 동작을 보조해주게 됨으로써 승차 및 하차시 편이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지지패널(1)에 고정된 고정부재(2)와, 이 고정부재(2)에 힌지이음된 한쌍의 하부링크(3,3')와, 이 하부링크(3,3')의 상단에 힌지이음되되 회전방향이 반대인 암나사가 형성된 두 이동부재(4,4')와, 이 이동부재(4,4')의 상부에 힌지이음된 한쌍의 상부링크(7,7')와, 이 상부링크(7,7')가 힌지이음되는 스텝플레이트(8)와, 이 스텝플레이트(8)의 양단에 구비된 전자석(9)과, 상기 이동부재(4,4')가 나사체결되어 있는 원형봉(5)과, 이 원형봉(5)을 회전시키는 모터(6)와, 이 모터(6)에 연결되어 차속센서(11) 및 물체감지센서(12)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0)로 구성된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KR2019960064308U 1996-12-30 1996-12-30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KR200211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308U KR200211080Y1 (ko) 1996-12-30 1996-12-30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308U KR200211080Y1 (ko) 1996-12-30 1996-12-30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131U KR19980051131U (ko) 1998-10-07
KR200211080Y1 true KR200211080Y1 (ko) 2001-02-01

Family

ID=5400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308U KR200211080Y1 (ko) 1996-12-30 1996-12-30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131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864A (en) Angularly movable seat construction for use in vehicle with sliding doors
JP6240385B2 (ja) 車両用知能型サイドステップ装置
US10758433B2 (en) Wheelchair vehicle entry system
KR200211080Y1 (ko) 승합차의 스텝플레이트 승하강장치
JP2844248B2 (ja) パワー回転シート制御方法およびパワー回転シート制御装置
KR20180119116A (ko) 주차타워의 승하강장치
JPH0718912A (ja) 駐車装置
JP2021070370A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KR102633866B1 (ko) 차량의 가변루프 시스템
JPS647163Y2 (ko)
JP3372033B2 (ja) 車両の乗降用スロープ装置
KR200176253Y1 (ko) 차량의사이드스텝
KR0120311B1 (ko) 승합자동차용 승강냉장고
KR200161991Y1 (ko) 승합차량의 사이드 스텝
KR970004322Y1 (ko) 자동차용 원격제어 햇빛 차단장치
JPH0327178Y2 (ko)
JP3402467B2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JPH0121901Y2 (ko)
CN115744548A (zh) 乘客电梯平层防溜动运行机构
KR200195690Y1 (ko) 차량의 코너링시 시트쏠림 방지장치
JPH0627298U (ja) 車両用回転シート
JPS6319482Y2 (ko)
KR0145229B1 (ko) 자동차용 휠 체어 승강장치
JP2000272383A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両のシート昇降装置
KR100320874B1 (ko) 차량 선회 시 도어 록킹 및 윈도우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