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68Y1 -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068Y1
KR200211068Y1 KR2019970042337U KR19970042337U KR200211068Y1 KR 200211068 Y1 KR200211068 Y1 KR 200211068Y1 KR 2019970042337 U KR2019970042337 U KR 2019970042337U KR 19970042337 U KR19970042337 U KR 19970042337U KR 200211068 Y1 KR200211068 Y1 KR 200211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rod
rod
lev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671U (ko
Inventor
천우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6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1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characterised by linkages converting movement, e.g. into opposite direction by a pivoting lever linking two shift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2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9Spring assisted shift, e.g. springs for accumulating energy of shift movement and release it when clutch teeth are alig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변속레바를 파지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변속레바가 엔진의 진동을 전달받아 흔들릴 경우에 레바의 진동이 쉬프트 로드를 통해 변속기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변속레바의 비조작시에 변속레바의 흔들림으로 인한 기어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속레바(1)의 노브(2)를 운전자가 파지하면 온되는 반면에 해방시키면 오프되게 접점스위치(3)가 변속노브에 설치되고, 상기 변속레바의 하단부에는 제1쉬프트 로드(4)의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은 차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제1쉬프트 로드와 분리된 제2쉬프트 로드(5)의 일단은 상기 제1쉬프트 로드와 일부가 중첩되게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타단은 변속기의 링크와 연결되고, 이들 각 쉬프트 로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쉬프트 로드의 중첩되는 선단부에는 치형(4a,5a)이 형성되며, 이 제2쉬프트 로드가 치형을 매개로 상기 제1쉬프트 로드에 연결되게 제2쉬프트 로드를 제1쉬프트 로드쪽으로 밀어주는 리턴스프링(1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접점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면서 접점스위치의 오프시에 치합된 2개의 쉬프트 로드를 분리시키는 쉬프트 로드 분리수단(9,11,12)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변속레바의 노브를 파지하지 않게 되면 변속레바에 연결된 제1쉬프트 로드와 변속기에 연결된 제2쉬프트 로드가 서로 분리되어, 변속레바의 진동이 쉬프트 로드를 통해 변속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변속레바의 진동으로 인한 변속기 기어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회전은 하지만 회전력이 비교적 작고 또 변화하는 범위도 좁은 자동차용 엔진은, 소형이고 경량이면서도 큰 동력을 내야 하기때문에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자동차의 주행저항에 알맞게 하려면 엔진과 구동축 사이에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장치를 두어야 하고, 또한 내연기관은 자기기동을 하지못하기 때문에 기동할 때에는 일단 무부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할 뿐아니라,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역전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차량은 엔진과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그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바퀴에 전달함과 더불어,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역전장치도 구비된 변속기를 두고 있고, 또한 이 변속기의 기어물림 상태를 변화시키는 변속기 조작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상태(발진, 등판, 평탄로 주행 등)에 알맞도록 변속기의 조작기구를 조정하여 변속기의 기어 물림을 변경시켜 기관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 조작기구에는 변속기에 변속레버를 직접 설치한 직접 조작방식과 변속레버와 변속기를 따로이 두고 그 사이를 링크나 케이블 등으로 연결하여 조작하는 원격조작방식이 있고, 이 원격조작방식은 승용차나 리어 엔지 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변속레버와 변속기가 떨어져 있어 그 사이를 링크나 케이블로 연결시키고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격조작방식의 변속기 조작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인 바, 즉 차체의 플로워 패널에 장착된 브라켓(101)에 변속레바(102)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부츠(103)가 씌워지며, 상기 변속레바(102)의 하단부에는 2개의 링크(104,105)가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됨과 더불어 이 링크(104,105)에는 각각 셀렉터 로드(106)와 쉬프트 로드(107)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각 로드의 타단은 변속기(108)에 장착된 2개의 링크(109,110)에 클립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상기 변속레바를 조작해주면 변속레바의 조작력이 상기 각 로드를 통해 변속기의 링크에 전달되고, 각 링크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변속기내에 장착된 기어를 적절히 이동시켜 운전자가 소망하는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변속기 조작기구에서는 변속레바의 조작으로 변속기내의 기어들이 적절히 치합된 상태에서 엔진의 진동이 변속레바에 전달되어 변속레바가 흔들릴 경우에, 변속레바의 진동이 상기 로드를 통해 변속기로 전달되어 치합상태에 있는 기어들이 제위치를 이탈하게 될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변속레바를 파지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변속레바가 엔진의 진동을 전달받아 흔들릴 경우에 레바의 진동이 쉬프트 로드를 통해 변속기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변속레바의 비조작시에 변속레바의 흔들림으로 인한 기어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기 조작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변속레바 2-노브
3-접점스위치 4-제1쉬프트 로드
5-제2쉬프트 로드 6-변속기
7-링크 8-실린더
9-피스톤 10-리턴스프링
11-진공펌프 12-솔레노이드 밸브
13-시동스위치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속레바의 노브를 운전자가 파지하면 온되는 반면에 해방시키면 오프되게 접점스위치가 변속노브에 설치되고, 상기 변속레바의 하단부에는 제1쉬프트 로드의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은 차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제1쉬프트 로드와 분리된 제2쉬프트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1쉬프트 로드와 일부가 중첩되게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타단은 변속기의 링크와 연결되고, 이들 각 쉬프트 로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쉬프트 로드의 중첩되는 선단부에는 치형이 형성되며, 이 제2쉬프트 로드가 치형을 매개로 상기 제1쉬프트 로드에 연결되게 제2쉬프트 로드를 제1쉬프트 로드쪽으로 밀어주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접점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면서 접점스위치의 오프시에 치합된 2개의 쉬프트 로드를 분리시키는 쉬프트 로드 분리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쉬프트 로드 분리수단이, 상기 제2쉬프트 로드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수용하면서 하단부에 포트가 형성된 실린더, 이 실린더에 부압을 공급하기 위해 실린더와 진공라인을 통해 연결된 진공펌프, 상기 접점스위치와 연결되면서 진공라인상에 설치되어 실린더를 대기와 연통되게 하는 대기포트와 실린더를 진공펌프와 연결시키는 연결포트를 갖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인 바, 즉 변속레바(1)의 상단부에 체결된 변속노브(2)에는 2개의 서로 이격된 전극판을 갖추고서 운전자가 변속노브를 파지하면 온되는 반면에 변속노브를 해방시키면 오프되는 접점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속레바의 하단부에는 2개로 분할된 제1쉬프트 로드(4)의 일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제1쉬프트 로드와 소정간격을 두고서 일부가 중첩되게 배열된 제2쉬프트 로드(5)는 차체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면서 변속기(6)의 링크(7)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쉬프트 로드(4,5)가 서로 중첩되는 선단부에는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도록 치형(4a,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쉬프트 로드(5)는 실린더(8)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9)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피스톤(9)은 실린더내에서 리턴스프링(10)을 매개로 탄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실린더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진공펌프(11)와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진공펌프(11)와 실린더사이의 진공라인에는 개폐밸브(12)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 개폐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상기 진공라인을 개방시켜 진공펌프와 실린더가 연통되게하는 포트(12a)와, 상기 실린더를 대기와 연통시키는 대기포(12b)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는 상기 노브에 장착된 접점스위치와 연결되고, 이 접점스위치는 시동스위치(13)를 매개로 밧데리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을 변속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변속레바를 파지하면, 상기 접점스위치가 온되면서 접점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고,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면서 대기포트(12b)를 진공라인과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가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개로 대기와 연통되어, 실린더내에는 대기압이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내의 피스톤은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받아서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게 되고, 이 피스톤의 운동으로 제2쉬프트 로드의 선단부가 제1쉬프트 로드의 선단부와 치형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바를 조작하면, 변속레바의 조작력이 2개의 쉬프트 로드를 통해 변속기의 링크로 전달되어, 운전자가 소망하는 대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운전자가 소망하는 대로 변속한 상태에서 변속레바를 해방시키면, 상기 접점스위치가 오프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고 있던 전원이 차단되게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포트(12a)를 개방시켜 진공펌프와 실린더가 솔레노이드 밸브를를 매개로 서로 연통되게 한다.
이에 따라 진공펌프의 부압은 진공라인을 통해 실린더에 작용해서 피스톤이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러한 피스톤의 하방운동으로 제1쉬프트 로드에 치합되어 있던 제2쉬프트 로드가 제1쉬프트 로드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엔진의 진동이 변속레바에 전달되어 변속레바가 흔들리게 되더라도 변속레바의 운동은 2개의 서로 분리된 쉬프트 로드에 의해 변속기로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변속레바의 진동으로 변속기내의 기어들이 제위치를 제위치를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변속레바를 조작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진공펌프의 부압으로 2개의 분할된 쉬프트 로드가 서로 분리되어, 엔진의 진동이 변속레바에 전달되어 변속레바가 흔들리게 되더라도 변속레바의 흔들림운동이 변속기로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변속된 기어들이 제위치를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된다.

Claims (2)

  1. 변속레바의 노브를 운전자가 파지하면 온되는 반면에 해방시키면 오프되게 변속노브에 설치된 접점스위치와, 상기 변속레바의 하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은 차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쉬프트 로드, 일단이 상기 제1쉬프트 로드와 일부가 중첩되게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타단은 변속기의 링크와 연결된 제2쉬프트 로드, 이들 각 쉬프트 로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쉬프트 로드의 중첩되는 선단부에 형성된 치형, 이 제2쉬프트 로드가 치형을 매개로 상기 제1쉬프트 로드에 연결되게 제2쉬프트 로드를 제1쉬프트 로드쪽으로 밀어주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접점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면서 접점스위치의 오프시에 치합된 2개의 쉬프트 로드를 분리시키는 쉬프트 로드 분리수단을 갖춘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로드 분리수단이, 상기 제2쉬프트 로드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수용하면서 하단부에 포트가 형성된 실린더, 이 실린더에 부압을 공급하기 위해 실린더와 진공라인을 통해 연결된 진공펌프, 상기 접점스위치와 연결되면서 진공라인상에 설치되어 실린더를 대기와 연통되게 하는 대기포트와 실린더를 진공펌프와 연결시키는 연결포트를 갖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KR2019970042337U 1997-12-29 1997-12-29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KR200211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337U KR200211068Y1 (ko) 1997-12-29 1997-12-29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337U KR200211068Y1 (ko) 1997-12-29 1997-12-29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71U KR19990029671U (ko) 1999-07-26
KR200211068Y1 true KR200211068Y1 (ko) 2001-04-02

Family

ID=5389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337U KR200211068Y1 (ko) 1997-12-29 1997-12-29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71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448A (en) Gear shifting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KR960702883A (ko) 대형 2 행정 내연기관(a large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11068Y1 (ko) 변속기 기어 이탈방지장치
US2733696A (en) schneider
KR960012231B1 (ko)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CN2267189Y (zh) 单臂拉杆式残疾人汽车驾驶操纵机构
EP1116620A3 (en)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US2001337A (en) Transmission operating and controlling apparatus
PL360831A1 (en) Drive selec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vehicle with driven axle
US4905536A (en) Power transmission change-over device for small sized vehicles
JPH0329973B2 (ko)
JP4545088B2 (ja) 油圧式バルブ駆動装置ならびにそれを含むエンジンおよび車両
KR910004258Y1 (ko) 차량용 수동식 클러치장치
JP2556835Y2 (ja) 小型移動農機におけるミツシヨン入力軸の正逆転切換構造
KR100283331B1 (ko) 엔진의 보기류 구동용 기어 변속장치
JPH06265Y2 (ja) 作業車の前輪変速構造
JP2545595Y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制御装置
JPH06278677A (ja) 自動2輪車の変速補助装置
CN1095679A (zh) 带辅助发动机装置的自行车
KR100264604B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JPH0523212B2 (ko)
SU17455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коробками передач колесной машины с двум двигател ми
KR0146731B1 (ko) 내연기관의 정,역회전용 캠축시스템
KR900008932Y1 (ko) 보행형 관리기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변속레버
KR19990020647U (ko) 반자동 변속기용 클러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