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409Y1 -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 Google Patents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409Y1
KR200210409Y1 KR2020000024363U KR20000024363U KR200210409Y1 KR 200210409 Y1 KR200210409 Y1 KR 200210409Y1 KR 2020000024363 U KR2020000024363 U KR 2020000024363U KR 20000024363 U KR20000024363 U KR 20000024363U KR 200210409 Y1 KR200210409 Y1 KR 200210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outlet
track
piston rod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4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409Y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에 관한 것으로, 유압실린더(16) 내부의 유압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22)와 유출구(23)를 가진 설치공(21)이 상기 유압실린더(16)의 몸체(17)에 형성되며, 조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8)의 허용하중에 대응하는 유압의 임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21)에 조절나사(25)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유입구(22) 및 유출구(23)를 폐쇄시키는 완충편(26)이 상기 설치공(21) 내에 마련되며, 상기 조절나사(25)와 완충편(26) 사이에 압축스프링(27)이 지지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8)에 허용하중 이상의 과부하가 작용되면 유압은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변되고, 그 유압에 의해 상기 완충편(26)이 압축스프링(27)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유입구(22) 및 유출구(23)가 개방됨과 동시에 유압이 상기 유출구(23)를 통해 배출되어 그 유압의 배출량 만큼 피스톤로드(18)에 작용되는 과부하를 완충하여 장애물의 고착에 의해 궤도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될 경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작용되는 과부하를 완충수단이 완충하므로, 장력조절장치는 물론 궤도, 스프라켓, 유동륜 아암 등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운행을 유지할 수 있는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Buffering unit of tension adjusting apparatus for caterpillar battle-car}
본 고안은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물의 고착에 의해 궤도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할 경우,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과부하를 완충할 수 있는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궤도 전투차량은 본래 기동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방호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무한궤도(caterpillar)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한궤도는 특히, 평지, 야지 또는 경사로 등 다양한 주행여건에 놓이게 되므로, 그때마다 노면 상태와 무관하게 궤도가 차체에 견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궤도장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근 개발되어 실전에 배치되고 있는 궤도 전투차량은 야지에서 주로 운용되는 궤도차량의 주행안정성을 위해 일정수준 이상의 궤도장력을 유지하며, 주행 조건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식 궤도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유압식 궤도 장력조절장치는 전투차량의 궤도를 지지하도록 차량의 전방 상단에 설치된 유동륜과 결합되어 있으며, 차체에 고정된 지지 스핀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유동륜 아암과 이 아암에 연결된 유압실린더 즉, 궤도장력 조절실린더(TAC, Track Adjusting Cylinder)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궤도장력 조절장치는 전투차량 기동시 궤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궤도 장력조절장치는 아무런 완충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야지와 같이 장애물이 많은 주행로를 주행하는 도중, 무한궤도가 급작스레 돌출된 장애물에 고착(jaming)되면서 순간적으로 유압실린더에 과부하가 작용된다. 이와 같은 과부하는 장력조절장치는 물론 기타 구성요소 예컨대, 궤도, 스프라켓, 유동륜 아암 등에 영향을 미쳐 부품이 파손되고, 결국에는 인적 또는 물적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장애물의 고착으로 인해 궤도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할 경우,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과부하를 완충하여 인적 물적사고를 줄 일 수 있는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을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에 있어서,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을 나타내 보인 개력적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한궤도 11... 유동륜
12... 지지스핀들 13... 유동륜아암
14... 유동륜스핀들 15... 베어링연결부
16... 유압실린더 17... 몸체
18... 피스톤로드 19... 피봇축
21... 설치공 22... 유입구
23... 유출구 24... 귀환라인
25... 조절나사 26... 완충편
27... 압축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은 유압실린더가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되면서 내부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로드를 전진시키면 유동륜아암이 스핀들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암의 중간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유동륜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유동륜을 감고 있는 무한궤도에 일정수준의 장력을 가하게 되는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압실린더 내부의 유압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진 설치공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몸체에 형성되며, 조작에 의해 피스톤로드의 허용하중에 대응하는 유압의 임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에 조절나사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폐쇄시키는 완충편이 상기 설치공 내에 마련되며, 상기 조절나사와 완충편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지지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에 허용하중 이상의 과부하가 작용되면 유압은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변되고, 그 유압에 의해 상기 완충편이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유압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그 유압의 배출량 만큼 피스톤로드에 작용되는 과부하를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유출구는 귀환라인과 상호 연결되어 있어 그 라인을 통해 배출된 유압은 다시 유압실린더 내부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애물의 고착에 의해 궤도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될 경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작용되는 과부하를 완충수단이 완충하므로, 장력조절장치는 물론 궤도, 스프라켓, 유동륜 아암 등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운행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장력조절장치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전투차량의 무한궤도(10)를 지지하도록 차량의 전방 상단에 설치된 유동륜(11)과 결합되어 있으며, 차체에 고정된 지지스핀들(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유동륜아암(13)과, 이 아암(13)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6) 즉, 궤도장력 조절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동륜 아암(13)의 중단에는 유동륜(11)이 회전지지되는 유동륜 스핀들(14)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베어링 연결부(15)에 의해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로드(18)가 볼 소켓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16)는 피스톤로드(18) 대향측에 구비된 피봇축(19)에 의해 차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력조절장치는 전투차량 기동시 무한궤도(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상태에서 규정된 적정값의 장력을 궤도(10)에 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유압실린더(16)가 피봇축(19)을 중심으로 피봇되면서 내부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로드(18)를 전진시키면 유동륜아암(13)이 스핀들(14)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암(13)의 중간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유동륜(11)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유동륜(11)을 감고 있는 무한궤도(10)에 일정수준의 장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충수단은 상기 유압실린더(도 1의 16)의 몸체(17)에 마련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6) 내부의 유압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22)와 유출구(23)를 가진 설치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8)의 허용하중에 대응하는 유압의 임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21)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25)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공(21) 내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22) 및 유출구(23)를 폐쇄시키는 완충편(26)과, 상기 조절나사(25)와 완충편(26) 사이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설치공(21)은 유압실린더(도 1의 16)의 몸체(17)에 대하여 소정깊이의 원형홈으로 형성되며, 최하부는 후술되는 원추형상의 완충편(26)이 수용가능하도록 그 완충편(26)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6) 내의 유압이 유입가능하도록 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21)의 내벽에는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유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23)는 귀환라인(24)과 상호 연결되어 있어 그 라인을 통해 배출된 유압은 다시 유압실린더(16) 내부로 복귀된다.
상기 조절나사(25)는 설치공(21)의 상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그 조절나사(25)를 조이거나 풀어 피스톤로드(18)에 작용하는 허용하중에 따라 유압의 임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조절나사(25)는 그 조작에 의해 압축스프링(27)에 지지된 완충편(26)을 가압하여 유압실린더(16) 내의 유압이 가지는 임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완충편(26)은 설치공(21)의 하부에 마련되며, 대략 원추형상을 취하고, 평상시 즉, 피스톤로드(도 1의 18)에 허용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압축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해 유입구(22)와 유출구(23)를 폐쇄시키게 되고, 반대로, 피스톤로드(18)에 허용하중 이상의 과부하게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임계압력 이상으로 작용되는 유압에 의해 들어올려져 유입구(22)와 유출구(23)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축스프링(27)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조절나사(25)와 완충편(26)의 사이에 마련되어 조절나사(25)의 조작에 따라 완충편(26)에 지지되어 압축되고, 피스톤로드(도 1의 18)에 허용하중 이상의 과부하게 작용하게 되는 경우 임계압력 이상으로 작용되는 유압에 의해 완충편(26)이 상방으로 밀려나면서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소정량의 유압이 설치공(21)의 유출구(23)를 통해 배출되면 탄성바이어스되어 원래의 상태로 이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에 있어서, 그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투차량의 주행시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로드(18)에 허용하중이 걸리게 되면 이 때의 유압은 임계압력을 벗어나지 않아, 완충편(26)은 압축스프링(27)에 탄성바이어스되어 설치공(21)의 최하부에 위치되고, 그 설치공(21) 내의 유입구(22) 및 유출구(23)를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유압의 임계압력은 조절나사(25)를 조작하여 원하는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절나사(25)를 조이면 압축스프링(27)은 완충편(26)에 지지되어 수축되고, 이 때의 임계압력은 상승된다. 반대로, 조절나사(25)를 풀면 압축스프링(27)이 이완되고, 이 때의 임계압력은 감소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투차량이 장애물이 산재한 주행로 특히, 야지를 주행할 경우, 궤도(10)가 장애물에 고착되어 그 궤도는 순간적으로 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 때, 피스톤로드(18)에는 그 장력의 증가로 인해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즉, 그 하중은 허용하중 이상으로 작용되어 과부하로 작용되는 것이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피스톤로드(도 1의 18)에 과부하게 작용되면, 유압실린더(16) 내부의 유압은 임계압력 이상으로 작용한다. 즉, 이러한 압력을 가진 유압은 유입구(22)를 통해 진입하면서 완충편(26)과 부딪히게 되고, 완충편(26)은 임계압력에 대응하는 압축스프링(27)의 압축력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러므로, 완충편(26)이 상방으로 들어올려 짐에 따라 설치공(21)의 유입구(22)는 개방되고, 동시에 유출구(23) 또한 개방된다. 그러면, 유압은 유입구(22)를 통해 설치공(21) 내부로 진입하고, 자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 유출구(23)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유출구(23)를 통해 배출된 유압은 귀환라인(24)을 통해 다시 유압실린더(도 1의 16)의 내부로 복귀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도 1의 )에 허용하중 이상으로 작용된 과부하는, 유압이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변되어 유출구(23)를 통해 소정량 배출되기 때문에, 유출구(23)를 통해 배출된 유압의 양만큼 완충된다. 그리고, 유출구(23)를 통해 유압이 배출되면, 유압실린더(16) 내부의 유압은 다시 임계압력으로 전환되고, 이로 인해, 완충편(26)은 압축스프링(27)의 탄성력에 탄성바이어스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되도돌아 오게 된다.
이와 같이, 완충수단에 의해 피스톤로드에 걸리는 과부하를 완충하게 되면, 그 과부하로 인해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한 다른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은 장애물의 고착에 의해 궤도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될 경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작용되는 과부하를 완충수단이 완충하므로, 장력조절장치는 물론 궤도, 스프라켓, 유동륜 아암 등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운행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유압실린더(16)가 피봇축(19)을 중심으로 피봇되면서 내부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로드(18)를 전진시키면 유동륜아암(13)이 스핀들(1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암(13)의 중간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유동륜(11)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유동륜(11)을 감고 있는 무한궤도(10)에 일정수준의 장력을 가하게 되는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압실린더(16) 내부의 유압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22)와 유출구(23)를 가진 설치공(21)이 상기 유압실린더(16)의 몸체(17)에 형성되며, 조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8)의 허용하중에 대응하는 유압의 임계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21)에 조절나사(25)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유입구(22) 및 유출구(23)를 폐쇄시키는 완충편(26)이 상기 설치공(21) 내에 마련되며, 상기 조절나사(25)와 완충편(26) 사이에 압축스프링(27)이 지지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8)에 허용하중 이상의 과부하가 작용되면 유압은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변되고, 그 유압에 의해 상기 완충편(26)이 압축스프링(27)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유입구(22) 및 유출구(23)가 개방됨과 동시에 유압이 상기 유출구(23)를 통해 배출되어 그 유압의 배출량 만큼 피스톤로드(18)에 작용되는 과부하를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23)는 귀환라인(24)과 상호 연결되어 있어 그 라인을 통해 배출된 유압은 다시 유압실린더(16) 내부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KR2020000024363U 2000-08-28 2000-08-28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KR200210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63U KR200210409Y1 (ko) 2000-08-28 2000-08-28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63U KR200210409Y1 (ko) 2000-08-28 2000-08-28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409Y1 true KR200210409Y1 (ko) 2001-01-15

Family

ID=7308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63U KR200210409Y1 (ko) 2000-08-28 2000-08-28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4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5B1 (ko) 2008-12-29 2009-06-25 김주영 유압을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수단을 갖는 유체 제어용 매니폴드
KR102003316B1 (ko) 2018-11-30 2019-07-31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무한궤도차량의 처짐 제어장치
KR102009483B1 (ko) 2018-11-30 2019-08-26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인버터를 장착한 특수차량 및 인버터 안전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5B1 (ko) 2008-12-29 2009-06-25 김주영 유압을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수단을 갖는 유체 제어용 매니폴드
KR102003316B1 (ko) 2018-11-30 2019-07-31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무한궤도차량의 처짐 제어장치
KR102009483B1 (ko) 2018-11-30 2019-08-26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인버터를 장착한 특수차량 및 인버터 안전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6013B2 (en) Dynamic tensioner locking device for a track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40090020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active suspension damper
JP2001501155A (ja) 正のばねおよび負のばねを有する調節可能なサスペンション装置
RU2000123691A (ru) Опора шасс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балки тележки шасси в заданное угловое положение
US6327799B1 (en) Snow-removing machine
EP0934872A2 (en) Rear derailleur with shock absorber
KR200210409Y1 (ko) 궤도 전투차량용 장력조절장치의 완충수단
US7597411B2 (en) Device for operating a track tension wheel
KR101982324B1 (ko) 휠체어용 캐스터
FR2630301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une rampe de pulverisation agricole
KR200309252Y1 (ko) 무한궤도의 트랙 장력조절장치
JP2001336649A (ja) カウンターウェイト機構を有する逆止弁の緩衝装置
CA2982193C (en) Dynamic tensioner locking device for a track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19980017565A (ko) 트럭용 게이트 충격흡수 장치
KR100248836B1 (ko) 쇽업쇼바
KR100511391B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200319240Y1 (ko) 차량용 쇽업소버
SU1745604A1 (ru) Амортизационно-нат жной механизм гусениц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950007884Y1 (ko) 감쇠특성 조절이 가능한 유기압식 현수장치
KR200293213Y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100448066B1 (ko)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198077B1 (ko) 풍압을 이용한 차량의 차고 조절 장치
KR20050037743A (ko) 스테빌라이저 바 제어시스템
JPH06174121A (ja) 開度補助装置付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