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150Y1 -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150Y1
KR200210150Y1 KR2020000022825U KR20000022825U KR200210150Y1 KR 200210150 Y1 KR200210150 Y1 KR 200210150Y1 KR 2020000022825 U KR2020000022825 U KR 2020000022825U KR 20000022825 U KR20000022825 U KR 20000022825U KR 200210150 Y1 KR200210150 Y1 KR 200210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earphone
support plate
groov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래
Original Assignee
기한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한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한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150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임력을 갖는 행거에 의해 이어폰의 장착 및 착용감이 양호한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어폰용 스피커(12) 및 수신용 기판(14)이 내장되는 헤드부(10)와, 이 헤드부가 장착되고 덮개(24)로 커버되는 이어폰 본체 (20)를 구비한 공지의 이어폰(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일 측면으로는 스프링 걸이홈(22)을 형성하되 이 걸이홈으로는 행거 받침판(40)을 일체로 고정설치하며, 상기 행거 받침판(40)으로는 행거(50)를 회동조작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행거 받침판(40)과 상기 행거(50)의 지지판(52)으로 형성된 스프링 걸이홈(42)(54)으로는 비틀림 스프링(30)을 탄력설치 하여 상기 이어폰(1)을 귀에 착용할 때 상기 행거(50)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30)에 의해 적정한 조임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Earring type wireless earphone hanger apparatus}
본 고안은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력을 갖는 행거에 의해 이어폰의 장착 및 착용감이 양호한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귀걸이형 이어폰은 종래 이어폰 헤드부를 귀속에 꽂아 사용함에 따른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이는 별도의 행거를 이용하여 이어폰을 귀에 걸어 사용함으로서 이어폰의 장착에 따른 거부감을 다소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의 경우에는 이어폰을 귀에 걸어 장착하기 위한 행거가 일반적으로 이어폰 본체에 대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단순히 회동 조작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어폰의 사용시 사용자가 행거를 일일이 벌리거나 오므려주는 조작을 하여야 하는 착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행거 자체에 조임력이 전혀 발휘되지 않고 단순히 귀에 걸어져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사용도중 행거가 유동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이어폰의 착용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귀걸이형 이어폰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어폰 본체에 설치되는 행거에 적정한 회동 조임력을 부여함으로서, 이어폰의 장착이 보다 간편 용이하고 신속할 뿐 아니라 착용시 행거의 조임력에 의한 이어폰의 유동이 방지되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고 항상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하도록 한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도내지 도5는 도1에 도시된 이어폰 행거장치의 조립순서 상태를 보인 일 측면도로서,
도2는 이어폰 본체에 대하여 행거 받침판이 고정되고 이에 비틀림 스프링이 내장된 상태이며,
도3은 도2의 이어폰 본체에 대하여 커버판이 씌워진 상태이고,
도4는 도3에 있어서 행거 받침판상에 행거가 설치된 상태이며,
도5는 도4에 있어서 행거 지지판에 최종적으로 덮개가 씌워진 상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가 오므려진 상태의 일 측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를 귀에 걸기 위하여 일방으로 벌어진 상태의 일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이어폰 10: 헤드부
20: 이어폰 본체 22: 스프링 걸이홈
30: 비틀림 스프링 40: 행거 받침판
42: 가이드 홈 50: 행거
52: 행거 지지판 54: 스프링 걸이홈
60: 덮개 62: 회동 제어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의 특징은, 이어폰용 스피커 및 수신용 기판이 내장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가 장착되고 덮개로 커버되는 이어폰 본체를 구비한 공지의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면으로는 스프링 걸이홈을 형성하되 이 걸이홈으로는 행거 받침판을 일체로 고정설치하며, 상기 행거 받침판으로는 행거를 회동조작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행거 받침판과 상기 행거의 지지판으로 형성된 스프링 걸이홈으로는 비틀림 스프링을 탄력설치 하여 상기 이어폰을 귀에 착용할 때 상기 행거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적정한 조임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행거의 지지판으로는 덮개를 더 설치하되 이로는 회동 제어편을 형성하고, 상기 행거 받침판으로는 회동 제어편이 삽설되는 가이드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이어폰 착용에 따른 행거의 회동 조작 거리가 상기 가이드홈의 범주내에서 만 이루어지도록 억제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1에 도시된 이어폰(1)은 양쪽 귀에 장착되는 것 중 왼쪽귀에 장착되는 것만을 발췌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1)은 이어폰용 스피커(11) 및 수신용 기판(12)이 내장 설치되고, 장착시 귀에 밀착되는 헤드부(10)와, 이 헤드부(10)가 수용 장착되는 프라스틱 사출물의 이어폰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폰본체(20)의 일 측면의 가장자리로는 비틀림 스프링(30)의 일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걸이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 걸이홈(22)으로는 호형의 가이드 홈(24a)이 형성된 행거 받침판(24)이 고정나사(25)로 고정설치 된다. 여기서 행거 받침판(40)은 그 내부가 중공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 스프링 걸이홈(22)에 일단부가 걸어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30)이 수용되어 진다.
그리고, 이어폰(1)의 착용시 귀에 걸어지는 행거(50)의 지지판(52)으로는 중앙부로 비틀림 스프링(30)의 타 단부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걸이홈(54)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장자리로는 행거 받침판(40)에 대하여 행거(5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걸림턱(56) 및 받침용 가이드편(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행거(50)는 이어폰 본체(20)에 고정된 행거 받침판(40)에 대하여 각 스프링 걸이홈(22)(52)으로 걸어진 비틀림 스프링(30)에 의해 탄력적인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되고, 이어폰(1)의 착용시 귀에 항상 적정한 조임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행거(50)의 지지판(52)을 커버하는 덮개(60)로는 행거(50)의 과도한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회동제어핀(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 제어핀(62)은 조립시 행거 지지판(52)에 형성된 구멍(59)을 통해 행거 받침판(40)의 가이드 홈(42)에 삽설 지지된다.
따라서 행거(50)는 회동 제어핀(62)에 의해 행거 받침판(40)의 가이드 홈(42)의 범주내에서만 회동 조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과도한 회동 조작이 자연적으로 억제됨과 동시에 이어폰의 착용시 비틀림 스프링(30)에 의한 행거(50)의 적정한 조임력도 항상 유지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1에서 미 설명부호 16 및 18는 일단부가 헤드부(10)의 기판(12)과 연결되어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코드와, 일 단부로 이어폰 잭(18a)이 형성된 코드이며, 24는 이어폰 본체(20)에 있어서 행거 받침판(4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본체 덮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도2내지 도5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2와 같이 이어폰 본체(20)의 일 측으로 헤드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타 측면의 스프링 걸이홈(22)으로는 비틀림 스프링(30)의 일 단부를 걸어 고정한 다음 행거 받침판(40)을 고정나사(44)로 고정한다. 그런 다음 도3과 같이 이어폰 본체(20)의 행거 받침판(4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본체 덮개(24)로 완전히 커버하며, 행거 받침판(40)으로는 도4와 같이 행거(50) 지지판(52)으로 형성된 스프링 걸이홈(54)으로 비틀림 스프링(30)의 타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행거(50)를 회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판(52)으로 덮개(60)를 씌워 컵버하되 이에 형성된 회동 제어핀(62)이 행거 받침판(40)의 가이드 홈(42)에 삽설되는 상태로 설치하여주면 조립이 완료되는 바, 여기서 설명한 조립 순서는 획일화된 것은 아니며, 작업의 편리성에 따라 그 조립순서는 얼마든지 자유로이 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조립 구성되는 본 고안에 대하여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이어폰(1)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6은 행거(50)가 비틀림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져 있는 상태로서, 행거(50)는 이어폰(1)의 장착을 위해 일방으로 강제 회동시키지 않는 이상 항상 도6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행거(5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받침판(40)의 가이드 홈(42)의 일 단부에 회동 제어핀(62)이 강제로 걸려져 있어 과도한 회동이 억제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어폰(1)을 귀에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단 도6과 같이 행거(50)에 힘을 가하여 화살표(A)방향으로 밀어 벌려준다. 그러면 이 때 행거(50)는 도7과 같이 행거 받침대(40)의 스프링 걸이홈(42)에 일단부가 고정된 비틀림 스프링(30)을 강제로 탄발하면서 벌어지게 되고, 강제로 벌어지는 행거(50)는 도7과 같이 회동 제어핀(62)이 가이드 홈(42)의 타 단부에 결려 더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어진다.
이렇게 행거(50)가 강제로 벌어진 상태에서 이어폰(1)이 귀 구멍에 위치되는 상태로 행거(50)를 귀에 걸어준 다음 행거(50)를 벌리기 위해 강제로 밀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행거는 다시 도7과 같이 비틀림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되어지면서 오므려져 귀를 압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어폰(1)은 행거(50)의 압박력에 의해 안정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어폰(1)의 착용시 귀를 압박하는 행거(50)는 그 압박정도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거(50)의 회동 조작이 회동 제어핀(62)과 가이드 홈(42)에 의해 적절히 억제되도록 사전에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과도한 압박이 방지되고, 항상 적정한 압박(조임력)을 가하게되어 이어폰(1)의 착용에 따른 과도한 압박감으로 인하여 귀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제반 문제가 전혀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특히 행거 (50)의 적정한 조임력에 의해 이어폰(1)은 신체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도 귀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어폰 본체에 설치되는 행거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적정한 회동 조임력을 갖기 때문에 이어폰의 장착시 행거를 벌린다음 이를 다시 오므려주지 않아도 자연 복귀됨에 따라 종래 귀걸이형 이어폰에 비하여 착용이 보다 간편 용이하고 신속할 뿐 아니라 행거의 조임력에 의한 이어폰의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게되고 동시에 이어폰의 유동이 방지되어 착용도중 이어폰이 귀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게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2)

  1. 이어폰용 스피커(12) 및 수신용 기판(14)이 내장되는 헤드부(10)와, 이 헤드부가 장착되고 덮개(24)로 커버되는 이어폰 본체(20)를 구비한 공지의 이어폰(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일 측면으로는 스프링 걸이홈(22)을 형성하되 이 걸이홈(22)으로는 행거 받침판(40)을 일체로 고정설치하며, 상기 행거 받침판(40)으로는 행거(50)를 회동조작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행거 받침판(40)과 상기 행거(50)의 지지판(52)으로 형성된 스프링 걸이홈(42)(54)으로는 비틀림 스프링(30)을 탄력설치 하여 상기 이어폰(1)을 귀에 착용할 때 상기 행거(50)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 (30)에 의해 적정한 조임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50) 지지판(52)으로는 덮개(60)를 더 설치하되 이로는 회동 제어편(62)을 형성하고, 상기 행거 받침판(40)으로는 회동 제어핀(62)이 삽설되는 가이드홈(42)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이어폰(1)의 착용에 따른 행거(50)의 회동 조작 거리가 상기 가이드홈(42)의 범주내에서 만 억제 이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KR2020000022825U 2000-08-10 2000-08-10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KR200210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825U KR200210150Y1 (ko) 2000-08-10 2000-08-10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825U KR200210150Y1 (ko) 2000-08-10 2000-08-10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150Y1 true KR200210150Y1 (ko) 2001-01-15

Family

ID=7305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825U KR200210150Y1 (ko) 2000-08-10 2000-08-10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1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8388B1 (en) Headphone
JP4123600B2 (ja) ヘッドホン装置
KR100824188B1 (ko) 헤드셋
US20060166722A1 (en) Mobile phone back clip device
JP3127080U (ja) ツールチャック装置
CN202551124U (zh) 一种带夹扣的手机保护壳
JP3973558B2 (ja) 調整可能マイクロホンブームを有するヘッドセット
KR200210150Y1 (ko)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JP2002122129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CN107734414B (zh) 一种头戴耳机
JP2002009911A (ja) 携帯端末装置
KR200235866Y1 (ko) 귀걸이형 이어셋
KR20030086291A (ko) 전자 장치 클립
KR200473346Y1 (ko) 일체형 지지대를 가진 통신단말기
KR200190646Y1 (ko) 안경다리의 귀 걸이부재 구조
CN215779690U (zh) 按摩仪
KR100368967B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의 각도 조절장치
JP3135957U (ja) 装身具
KR200162631Y1 (ko)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JP2002062373A (ja) 腕時計の構造
KR200309343Y1 (ko) 혁대용 버클
KR200196755Y1 (ko) 거울이 부착된 문서홀더.
KR200352734Y1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242056Y1 (ko) 헤어클립
KR200265712Y1 (ko) 헤드폰형 귀마개 조립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