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31Y1 -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31Y1
KR200162631Y1 KR2019970025881U KR19970025881U KR200162631Y1 KR 200162631 Y1 KR200162631 Y1 KR 200162631Y1 KR 2019970025881 U KR2019970025881 U KR 2019970025881U KR 19970025881 U KR19970025881 U KR 19970025881U KR 200162631 Y1 KR200162631 Y1 KR 200162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adjustment knob
drag adjustment
nu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279U (ko
Inventor
정대인
Original Assignee
정대인
주식회사금양레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인, 주식회사금양레포츠 filed Critical 정대인
Priority to KR2019970025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31Y1/ko
Publication of KR970060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리일의 스풀축에 장착되는 드래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래그조정손잡이와 드래그캡 및 클릭클로우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시 회전음이 부드러우며 회전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므로서 생산 원가를 줄일수 있는 낚시용 리일의 드래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너트공(7b)에 너트(7)를 삽설하고, 상기 너트(7)의 삽입부(7a)에 스프링(8)을 끼운 후 드래그캡(4)과 환형걸림판(6)을 피스(10)로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끼움지지부(5a)와 걸림턱부(5b)를 형성하고,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지지부(5a)에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지며 삽입공(3a)과 탄성돌출편(3b)으로 형성된 클릭클로우(3)를 억지끼움으로 삽입 설치하고,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부(5b)에는 내면에 요철부(4a)가 형성된 드래그캡(4)의 덮개부(4b)를 밀착시켜 결합된 것으로서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클릭클로우에 의해 회전음을 발생시켜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시 회전음이 부드러우며 회전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클릭클로우를 드래그조정손잡이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삽입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하므로서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 원가를 줄일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리일의 드래그 장치
본 고안은 낚시용 리일의 스풀축에 장착되는 드래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래그조정손잡이와 드래그캡 및 클릭클로우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시 회전음이 부드러우며 회전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므로서 생산 원가를 줄일수 있는 낚시용 리일의 드래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리일에 사용되는 드래그장치는 일본 공개번호 실개평3-34775호(1991,4,4)로 알려져 있으며 그에따른 구성 및 작용관계를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풀축(1)에 축방향으로 걸어맞춤된 드래그캡(4)에 형성된 환형의 돌환부(15)에는 탄성체를 절단 절곡하여 절곡돌출부(9)가 형성된 환형스프링(10)이 삽입지지되는 걸림절결부(11,12)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스풀축(1)에 나사결합하는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안쪽에 형성된 걸림턱부(14)에는 환형스프링(10)에 형성된 절곡돌출부(9)와 맞물려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회전시 회전음을 내기 위한 걸어맞춤요철부(13)가 수직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도 1에 도시된 분해되어 있는 각 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드래그조정손잡이(5)가 스풀축(1)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드래그조정손잡이(5)를 회전시키면 환형스프링(10)의 절곡돌출부(9)가 드래그조정손잡이(5)에 형성된 걸어맞춤요철부(13)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미끄러지면서 걸어맞춤요철부(13)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지날 때 마다 회전음을 발생하는 동시에 드래그조정손잡이(5)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서 너트(7)를 전진 후퇴시켜 코일스프링(8)을 통하여 드래그캡(4)을 가압하고 그 가압도에 따라 스풀(2)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제동판의 압착정도를 조절하여 스풀(2)의 드래그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드래그장치에 있어서 드래그캡(4)에 형성된 돌환부(15)에 걸림절결부(11,12)가 형성되어 있어 드래그캡(4)의 구성이 복잡하며, 절곡돌출부(9)가 형성된 환형스프링(10)을 드래그캡(4)에의 돌환부(15)에 형성된 걸림절결부(11,12)에 삽입하여 드래그조정손잡이(5)와 조립할 경우 숙련을 요할뿐 만 아니라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드래그조정손잡이(5)를 회전할 경우에는 환형스프링(10)의 절곡돌출부(9)가 걸어맞춤요철부(13)에 대하여 탄발적으로 미끄러지므로 걸어맞춤요철부(13)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지날 때 마다 발생하는 회전음이 둔탁하며, 회전저항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클릭클로우에 의해 회전음을 발생시켜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시 회전음이 부드러우며 회전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클릭클로우를 드래그조정손잡이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삽입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하므로서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 원가를 줄일수 있도록 한 것으로, 드래그조정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된 너트공에 너트를 삽설하고, 상기 너트의 삽입부에 스프링을 끼운 후 드래그캡과 환형걸림판을 피스로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의 일측에 끼움지지부와 걸림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지지부에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지며 삽입공과 탄성돌출편으로 형성된 클릭클로우를 억지끼움으로 삽입 설치하고,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부에는 내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드래그캡의 덮개부를 밀착시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의 일부절결 확대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탄성돌출편이 일부 절단상태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부의 드래그캡에 형성된 요철부의 확대도
도 6는 도 3의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클릭클로우 3a : 삽입공 3b : 탄성돌출편
4 : 드래그캡 4a : 요철부 4b : 덮개부
5 : 드래그조정손잡이 5a : 끼움지지부 5b : 걸림턱부
6 : 환형걸림판 7 : 너트 7a : 삽입부
7b : 너트공 8 : 스프링 10 : 피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부호는 편의상 종래의 낚시용 리일의 드래그 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하게 기재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탄성돌출편이 일부 절단상태의 확대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부의 드래그캡에 형성된 요철부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는 도 3의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의 조립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미설명 부호 1은 스풀축이며, 1a는 나선부 이고, 3c는 절개홈이며, 4c는 축구멍이고 20은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드래그장치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리일의 드래그장치는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너트(7)를 삽입하는 너트공(7b)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7)에는 스프링(8)을 끼운 후 스프링(8)이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부(7a)가 형성되어 있으며,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는 끼움지지부(5a)와 걸림턱부(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지지부(5a)에는 탄성판을 절단(切斷)하고 절곡(折曲)하여 주위가 절개되어 절개홈(3c)이 형성된 삽입공(3a)과 탄성돌출편(3b)으로 형성된 클릭클로우(3)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부(5b)에는 덮개부(4b)가 형성된 드래그캡(4)의 내면에는 요철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성판을 절단(切斷)하고 절곡(折曲)하여 이루어진 클릭클로우(3)에 형성된 끼움지지부(5a)의 직경보다 적은 삽입공(3a)을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지지부(5a)에 억지끼움하면 삽입공(3a)에 형성된 절개홈(3b)에 의해 억지끼움되면서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너트공(7b)에 너트(7)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너트(7)의 삽입부(7a)에 스프링(8)을 끼운 후, 내면에 요철부(4a)가 형성된 드래그캡(4)의 덮개부(4b)를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부(5b)에 밀착시킨 후, 환형걸림판(6)을 덮은후에 피스(10)로 결합하여 간편하게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풀축(1)에 축구멍(4c)이 형성된 드래그캡(4)을 삽입한 후 드래그조정손잡이(5)를 회전시키면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너트공(7b)에 삽입된 너트(7)가 스풀축(1)에 형성된 나선부(1a)에 나사 결합된다.
드래그캡(4)이 드래그조정손잡이(5)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스풀(2)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제동판에 의해 드래그 제동력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드래그조정손잡이(5)를 회전시키면 탄성돌출편(3b)이 드래그캡(4)의 내면에 형성된 요철부(4a)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스쳐지나가면서 부드러운 회전음을 발생하는 동시에 드래그조정손잡이(5) 회전시 가는 탄성돌출편(3b)이 드래그캡(4)의 내면에 형성된 요철부(4a)를 스쳐지나가므로 회전 저항이 적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드래그조정손잡이(5)를 회전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드래그의 제동력을 조절한 후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탄성돌출편(3b)이 드래그캡(4)의 내면에 형성된 요철부(4a)의 오목부에 걸리게 되어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공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용 리일의 드래그장치는 드래그캡의 내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여 드래그조정손잡이의 내면에 설치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클릭클로우에 의해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클릭클로우에 의해 회전음이 발생하므로 드래그조정손잡이의 회전시 회전음이 부드러우며 회전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클릭클로우를 드래그조정손잡이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삽입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하므로서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 원가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너트공(7b)에 너트(7)를 삽설하고, 상기 너트(7)의 삽입부(7a)에 스프링(8)을 끼운 후 드래그캡(4)과 환형걸림판(6)을 피스(10)로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끼움지지부(5a)와 걸림턱부(5b)를 형성하고,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지지부(5a)에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지며 삽입공(3a)과 탄성돌출편(3b)으로 형성된 클릭클로우(3)를 억지끼움으로 삽입 설치하고,
    상기 드래그조정손잡이(5)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부(5b)에는 내면에 요철부(4a)가 형성된 드래그캡(4)의 덮개부(4b)를 밀착시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KR2019970025881U 1997-09-06 1997-09-06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KR200162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881U KR200162631Y1 (ko) 1997-09-06 1997-09-06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881U KR200162631Y1 (ko) 1997-09-06 1997-09-06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79U KR970060279U (ko) 1997-12-10
KR200162631Y1 true KR200162631Y1 (ko) 1999-12-15

Family

ID=1951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881U KR200162631Y1 (ko) 1997-09-06 1997-09-06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79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5059Y2 (ko)
KR200450483Y1 (ko) 로터리 딥 스위치
KR200162631Y1 (ko)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JP3662631B2 (ja) シフトレバーノブの取り付け構造
JP2008108537A (ja) 操作スイッチの取付け装置
JP2610794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JP2536595Y2 (ja) キーシリンダ装置
JPS6320006Y2 (ko)
JPH0233570Y2 (ko)
CN210623428U (zh) 一种防止回位弹簧销脱落的结构
KR200309343Y1 (ko) 혁대용 버클
JPS6354920B2 (ko)
KR200210150Y1 (ko)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JP2533543Y2 (ja) カランの取付構造
JPH037222Y2 (ko)
JP3034442B2 (ja) 操作装置
JPH0646301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調整摘まみの弛緩防止装置
JPH0529268U (ja) ブラシスプリング
JPH0122867Y2 (ko)
JP2576589Y2 (ja) ラッチ取付構造
JPS6119665Y2 (ko)
JP3482520B2 (ja) カッターナイフ
KR100211498B1 (ko) 시동전동기의 브러쉬홀더아세이 구조
JPS5910648Y2 (ja) 灯具ユニツト
JP4259731B2 (ja) 回転体のトルク出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