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343Y1 - 혁대용 버클 - Google Patents

혁대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343Y1
KR200309343Y1 KR20-2003-0001376U KR20030001376U KR200309343Y1 KR 200309343 Y1 KR200309343 Y1 KR 200309343Y1 KR 20030001376 U KR20030001376 U KR 20030001376U KR 200309343 Y1 KR200309343 Y1 KR 200309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support
elastic mem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혁
Original Assignee
이성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혁 filed Critical 이성혁
Priority to KR20-2003-0001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혁대를 고정하는 고정편과 버클의 축공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혁대를 고정시키는 힘을 크게하고 구성요소의 수를 절감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일측에 구성된 레버의 회동에 의해 혁대의 체결과 해제를 용이하게 하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혁대를 고정하도록 회동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도록 축공이 형성되는 버클본체; 및 상기 버클본체의 축공과 고정구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혁대용 버클{buckle for belt}
본 고안은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혁대를 고정하는 고정편과 버클의 축공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여 혁대의 체결과 해제가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이용되어 오던 혁대는 버클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고리와 혁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천공된 결합공을 체결하여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혁대는 장기간 사용시 버클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고리에 체결되는 혁대의 결합공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었고 그에 따른 외관상의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혁대는 고리에 결합공이 체결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신체적인 변화에 따라 혁대의 길이상태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따랐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버클본체에 고리를 형성하지 않으며 또한 혁대에 결합공을 천공하지 않고도 혁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체결과 해제가용이한 혁대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105003호의 혁대용 버클을 도 1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혁대용 버클(10)은 스톱퍼(15)의 힌지부(15c)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사각축(14), 사각축(14)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도록 브라켓트(16c)가 돌출된 스톱퍼 지지대(16), 스톱퍼 지지대(16)에 끼워진 사각축(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톱니부(15a)가 형성된 스톱퍼(15), 사각축(14)에 끼워지고 스톱퍼(15)와 스톱퍼 지지대(16)의 사이에 설치되어 스톱퍼에 탄력을 부가하는 제1 비틀림 스프링(17), 일측단이 스톱퍼 지지대의 스프링 지지부(16a)에 탄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버클본체(10a)의 일측 보강편에 탄력지지되어 회동되는 스톱퍼 지지대를 복원시키는 제2비틀림 스프링(19) 및 사각축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사각축을 외력에 의해 회동시키는 레버(18)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혁대용 버클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혁대(1)의 선단부 부터 버클의 내측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제1, 제2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버클의 본체 내벽측으로 탄력적으로 접근되어 있는 스톱퍼(15)가 혁대의 선단부에 밀려서 도 2(a)의 a와 같이 스톱퍼 지지대(16)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톱퍼 지지대(16)는 사각축(14)이 회동되어야만 회동되고 사각축이 회동하지 않으면 움직임이 없이 정지된 상태이며 상기 스톱퍼(15)는 상기 정지된 상태의 스톱퍼 지지대의 내측에서 제1비틀림 스프링(17)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상태이므로 스톱퍼만 스톱퍼 지지대측으로 밀리면서 버클로 혁대의 삽입이 이루어지 지게 된다.
그리고 도 2(b)의 b와 같이 혁대(1)가 버클로 삽입되면서 혁대의 결착구(2)가 스톱퍼의 톱니부(15a)에 도달하면 스톱퍼(15)는 제1비틀림 스프링(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혁대의 결착구(2)측으로 원위치 이동하여 스톱퍼의 톱니부가 상기 결착구에 맞물리면서 걸리게 된다.
이후 혁대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c)의 c와 같이 레버(18)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사각축(14)에 고정설치된 스톱퍼 지지대(16)가 레버 및 사각축이 회동하는 방향으로 도 2(c)의 d와 같이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톱퍼 지지대(16)가 레버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톱퍼 지지대의 걸림턱(16d)이 스톱퍼의 걸림부(15b)에 걸리게 되므로 스톱퍼(15)도 스톱퍼 지지대(16)와 동일하게 d와 같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혁대(1)와 스톱퍼의 톱니부(15a)의 간격이 벌어져 혁대를 해제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혁대용 버클은 톱니부가 형성된 스톱퍼와 스톱퍼 지지대가 사각축에 의해 결합되어 제1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부가받아 혁대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혁대를 고정시켜주는 스톱퍼와 그 스톱퍼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나뉘어져 있어 스프링으로 스톱퍼에 탄성력을 부가하더라도 혁대를 고정하는 결착력이 약해 제대로 혁대를 고정시켜주지 못하여 사용자의 작은 신체의 변화에도 혁대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혁대를 해제하기위해 레버를 회전시키고나서 혁대를 버클에서 인출하고 레버에 가했던 힘을 풀게되면 제2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스톱퍼 지지대와 스톱퍼가 제위치(혁대를 버클의 내측으로 삽입시키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인데 제2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한시켜줄 별다른 장치가 없어 스톱퍼 지지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아니고 제위치를 벗어나므로써 다시 혁대를 체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외력으로 스톱퍼 지지대를 제위치로 복원시키고 체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나아가 복잡한 구성요소로 인해 제작과 조립이 어려워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혁대를 고정하는 고정편과 버클의 축공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혁대를 고정시키는 힘을 크게하고 구성요소의 수를 절감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일측에 구성된 레버의 회동에 의해 혁대의 체결과 해제를 용이하게 하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한 혁대용 버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혁대용 버클의 스톱퍼와 스톱퍼지지대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의 (a), (b), (c)는 종래의 혁대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혁대가 버클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혁대가 버클에서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c)는 혁대가 버클에서 해제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을 확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혁대 30; 버클본체
32; 플랜지 32a; 축공
34; 절단면 36; 지지돌기
40; 고정구 42; 지지대
42a; 회전공 42aa; 걸림홈
42b; 요홈 44; 고정편
44a; 돌기 44b; 스톱퍼
50; 탄성부재 60; 회전축
62 레버 64 걸림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실시예로서,
혁대를 고정하는 버클에 있어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혁대를 고정하도록 회동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도록 축공이 형성되는 버클본체; 및 상기 버클본체의 축공과 고정구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회전축과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공이 천공되어 있는 지지대와; 일체로 된 상기 지지대의 후면에 헉대를고정하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제한하도록 스톱퍼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상기 버클본체는 축공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톱퍼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절단면을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클본체는 절단면의 일측에 탄성부재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공의 걸림홈과 밀착되도록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을 제공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혁대가 버클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혁대를 버클에서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c)는 혁대가 버클에서 해제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혁대용 버클은 이면에 플랜지(32)가 형성된 버클본체(30), 고정구(40), 탄성부재(50) 및 회전축(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클본체(30)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2)는 중간부에는 축공(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32a)의 후방으로 절단면(34)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면(34)에는 탄성부재(5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발생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회전축(60)에 의해 상기 축공(32a)에 결합되는 고정구(40)는 회전공(42a)이 천공된 지지대(42) 및 상기 지지대(42)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편(44)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42)와 고정편(4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42)는 회전축(6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회전공(42a)이 천공되며 일측에는 탄성부재의 일단(54)이 지지되도록 요홈(42b)(도 4참조)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지지대 내주면(회전공)(42a)에는 일정한 크기의 걸림홈(42aa)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42)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편(44)은 상부에 혁대(1)를 고정시키도록 복수개의 돌기(44a)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2)의 절단면(34)에 접속되도록 일측면에 스톱퍼(44b)가 돌설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구(40)는 지지대(42)와 고정편(44)이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편(44)과 지지대(42)가 해당되는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어 구성되는 종래의 버클보다 혁대에 대한 결착력을 크게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지지대(42)의 회전공(42a)에 안착되어 일단(54)은 지지대의 요홈(42b)에 지지되고 타단(52)은 플랜지의 지지돌기(36)에 지지되어 고정구(40)가 회동될 경우 제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고정구(40)에 탄성복원력을 부가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32)의 축공(32a)과 고정구(40)의 회전공(42a)을 결합시키는 회전축(60)은 일측면에 사용자의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레버(62)가 형성되고 외주연의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의 걸림돌기(64)가 돌출되어 상기 고정구(40)의 내주연(회전공)(42a)에 형성된 걸림홈(42aa)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고정구(40)를 회동자재가 아닌 고정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5의 (a)는 혁대(1)가 버클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50)의 일단(54)이 지지대의 요홈(42b)에 지지되고 타단(52)이 플랜지의 지지돌기(36)에 지지되므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구(40)가 회전축(60)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되어 고정편의 돌기(44a)가 혁대의 이면에 밀착되어 혁대를 고정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탄성부재(50)에 의한 고정구(40)의 탄성복원력은 고정편(44)의 스톱퍼(44b)가 플랜지의 절단면(34)에 접속되어 걸리게 되므로그 힘의 양이 제한되게 된다.
이후, 혁대(1)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레버(62)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면 회전축의 걸림돌기(64)와 밀착된 지지대(42)의 걸림홈(42aa)을 회전시켜주므로 상기 지지대(42)가 탄성부재(50)를 압축시키면서 회전축(6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대(42)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44)이 혁대(1)의 이면에서 분리되는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후 혁대(1)를 버클본체(30)에서 인출한다.
레버(62)에 가압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 5의 (c)와 같이 지지대(42)는 압축되었던 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으로 복원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이 플랜지(32)의 절단면(34)에 접속되는 스톱퍼(44b)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항상 초기상태의 고정편(44)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혁대(1)를 체결할 경우, 고정편(44)을 혁대(1)로 밀게 되면 상기 고정편(4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원하는 위치에서 혁대(1)를 놓게되면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편(44)이 혁대(1)와 밀착되어 혁대(1)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고안 혁대용 버클에 따르면, 혁대를 고정하는 고정편과 버클의 축공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혁대를 고정시키는 힘을 크게하고 구성요소의 수를 절감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일측에 구성된 레버의 회동에 의해 혁대의 체결과 해제를 용이하게 하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혁대를 고정하는 버클에 있어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혁대를 고정하도록 회동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도록 축공이 형성되는 버클본체; 및
    상기 버클본체의 축공과 고정구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회전축과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공이 천공되어 있는 지지대와 일체로 된 상기 지지대의 후면에 혁대를 고정하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제한하도록 스톱퍼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용 버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을포함하는 혁대용 버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본체는 축공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톱퍼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절단면을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본체는 절단면의 일측에 탄성부재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공의 걸림홈과 밀착되도록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혁대용 버클.
KR20-2003-0001376U 2003-01-16 2003-01-16 혁대용 버클 KR200309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376U KR200309343Y1 (ko) 2003-01-16 2003-01-16 혁대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376U KR200309343Y1 (ko) 2003-01-16 2003-01-16 혁대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343Y1 true KR200309343Y1 (ko) 2003-03-31

Family

ID=4940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376U KR200309343Y1 (ko) 2003-01-16 2003-01-16 혁대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3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97Y1 (ko) 2008-12-11 2009-10-16 유덕상 혁대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97Y1 (ko) 2008-12-11 2009-10-16 유덕상 혁대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0994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03065321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2522941A (ja) スナップファスナ
JPH0528603B2 (ko)
JP2001207721A (ja) 小型開閉装置
US20100037431A1 (en) Hinge and collapsible device utilizing the same
JPH028091Y2 (ko)
JPH0865369A (ja) ヒンジ部材
KR200309343Y1 (ko) 혁대용 버클
US6427291B1 (en) Buckle
KR101087428B1 (ko) 벨트용 버클
JPH11325013A (ja) ヒンジ兼用ロック具
KR200320873Y1 (ko) 혁대용 버클
JPH0225895Y2 (ko)
KR200239247Y1 (ko) 버클의 회동장치
JP2000184906A (ja) 紐留め具
JPH0339589Y2 (ko)
CN216588187U (zh) 连接机构以及淋浴房
KR910008296Y1 (ko) 버클
JP2006000267A (ja) リング状耳飾り
KR200179913Y1 (ko) 벨트용 버클
KR200201865Y1 (ko) 벨트용 버클
WO2007111094A1 (ja) 回転ダンパー
JPS593082Y2 (ja) ヒンジ用カバ−
KR200162631Y1 (ko) 낚시용리일의 드래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