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247Y1 - 버클의 회동장치 - Google Patents

버클의 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247Y1
KR200239247Y1 KR2020010011376U KR20010011376U KR200239247Y1 KR 200239247 Y1 KR200239247 Y1 KR 200239247Y1 KR 2020010011376 U KR2020010011376 U KR 2020010011376U KR 20010011376 U KR20010011376 U KR 20010011376U KR 200239247 Y1 KR200239247 Y1 KR 200239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uckle
belt
rotating body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덕상
Original Assignee
유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상 filed Critical 유덕상
Priority to KR2020010011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247Y1/ko

Link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클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버클 회전장치는 홈부가 형성된 핀축과, 개구부와 걸림편이 형성된 걸림쇠와, 양측단이 내·외측으로 절곡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그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핀축에 설치되어 일단은 홈부에 끼워지고, 타단은 개구부에 걸리면서 복원력을 갖춰야 되는 스프링의 조립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예시도 2내지 4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회동체(20)에 스프링고정부(22)를 갖춘 스프링탄지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탄지부(24)에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상부절곡단(26)과 하부절곡단(28)을 갖춘 스프링(30)을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30)에 상단돌부(32)와 하단돌부(34)를 갖춘 조정부(36)를 설치하고, 걸림편(44)의 외부에 일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패킹(46)을 사출성형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조정부(36)에 의해 회동체(20)의 복원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조립작업시 조정부(36)가 스프링(30)을 압축하며 스프링탄지부(22)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간단히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에 의해 걸림편(44)과 일체를 이루는 패킹(46)에 의해 벨트(56)의 배면과의 접하는 단면이 확대되어 마찰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어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클의 회동장치{Rotating device for buckle}
본 고안은 버클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봉형의 회동체에 스프링탄지부를 형성하고, 탄지되는 스프링의 일단은 회동체에 고정하며, 타단은 조정부의 하단에 고정하여 버클몸체과 결합하는 회동체가 항시 벨트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한 버클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의복, 특히 바지의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벨트의 양단부를 결속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버클의 일단은 벨트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벨트의 다른 쪽 단부를 결속하기 위한 수단이 갖춰져 있다.
상기의 결속수단에 의해 버클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는데, 이것은 벨트의 종류와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상기 두가지로 구분되는 버클의 결속수단의 일예로서 벨트의 일단에 등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클의 일단에 회동가능한 체결핀이 갖춰지게 되어 체결핀이 상기 벨트의 구멍에 끼워져 결속되는 버클이 있고, 다른 일예로는 벨트의 배면에 톱니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클에 랫치기어와 같이 일방향으로 걸리는 걸이쇠가 회동가능하도록 버클에 설치되어 결속되는 버클이 있다.
상기 체결핀과 걸이쇠를 이용한 버클은 서로 일장일단이 있어 최근에는 벨트에 톱니형상을 형성하지 않고, 벨트의 배면에 접촉하는 걸림쇠의 단부에 이형재질을 덧씌워 접촉단면을 크게 하여 그 마찰력으로 결속을 이루도록 하는 버클의 회전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마찰력에 의해 결속을 이루는 버클은 예시도 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하로 마주하는 상·하측벽(3)(4)이 형성되고, 이 상·하측벽(3)(4)에 핀홀(5)(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버클몸체(1)에 걸림쇠(2)가 설치되며, 상기 걸림쇠(2)는 외부로 돌출된 걸림편(10)과 개구부(11)가 형성되고, 걸림쇠(2)를 회동가능 하도록 하는 스프링(12)과 스프링(12)이 탄지된 핀축(8)이 걸림쇠(2)에 설치된다.
상기 핀축(8)은 길이 방향으로 홈부(9)가 형성되어 있고, 핀축(8)에 탄설되는 스프링(12)의 일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가 홈부(9)에 걸리게 되고, 타단은 개구부(11)의 일단에 걸려 걸림쇠(2)가 복원력을 갖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클 회전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측핀홀 (5)에 고정돌부(7)가 형성되어 있어 핀축(8)의 홈부(9)가 끼워져 핀축(8)은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핀축(8)에 내측으로 절곡된 스프링(12)의 일단이 끼워지고 외측으로 절곡된 스프링(12)의 타단은 걸림쇠(2)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걸림편(10)이 형성된 걸림쇠(2)는 고정되어 있는 핀축(8)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쇠(2)의 양단에 형성된 스토퍼(14)와 누름돌부(13)에 의해 걸림쇠(2)의 회전은 제어된다.
즉, 스토퍼(14)에 의해 걸림쇠(2)의 회전반경이 정해지게 되며 누름돌부(13)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핀축(8)의 홈부(9)와 개구부(11)에 양단이 걸려있는 상태로 설치된 스프링(12)에 의해 걸림쇠(2)는 복원력을 갖추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쇠(2)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스프링(12)을 회전시킨 상태로 핀축(8)을 상측핀홀(5)의 고정돌부(7)에 끼워넣게 되면,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쇠(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따라서, 버클에 끼워지는 벨트의 선단은 걸림쇠(2)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편(10)을 밀면서 끼워지게 되고, 상기 걸림쇠(2)가 회전되어 핀축(8)에 설치된 스프링(12)이 비틀리게 되어 걸림쇠(2)는 복원력을 갖게 되므로 끼워진 벨트의 배면에 걸림편(10)이 밀착되어 벨트는 버클에 결속되며, 걸림쇠(2)의 일단(버클착용시 상부)에 형성된 누름돌부(13)를 눌러주면 벨트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걸림편 (10)이 회전되어 벨트는 버클로부터 풀어지게 된다.
상기 벨트의 배면에 밀착되어 그 마찰력으로 결속을 이루게 하는 걸림쇠(2)의 걸림편(10) 단부에는 고무재가 씌워져 있어 보다 마찰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클 회전장치는 홈부(9)가 형성된 핀축(8)과, 개구부(11)와 걸림편(10)이 형성된 걸림쇠(2)와, 양측단이 내·외측으로 절곡된 스프링(12)으로 이루어져 그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핀축(8)에 설치되어 일단은 홈부(9)에 끼워지고 타단은 개구부(11)에 걸리면서 복원력을 갖춰야 되는 스프링(12)의 조립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버클의 회동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는 스프링탄지부를 갖춘 회동체와 스프링의 타단이 걸리는 조정부를 동일축상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회동체의 복원력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버클의 회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걸림편과 스토퍼 및 누름부를 갖춘 회동체와, 관통홀을 갖춘 버클몸체로 이루어진 버클의 회동장치에 있어서,상기 회동체에 스프링고정부를 갖춘 스프링탄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탄지부에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상부절곡단과 하부절곡단을 갖춘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에 상단돌부와 하단돌부를 갖춘 조정부를 설치하되, 상기 상단돌부에는 양측으로 고정면이 갖춰지며, 상단돌부가 끼워지는 하측관통홀에 지지면을 형성하고, 걸림편의 외부에 일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패킹을 사출성형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조정부에 의해 회동체에 설치한 스프링의 복원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조립작업시 조정부가 스프링을 압축하며 스프링탄지부측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조정부의 상단돌부를 간단히 하측관통홀에 끼울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 걸림편과 일체를 이루는 패킹에 의해 벨트의 배면과의 접하는 단면이 확대되어 마찰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는 종래의 버클 회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 회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요부조립 상태사시도,
도 4 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 회동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회동체, 22 - 스프링고정부,
24 - 스프링탄지부, 26 - 상부절곡단,
28 - 하부절곡단, 30 - 스프링,
32 - 상단돌부, 34 - 하단돌부,
36 - 조정부, 38 - 고정면,
40 - 하측관통홀, 42 - 지지면,
44 - 걸림편, 46 - 패킹.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 회동장치의 분해사시도 이고,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요부조립 상태사시도 이며, 예시도 4 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 회동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걸림편과 스토퍼 및 누름부를 갖춘 회동체와, 상·하측관통홀을 갖춘 버클몸체로 이루어진 버클의 회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20)에 스프링고정부(22)를 갖춘 스프링탄지부(24)를 형성하고, 상기스프링탄지부(24)에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상부절곡단(26)과 하부절곡단(28)을 갖춘 스프링(30)을 설치하며, 그 하측에 스프링(30)의 하부절곡단 (28)과 접하며 일체를 이루는 상단돌부(32)와 하단돌부(34)를 갖춘 조정부(36)를 설치하되, 상기 하단돌부(32)에는 양측으로 고정면(38)이 갖춰지며, 하단돌부(32)가 끼워지는 하측관통홀(40)에 지지면(42)을 형성하고, 걸림편(44)의 외부에 일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패킹(46)을 사출성형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50은 버클몸체 이고, 52는 버클몸체(50)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관통홀 이며, 54는 사출성형되는 패킹(46)이 걸림편(44)과 일체를 이루게 하는 등간격의 관통홀 이고, 56은 버클몸체(50)에 끼워지는 벨트, 58은 회동체의 상단에 형성된 누름부, 60은 회동체(20)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회동체(20)의 상하단 외주에 누름부(58)와 스토퍼(60)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등간격의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편(44)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44)에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패킹(46)이 일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체(20)는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스프링탄지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탄지부(24)의 상단에는 한쌍을 이루는 반원형의 스프링고정부(22)가 형성되어 스프링(30)의 상부절곡단(26)이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탄지부(24)에 스프링(30)이 끼워지되, 상기 스프링(30)은 상·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절곡단(26)과 하부절곡단(28)을 이루고 있어 상기 상부절곡단(26)이 스프링고정부(22)에 끼워지게 되며 하부절곡단(28)은 조정부 (36)의 상단돌부(32)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조정부(36)는 원봉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에 상단돌부(32)와 하단돌부(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하단돌부(34)에는 고정면(38)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회동체(20)는 예시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버클몸체(50)에 설치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버클몸체(50)의 상·하측벽에는 상측관통홀(52)과 내측에 지지면(42)을 갖춘 하측관통홀(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관통홀(52)에 회동체(20)의 상단돌기를 끼우고, 스프링(30)을 스프링탄성부(24)에 끼워넣고 조정부 (36)의 상단돌부(32)가 스프링(30)을 향하게 하여 압축시키면서 끼워 넣는다.
상기 조정부(36)는 스프링탄지부(24)내에 위치하게 됨으로 조정부(36)의 하단돌부(34)는 버클몸체(50)의 하측벽에 형성된 하측관통홀(40)에 끼워지게 되며, 이때 하측관통홀(40)의 지지면(42)과 조정부(36)의 하단돌부(34)에 형성된 고정면 (38)에 의해 하단돌부(34)는 하측관통홀(40)은 면접촉을 이루게 되어 조정부(36)는 고정된 상태로 버클몸체(50)에 조립된다.
상기 버클몸체(50)에 고정된 조정부(36)를 압축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30)의 상부절곡단(26)와 하부절곡단(28)는 각각 스프링고정부(22)와 상단돌부(32)의 중앙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정부(36)를 시계방향(하측에서 볼 때)으로 회전(180°또는 360°)시키며 조정부(36)의 하단돌부(34)를 하측관통홀(40)에 결합시키면, 상기 회동체(20)의 스프링탄지부(24)에 설치된 스프링(30)이 비틀림에 의해 회동체(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즉, 스프링(30)의 하부절곡단(28)는 버클몸체(50)에 고정된 조정부(3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부절곡단(26)는 버클몸체(50)의 상측관통홀(52)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회동체(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30)의 비틀림과 비례하는 복원력을 회동체(20)는 갖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버클몸체(50)에 회동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벨트(56)의 선단이 버클몸체(50)에 끼워지게 되면, 예시도 4의 (a)(b)(c)에 표현된 바와 같이 회동체 (20)는 작동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벨트(56)의 선단이 버클몸체 (50)에 끼워지면 벨트(56)의 선단이 걸림편(44)과 일체를 이루도록 사출성형된 패킹(46)을 밀면서 끼워지게 된다.(예시도 4의 a)
상기와 같이 걸림편(44)의 패킹(46)을 밀면서 끼워지면 회동체(20)가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게 됨으로 회동체(20)의 내부에 내설된 스프링(30)이 비틀리게 되며, 상기 스프링(30)이 비틀리는 만큼 회동체(20)는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된다.(예시도 4의 b)
상기 벨트(56) 사용자가 체형에 맞게 벨트(56)를 버클몸체(50)에 끼워 넣고 벨트(56)를 놓게 되면, 화살표와 같이 회동체(20)는 회전하게 되면서 벨트(56)의 배면에 걸림편(44)의 패킹(46)이 밀착된다.(예시도 4의 c)
이때, 벨트(56)의 배면에 밀착되는 패킹(46)은 그 외형이 완만한 호형을 이루고 있어 벨트(56)의 배면과 접하는 단면이 크게 됨으로 그 만큼 마찰력이 커지게되어 버클몸체(50)에 벨트(56)가 견고하게 결속되고, 회동체(20)의 상측에 형성된 누름부(58)를 시계반대방향(도면상)으로 회전시키면 벨트(56)는 자연스럽게 버클몸체 (5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킹(46)은 회동체(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44)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특히 걸림편(44)에 형성된 등간격의 관통홀(54)에 의해 패킹(46)의 양면이 일체를 이루게 되며, 패킹(46)의 재질을 고무재로 하되 약간의 흡착력을 지닌 고무재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회동체(20)에 스프링고정부(22)를 갖춘 스프링탄지부 (24)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탄지부(24)에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상부절곡단(26)과 하부절곡단(28)을 갖춘 스프링(30)을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30)에 상단돌부(32)와 하단돌부(34)를 갖춘 조정부(36)를 설치하고, 걸림편(44)의 외부에 일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패킹(46)을 사출성형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조정부(36)에 의해 회동체(20)의 복원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조립작업시 조정부(36)가 스프링(30)을 압축하며 스프링탄지부 (22)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간단히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에 의해 걸림편 (44)과 일체를 이루는 패킹(46)에 의해 벨트(56)의 배면과의 접하는 단면이 확대되어 마찰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어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걸림편과 스토퍼 및 누름부를 갖춘 회동체와, 상·하측관통홀을 갖춘 버클몸체로 이루어진 버클의 회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20)에 스프링고정부(22)를 갖춘 스프링탄지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탄지부(24)에 양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상부절곡단(26)과 하부절곡단(28)을 갖춘 스프링(30)을 설치하며, 그 하측에 스프링(30)의 하부절곡단(28)과 접하며 일체를 이루는 상단돌부 (32)와 하단돌부(34)를 갖춘 조정부(36)를 설치하되, 상기 하단돌부(32)에는 양측으로 고정면(38)이 갖춰지며, 하단돌부(32)가 끼워지는 하측관통홀(40)에 지지면 (42)을 형성하고, 걸림편(44)의 외부에 일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패킹(46)을 사출성형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의 회동장치.
KR2020010011376U 2001-04-20 2001-04-20 버클의 회동장치 KR200239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76U KR200239247Y1 (ko) 2001-04-20 2001-04-20 버클의 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76U KR200239247Y1 (ko) 2001-04-20 2001-04-20 버클의 회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247Y1 true KR200239247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76U KR200239247Y1 (ko) 2001-04-20 2001-04-20 버클의 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2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97Y1 (ko) 2008-12-11 2009-10-16 유덕상 혁대 버클
KR200453382Y1 (ko) 2009-01-30 2011-04-29 손영수 혁대용 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97Y1 (ko) 2008-12-11 2009-10-16 유덕상 혁대 버클
KR200453382Y1 (ko) 2009-01-30 2011-04-29 손영수 혁대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2962B1 (en) A clip assembly
KR890000076Y1 (ko) 끈 조임구
US4005510A (en) Plastic clip
JPH0177407U (ko)
JP2981744B1 (ja)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WO2000001269A1 (fr) Dispositif d&#39;arret de pivotement pour plaques d&#39;ouverture et de fermeture situees au centre d&#39;un dispositif de fixation d&#39;ornement en forme de bande
US6106041A (en) Device for removing ticks
EP0994660B1 (en) Adjustable quick-release buckle, particularly for diving masks or similar
KR200239247Y1 (ko) 버클의 회동장치
KR200446297Y1 (ko) 혁대 버클
KR19990004105U (ko) 혁대용 버클
JP3911915B2 (ja) 蓋構造
KR910008296Y1 (ko) 버클
KR101253837B1 (ko) 벨트용 버클
JP3773707B2 (ja) 携行型電子機器
JPH0730727U (ja) 腕時計バンド用三つ折れ式留め具
KR200309343Y1 (ko) 혁대용 버클
KR200190617Y1 (ko) 벨트용 버클
KR200300828Y1 (ko) 벨트용 버클
KR200383236Y1 (ko) 벨트용 마찰식 버클
KR200186186Y1 (ko) 버클
JPS5847743Y2 (ja) 把手装置
JP2000184906A (ja) 紐留め具
KR200349387Y1 (ko) 버클
KR200179913Y1 (ko) 벨트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