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61Y1 -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61Y1
KR200210061Y1 KR2019960030913U KR19960030913U KR200210061Y1 KR 200210061 Y1 KR200210061 Y1 KR 200210061Y1 KR 2019960030913 U KR2019960030913 U KR 2019960030913U KR 19960030913 U KR19960030913 U KR 19960030913U KR 200210061 Y1 KR200210061 Y1 KR 200210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ood
driving
present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526U (ko
Inventor
한인섭
신영수
김동익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30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61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임목 자동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 연료를 수송하는 선박의 수송물을 하역하는 하역기 및 제품의 선적기등 궤도차량의 정지 및 주행중 기상이변으로 발생할 수 있는 언로더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운전실과 주행부의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고임목을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방지 및 언로다와 선박의 충돌로 인하여 선실 파손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장비의 정지 및 주행중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자동으로 제동할 수 있는 고임목과 이 고임목의 이송을 돕기 위한 모터 및 본 장치를 레일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웨이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본 고안은 고임목 자동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 연료를 수송하는 선박의 수송물을 하역하는 하역기 및 선적기(언로더 ; unloder)등 궤도차량(스태카 ; stacker, 리크레마 ; reckrmar, 철도차량)의 정지 및 주행중 기상이변으로 발생할 수 있는 언로더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운전실과 주행부의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주행 고임목을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고임목 자동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로더(원료하역기, 제품선적기)는 옥외에 설치된 대형 장비로서 연, 원료를 수송하는 선박의 하역작업을 하는 설비이다.
언로더의 하역작업은 잦은 주행과 하역작업을 병행해야 하며 정지시나, 작업도중 기상이변이 발생할 경우 장비가 밀리기 시작하면 장비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rall clamp)를 체결하는데, 그래도 장비에 가속이 붙어 장비를 정지시킬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장비의 문제점은 고소지역(지상 24m)에 있는 운전원의 안전과 직결되어 있으며, 수송선박의 선실보다 언로더의 붐(boom)이 낮기 때문에 충돌하여 장비가 파손 및 전도되며 선박의 선실 파손으로 이어진다.
종래에는 언로더 운전원이 정지 및 주행시 밀림현상이 발생할 경우 통신수단을 통해 지상에 있는 작업자에게 장비 고임목의 체결을 요구하지만, 방대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적은 인원으로 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원이 상부 운전실에서 주행부까지 이동하여 안전장치인 고임목을 수동으로 체결해야 한다.
하지만, 이동중인 장비의 운전원은 운전실에서 이석할 수 없으며, 문제 발생시 지상의 대기인원이 회전하는 설비에 수동으로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재해의 위험과 정확하게 체결하지 못할 경우 안전사고 및 대형설비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언로더의 정지 및 주행시 운전실에서 자동으로 고임목을 체결할 수 있어 안전재해 사고 및 대형설비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심적 불안 요인을 제거하여, 하역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지 및 주행중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장비를 운전실에서 자동으로 제동할 수 있는 고임목과 고임목의 이송을 돕기 위한 모터 및 본 장치를 레일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웨이트의 구성으로 주행 안전장치인 고임목 자동체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고임목 자동체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리미트스위치
12 : 고임목 13 : 웨이트
14 : 웨이트체결부 15 : 웨이트지지대
16 : 장공 17 : 샤프트
18, 19, 21∼21d : 쉬이브 20 : 와이어
22 : 모터
전방에는 웨이트(13)가 설치되어 있고, 웨이트 체결부(14)에는 웨이트지지대(15)가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장공(16)이 형성된 "ㄷ"자형의 몸체(10)와, 상기 장공(16)의 양측부에는 고임목(12)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각각의 리미트스위치(11)와, 상기 장공(16)에 삽입되는 각각의 샤프트(17) 양측에 설치되어 언로더나 궤도 차량을 받쳐주는 고임목(12)과, 모터(22)의 축에는 고임목(12)의 이동을 상호 반사작용으로 도와주는 1셋트의 쉬이브(18), (19)와, 상기 쉬이브(18), (19)와 연결된 와이어(20)를 통하여 고임목(12)이 이동되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각각의 쉬이브(21), (21a), (21b), (21c), (21d)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고임목 자동체결장치는 도 2의 X-X를 웨이트지지대(15)로 가이드부(B)와 웨이트부(A)가 상호 반사작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B)는 고임목(12)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샤프트(17)보다 큰 장공(16)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고임목(12)의 언로더 주행 휠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반구의 모양을 하고 있고, 정지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연성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을 선택하였다. 또한, 고임목(12) 2개가 1셋트가 되도록 2개의 샤프트(17)로 연결 설치하였다.
그리고 고임목(12)을 이동시키는 모터(22)와 고임목(12)이 좌우 이동하는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쉬이브(sheave)(18), (19)에 와이어(20)가 연결되며, 각 쉬이브(21), (21a), (21b), (21c), (21d)를 통해 고임목(12)의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전달한다.
한편, 웨이트부(A)는 언로더가 주행을 할 때 가이드부(B)를 레일 상부로 이격시킬 수 있는 원형의 모양으로 추의 역할을 하며, 웨이트지지대(15)의 우측 상부방향으로 45°의 각도를 이루며, 가이드부(B)와 웨이트부(A)의 각도를 135°를 이룬다.
웨이트(13)의 작동시 45°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웨이트지지대(15)는 웨이트부(A)가 지상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X를 중심축으로 웨이트부(A) 구간과 가이드부(B) 구간의 무게중심 관계는 웨이트부(A)는 가이드부(B)보다 무거워야 하며, 고임목(12)의 위치가 가이드부(B)의 무게중심(Y)에서 1/2B2 구간의 위치에 있을 때 웨이트부(A)의 무게는 가이드부(B)와 고임목(12)을 합한 무게보다 가벼워야 한다.
고임목(12)이 1/2B1 구간의 위치에 있을 때 웨이트부(A)의 무게는 가이드부(B)와 고임목(12)을 합한 무게보다 무거워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언로더의 정지 및 주행 중 비상 상태시 운전실에서 고임목(12)의 체결을 위하여 운전실에서 푸시버튼(도면미도시)을 작동시켜 모터(22)를 가동시키면 쉬이브(18)의 회전력을 와이어(20)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바꾸고 이 와이어(20)는 또 다른 쉬이브(21), (21a), (21b), (21c), (21d)를 통하여 고임목(12)을 (D1)지점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각각의 쉬이브(18), (19)에 감겨 있는 와이어(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고임목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고임목(12)이 가이드부(B)의 (D1)지점으로 이동할 때 1/2B2 구간에 위치되면 무게중심(X)이 가이드부(B)로 하강하게 되며, 고임목(12)은 (D1)지점 가까이 오면 (D1)에 설치된 제한 리미트스위치(11)가 작동되어 모터(22)의 기동을 정지시킨다.
고임목(12)이 1/2B2 구간에 들어올 때 지상에 설치된 레일과 접촉되어 정지 및 주행시 기상불량 등 기타 문제점으로 밀림현상이 발생할 때 고임목(12) 2개가 1셋트가 되어 주행부의 휠 2곳에 고이게 되어 주행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고임목(12)을 체결후 주행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운전실에서 푸시버튼을 작동하면 모터(22)가 가동되어 쉬이브(19)를 통해 와이어(20)를 당길 경우 쉬이브(21)∼(21d)를 통하여 고임목(12)을 (D2) 지점으로 이동시키며, 고임목(12)이 1/2B1 구간이 될 때 웨이트부(A)가 하강하고 가이드부(B)가 상승하여 레일과 이격하게 된다.
이때에도 쉬이브(18)와 와이어(20)는 고임목(12) 체결시와 반대작용을 하게 되어 고임목(12)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장비의 가동시 레일과 고임목(12)은 간섭이 되지 않아 주행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특히, 장비의 점검 정비시 지상에서 고임목(12)을 체결할 경우 운전실까지 이동할 필요없이 샤프트(17)를 장공(16) 앞쪽(D1)지점으로 당기면 자동적으로 주행 휠에 체결되며, 제거시에는 뒤쪽 웨이트(13)를 눌러 주면 고임목(12)의 무게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한편, 고임목(12)의 (D1)지점의 제한 리미트스위치(11)를 터치하면 장비의 주행 리미트스위치(11)와 연결되어 있어 주행 레버를 작동하여도 주행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장비의 정지 및 주행 작업시 상부 운전실에서 주행부의 고임목을 자동으로 체결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 및 지상 근무자가 회전체에 접근 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재해를 방지하며, 기상 이변으로 인한 밀림을 예방하여 장비의 전도, 및 파손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심적 불안 요소를 제거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방에는 웨이트(13)가 설치되어 있고, 웨이트 체결부(14)에는 웨이트지지대(15)가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장공(16)이 형성된 "ㄷ"자형의 몸체(10)와, 상기 장공(16)의 양측부에는 고임목(12)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각각의 리미트스위치(11)와, 상기 장공(16)에 삽입되는 각각의 샤프트(17) 양측에 설치되어 언로더나 궤도 차량을 받쳐주는 고임목(12)과, 모터(22)의 축에는 고임목(12)의 이동을 상호 반사작용으로 도와주는 1셋트의 쉬이브(18), (19)와, 상기 쉬이브(18), (19)와 연결된 와이어(20)를 통하여 고임목(12)이 이동되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각각의 쉬이브(21), (21a), (21b), (21c), (21d)로 이루어진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KR2019960030913U 1996-09-24 1996-09-24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KR200210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13U KR200210061Y1 (ko) 1996-09-24 1996-09-24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13U KR200210061Y1 (ko) 1996-09-24 1996-09-24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26U KR19980017526U (ko) 1998-07-06
KR200210061Y1 true KR200210061Y1 (ko) 2001-02-01

Family

ID=5397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913U KR200210061Y1 (ko) 1996-09-24 1996-09-24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26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6159B2 (en) Handling system for containers
US4099707A (en) Vehicle moving apparatus
CN1166548C (zh) 救援升降系统
KR20010113831A (ko) 개별 탁송 화물용, 특히 iso 컨테이너용 로딩/언로딩장치
DE60213132T2 (de) Puffer-torkran
KR200210061Y1 (ko) 고임목 자동체결장치
US5664743A (en) Device for gripping, guiding and transporting wheeled helicopters particularly for ship's decks
US3191782A (en) Garaging means
KR100770349B1 (ko)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US34422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or unloading vehicle carrying railway cars
KR200223764Y1 (ko) 하역기의 밀림방지장치
US4473200A (en) Stores handling apparatus and system
CA2049142C (en) Crane securement latch
CN212452242U (zh) 一种铁路检修地沟的搭接式跨线装置
CN2102276U (zh) 一种罐笼内自动阻车器
JPH01313202A (ja) 昇降キャブ付き走行クレーン
JPH052541Y2 (ko)
JPS6358136B2 (ko)
KR19990038772U (ko) 하역기 밀림방지장치
KR200229929Y1 (ko)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압축공기 식)
JPH0238613A (ja) コンクリート運搬打設工法
JPH0357549Y2 (ko)
SU1698110A1 (ru) Трелевочна каретка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JPS643703B2 (ko)
Sanford Some Observations on Coal-mine Haulage Haz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