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947Y1 -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947Y1
KR200209947Y1 KR2020000021359U KR20000021359U KR200209947Y1 KR 200209947 Y1 KR200209947 Y1 KR 200209947Y1 KR 2020000021359 U KR2020000021359 U KR 2020000021359U KR 20000021359 U KR20000021359 U KR 20000021359U KR 200209947 Y1 KR200209947 Y1 KR 200209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obile phone
signal
hand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만
Original Assignee
조은아이앤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아이앤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은아이앤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1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94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 프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중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에 탑재된 기존의 FM 튜너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 재생 출력하여 청취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폰으로 입력하여 송출하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고 FM 라디오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 출력을 청취 할 수 있어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상 고정 통신 방식(PLL)의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깨끗한 음질을 전송하고 재생하며, FM 방송 전 대역의 반송 주파수의 설정이 가능하여 사용 지역의 여건에 따라 핸드 프리의 발신 주파수 설정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FM 튜너의 혼신 시 양호한 대역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항상 명료한 통화가 가능하며, 통화 중에 내용을 음성으로 저장 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재생하여 통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고, 핸드 프리의 기능 설정 내용을 LCD를 통해 인지시키고 비 사용 시에는 시계로 기능 하도록 이루며, 차량 전원과 태양 전지 전원에 의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전원 공급이 용이한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핸드 프리를 제어하는 제어 중심으로서의 마이컴과, 송신 주파수의 변경과 녹음기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외부 입력부를 상기 마이컴 입력으로 이루는 것과,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위상 고정 방식으로 송신하기 위한 PLL IC를 갖는 PLL 회로부와, PLL 회로부의 설정으로 주파수 변조 출력하는 송신부와, 변조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송신 앰프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마이크 출력을 증폭하는 마이크 증폭부와, 증폭된 마이크 신호에서 잡음을 걸러내는 밴드 패스 필터와, 휴대폰의 수신 음성을 증폭하는 수신음성 증폭부와, 상기 마이크 입력과 휴대폰 수신 음성을 비교하는 레벨 비교부와, 하울링 방지를 위하여 상기 레벨 비교부 신호로 스피커 증폭도를 제한하는 하울링 방지부와, 휴대폰 수신 음성을 자체 재생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피커 앰프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휴대폰의 통화 음성 신호를 녹음 저장하고 상기 마이컴 제어로 재생하는 음성 저장부와, 핸드 프리의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Hand-free device for cellular phone using frequency modulation}
본 고안은 핸드 프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중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에 탑재된 기존의 FM 튜너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 재생 출력하여 청취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폰으로 입력하여 송출하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국적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대수가 1000만대에 육박하고 있으며, 자동차로 이동중에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차량운행중에 휴대폰 사용으로 인하여 교통사고가 다발하고 있으며 휴대폰의 사용을 운전중에 금지하자는법안까지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휴대폰통화로 인한 사고발생율이 떨어지지 않고 늘어나는 추세이다.
자동차 운전중에 휴대폰으로 인한 사고발생의 요인은 주로 한 손으로 휴대폰을 잡고 통화하면서 한 손으로만 운전대를 잡고 운전을 하기 때문에 통화내용에 집중하느라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가 수반되고 상황에 따라서 민첩한 대처를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통화시에,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손으로 휴대폰을 잡지 않고서도 통화할 수 있는 핸드프리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핸드프리키트는 차량의 거치대에 휴대폰을 장착하고 휴대폰의 저면에 설치된 접속용잭에 핸드프리키트를 연결하고 여기에 연결된 스피커(또는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 핸드프리장치는 단순히 휴대폰으로 통화하는 대신에 마이크와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휴대폰에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스위치를 켜야 하는 등의 단순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서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핸드프리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도 차량의 FM 튜너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음성을 재생 출력하는 제안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와이어레스 마이크와 같이 휴대폰의 음성 출력이 발생되는 수화구에 마이크를 기구적으로 설치하여 음성을 픽업하고 이 음성을 RF 신호로 송출하도록 이루어 차량 장치의 튜너에 수신하고 재생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송화구에 결합된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과 주변 잡음이 혼합되어 RF 송출되므로 잡음이 극심하다는 커다란 단점이 있다.
상기 종래 단점을 해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으로서 특허 출원 제 99-51418호의 핸드 프리 장치가 있다.
상기 선출원 기술에 의하면 휴대폰의 수신 음성을 FM 신호로 송신하여 차량의 튜너로 수신 재생하는 것과, 최적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주파수를 찾아주는 오토스캔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여러 기술적인 장점이 있기는 하나 재생시 잡음이 발생되는 수신 방식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선 출원 고안을 보완하여 동작 전원을 태양 전지를 이용한 부동 충전을 이루는 점과, 통화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하는 점과, 자체 스피커를 포함하여 자동차의 튜너를 커지 않고도 핸드 프리 수신이 가능한 점을 기능적으로 보완하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고 FM 라디오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 출력을 청취 할 수 있어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는 위상 고정 통신 방식(PLL)의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깨끗한 음질을 전송하고 재생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FM 방송 전대역의 반송 주파수의 설정이 가능하여 사용 지역의 여건에 따라 핸드 프리의 발신 주파수 설정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FM 튜너의 혼신시 양호한 대역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항상 명료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통화 중에 내용을 음성으로 저장 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재생하여 통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드 프리의 기능 설정 내용을 LCD를 통해 인지시키고 비 사용시에는 시계로 기능하도록 이루어 사용이 편리한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전원과 태양 전지 전원에 의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전원 공급에 용이한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핸드 프리를 제어하는 제어 중심으로서의 마이컴과, 송신 주파수의 변경과 녹음기를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외부입력부를 상기 마이컴 입력으로 이루는 것과,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위상 고정 방식으로 송신하기 위한 PLL IC를 갖는 PLL 회로부와, PLL 회로부의 설정으로 주파수 변조 출력하는 송신부와, 변조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송신 앰프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마이크 출력을 증폭하는 마이크 증폭부와, 증폭된 마이크 신호에서 잡음을 걸러내는 밴드 패스 필터와, 휴대폰의 수신 음성을 증폭하는 수신음성 증폭부와, 상기 마이크 입력과 휴대폰 수신 음성을 비교하는 레벨 비교부와, 하울링 방지를 위하여 상기 레벨 비교부 신호로 스피커 증폭도를 제한하는 하울링 방지부와, 휴대폰 수신 음성을 자체 재생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피커 앰프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휴대폰의 통화 음성 신호를 녹음 저장하고 상기 마이컴 제어로 재생하는 음성저장부와, 핸드 프리의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고안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마이컴 제어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핸드 프리 장치 105 : 제어부 120 : 마이크
122 : 마이크증폭부 124 : 밴드패스필터 130 : 수신음성증폭부
132 : 스피커앰프회로부 140 : 외부입력부 150 : 레벨변환부
152 : 레벨비교부 160 : 하울링방지부 170 : LCD 드라이버
172 : LCD 표시부 175 : 음성저장부 180 : PLL회로부
182 : 송시부 184 : 송신앰프 190 : 전원부
192 : 변환부 194 : 정전압부 300 : FM 튜너
IC1 : 마이컴 IC2 : PLL I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음성 출력 잭과 연결되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출력이 FM 전송되고 차량에 마려된 FM 라디오를 통하여 동기 수신되어 출력되며, 통화자의 음성은 마이크를 통하여 휴대폰으로 입력되어서 전송되는 방식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에 있어서 FM 라디오을 배제하고 본 고안의 핸드 프리에 마련된 자체 스피커로도 재생이 가능하다.
도 1에 본 고안의 개요적인 구성을 도시하였다.
본 고안의 핸드 프리 장치(100)는 휴대폰(200)에 마련된 음성 출력용 잭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지며 핸즈 프리 장치(100)는 차량의 전원으로 구동되거나 태양 전지를 이용한 밧데리 전원으로 구동 될 수도 있다.
핸드 프리 장치와 휴대폰은 상호 탈착이 가능하며 핸드 프리 장치(100) 내에는 핸드 프리 장치와 휴대폰간의 음성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구비하며 마이컴의 제어하에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받아 PLL 방식으로 재차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부가 음성을 변조하여 송출하는 FM 신호는 차량에 마련된 통상의 FM 튜너(300)를 통하여 무선으로 수신되고 이를 차량용 스피커(310)로서 재생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의 응답은 마이크로 픽업되어 증폭되고 휴대폰으로 입력되어 통상의 휴대폰의 음성 전송 경로를 통하여 전송 출력되어 핸드 프리 통화를 실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인 도 2와 상세 회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은 음성 신호의 입출력 및 외부 신호를 제어하며 핸드 프리의 제어 중심을 이루는 제어부(105)의 마이컴(IC1)을 형성하여 이룬다.
상기 제어부(105)의 마이컴(IC1)에는 다수의 스위치(SW1~SW5)로 이루어진 외부 입력부(140)를 결합하고 각 스위치에는 작동을 표시하는 LDE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에 있어서 SW1은 녹음스위치, SW2는 녹음 삭제 스위치, SW3는 녹음 재생 스위치, SW4는 반송 주파수를 변경하는 채널 스위치, SW5는 전원 스위치이다.
마이크 증폭부((122)는 마이크(120)로 픽업된 미세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OP AMP를 포함하는 증폭회로로 이루어진다.
밴드 패스 필터(124)는 마이크 증폭부(122)의 신호를 받아 신호에 섞인 차량의 진동 잡음이나 기타 잡음 신호를 배제하여 음성 신호 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로서 필터의 대역은 전화기에서 규정하는 300Hz~340Hz 사이로 설계된다.
수신 음성 증폭부(130)는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OP AMP를 포함하며 휴대폰과 연결시 발생하는 잡음을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신 음성 출력은 스피커 앰프 회로부(132)에 연결하고 스피커 앰프는 수신 음성을 자체 스피커로 재생 출력하게 한다.
레벨 변환부(150)는 상기 밴드 패스 필터(124)를 통과한 음성 출력과 상기 수신 음성 증폭부(130)를 통과한 증폭된 음성 신호를 각각 설정 기준 전압과 비교 출력하는 OP AMP와 정류회로(D6, D5)로 이루어 각각의 신호를 DC레벨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와 휴대폰 수신의 음성 신호를 DC 레벨로 변환하는 것은 휴대폰의 음성 신호와 마이크의 음성 신호를 비교하기 위함이며 이 비교에 의하여 하울링을 배제하며 이는 후술 될 것이다.
레벨 비교부(152)는 상기 레벨 변환부(150)의 출력을 비교 출력하는 OP AM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울링 방지부(160)는 상기 레벨 비교부(152)의 출력 레벨로 구동되며 레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트랜지스터(Q4, Q5)와 이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수신 음성 출력부(130) 또는 마이크 증폭부(122)의 출력 증폭도가 제한되도록 이루어진다. 스피커의 음량이 커져서 마이크로 되먹임되어 출력되는 이른바 하울링은 상기 레벨 비교부의 출력으로 증폭도를 억제하여 스피커로 발생되는 음량의 레벨을 줄여 마이크로 되먹임되는 음성 신호를 차단하여 기능한다.
상기 마이크(120)의 증폭된 신호와 휴대폰의 수신 음성 증폭부(130)의 음성 신호는 음성 저장 IC(IC3)에 각각 연결하여 이루고 마이컴에 의하여 통제 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마이컴(IC1)에는 LCD 드라이버(170)와 LCD 표시부(172)를 연결 구성하여 FM 송신 주파수를 표시하고, 평상시에는 시계로 기능하며 각종 고장 등의 기능을 표시하도록 이룬다.
상기 수신된 휴대폰의 음성 신호를 FM 신호로 재 송신하기 위하여 PLL 방식의 반송을 이루는 PLL IC(IC2)를 포함하는 PLL 회로부(180)를 상기 마이컴에 제어되도록 연결하여 이루고. 음성 신호를 반송하는 송신부(182)를 형성하여 연결하고 송신 앰프(184)를 통하여 변조 증폭된 FM 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룬다.
상기 PLL IC(IC2)는 FM 라디오 주파수 송출시 주변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정밀도가 아주 우수한 주파수를 회로로 작용한다.
동시에 상기 PLL IC(IC2)는 재 송신하는 주파수와 혼신되는 인접 FM 방송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채널의 반송 주파수를 제공하는 회로이며 이는 FM 라디오 수신 대역을 모두 수용하므로 사용 지역에 따라 혼신 방지가 완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송신부(182)는 FM 반송 주파수를 발진하여 전파를 발생시키고 상대방의 음성을 FM 주파수의 전파에 변조를 거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앰프(184)는 송신부(182)에서 발진된 미약한 FM 전파를 송출하기 위하여 증폭을 수행하며 신호의 부는 전술한 PLL IC(IC2)로 되먹임 연결하여 이루어 상기 PLL IC(IC2)의 4.5MHz 진동자에서 발진한 신호와 송신부(182)의 반송 주파수의 차이를 비교하여 두 주파수의 차이가 존재하는 편차를 보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PLL IC(IC2)의 보정 신호는 출력핀(DO1)으로 출력되고 저항과 콘덴서를 통하여 DC 전압으로 바뀌어 용량(캐패시스터)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에 발지 주파수 출력이 변화하는 것이다.
전원부(190)는 모든 회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로서 태양 전지 셀을 이용하여 전원을 형성하도록 정전압회로를 포함하는 변환부(192), 변환부의 출력 전원을 충전하는 밧데리(196)으로 이루어지는 일방의 전원회로와 차량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직접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부(194)로 이루어지는 타방의 전원회로를 2중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 사상을 갖는 본 고안의 제 작용을 이하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이해가 용이 할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에 장치된 차량의 스피커로 휴대폰의 음성을 재생하여 핸드 프리 마이크와 스피커가 물리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이격되므로 음질이 명료하다.
물론 차량의 FM 튜너를 통한 휴대폰 수신 음성 재생 이외에도 핸드 프리 자체 스피커와 자체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 전원으로 독립적인 기능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은 차량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194)와 태양전지에 의하여 밧데리(196)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변환부(192)를 통한 전원 공급의 두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통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핸드 프리 장치는 수신 음성 증폭부(130)에 휴대폰의 음성 출력 잭을 접속하여 휴대폰과 핸드 프리의 연결이 이루어저 핸드 프리로 기능하기 위한 기초적인 준비가 이루어진다.
본 핸드 프리는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IC1)이 초기화(S101)되고 핸드 프리로 기능 하도록 대기 상태(S102)가 된다.
대기 상태에서 발신 또는 착신이 시작되면 즉,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휴대폰의 통화가 개시(S103)되면 마이컴이 작동(S104)을 개시한다.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FM발신하기 위한 반송 주파수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선택된 주파수 데이터는 PLL 회로부(180)의 PLL IC(IC2)에 인가되고 이에 PLL 디바이스가 셋팅된다.
동시에 마이컴(IC1)은 상기 선택된 주파수 데이터를 LCD 표시부(172)에 전송(S106)하고 이 데이터는 LCD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어느 주파수로 발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 시켜주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통화 경로를 살펴보면 휴대폰의 착신 통화와 발신 통호에 무관하게 작용 과정은 유사하다.
즉, 착신의 경우나 발신의 경우 공히 공지된 휴대폰의 조작으로 통화가 연결되고 나면 사용자의 음성은 본 고안의 마이크(120)로 픽업되어 마이크 증폭부(122)를 통하여 휴대폰으로 연결되어 전송되게 된다.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은 수신 음성 증폭부(130)을 통하여 음성 잭으로 입력 연결되어 반송 주파수로 발진을 이루는 송신부(182)에 인가되어 송신 앰프(184)를 경유하여 FM 전파로서 발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FM 전파로 발신된 수신 음성은 통상의 차량 라디오를 통하여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동조되면 상대방의 음성은 차량의 스피커로 재생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신 음성은 수신 음성 증폭부(130)와 스피커 앰프 회로부(132)를 통하여 자체 스피커로 재생될 수 있으며 스피커 재생은 볼륨에 의하여 가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통화가 이루어지고 종료되면 핸드 프리는 대기 상태(S102)로 제어된다.
한편, 통화 중에 인접한 FM 방송 주파수와 혼신이 이루어져 명료도가 저하될 경우에는 외부 입력부(140)의 채널 변경 스위치(S4)의 입력을 검출(S112)하여 스위치 입력이 있으면 채널을 변경(S113)하여 반송 주파수 설정이 마이컴에 의하여 변경되고 PLL IC에 의하여 발진 주파수가 바뀌어 반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은 본 핸드 프리 장치의 여러 사용자 설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사용자의 설정은 외부 입력부(140)의 스위치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핸드 프리 대기(S102) 상태에서 외부 스위치 입력(S110)이 검출되면 마이컴이 작동(S111)한다.
입력되는 스위치가 채널 변경 스위치(S112)인 경우에는 마이컴은 FM 발송 주파수를 분주된 핵사코드(HEXCODE)로 설정하여 피어리드(PERIOD), 클락(CLOCK), 데이터(DATA)를 PLL IC(IC2)에 인가하여 채널의 변경(S113)을 이루게 한다. 이러한 채널은 FM 전 대역을 수용하며 스위치 입력시마다 일정 주파수의 변경이 반복적으로 한 스텝씩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설정을 통하여 사용자 위치에서의 혼신을 확실 하게 방지한다.
동시에 변경되거나 설정된 주파수는 LCD에 채널 데이터로 전송(S114)되고 LCD는 LCD 드라이버(170)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 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통화 중에 녹음 스위치(S1)의 입력(S116)이 있으면 마이컴은 녹음 중인지를 검출하여 녹음을 하거나(S118) 또는 녹음을 종료(S119)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음성 녹음은 반도체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내구성 및 관리 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테이프 레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도 있다.
한편 재생 스위치(S3)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음성 저장부(175)의 녹음 내용을 재생(S121)하며 이때 재생은 자체 스피커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20초 이상 음성 입력이나 추가적인 스위치 입력이 없을 때에는 마이컴은 LCD에 시계 표시 데이터를 전송(S123)하고 LCD는 시계 표시 기능으로 전환되며 리턴 제어된다.
한편, 스위치 입력이 삭제 스위치(S2)인 경우에는 녹음 내용을 삭제(S126)하고 리턴되는 제어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고 FM 라디오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 출력을 청취 할 수 있어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위상 고정 통신 방식(PLL)의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깨끗한 음질을 전송하고 재생하여 통화를 할 수 있어 통화음의 명료도가 극히 높으며, FM 방송 전 대역의 반송 주파수의 설정이 가능하여 사용 지역의 여건에 따라 핸드 프리의 발신 주파수 설정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FM 튜너의 혼신 시 양호한 대역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항상 명료한 통화가 가능하여 최적의 통화음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화 중에 내용을 음성으로 저장 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재생하여 통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어 중요한 대화나 필요한 정보를 메모하거나 기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한 운행이 될 수 있으며, 핸드 프리의 기능 설정 내용을 LCD를 통해 인지시키고 비 사용 시에는 시계로 기능 하도록 이루어 핸드 프리의 제어 상태 및 현재 시간 등의 정보 전달 효과가 있으며, 차량 전원과 태양 전지 전원에 의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엔진 정지 중에도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평상시에는 전원 공급을 태양전지로 만 이용하여도 가능하여 불필요한 배선을 취하지 아니할 수도 있는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휴대폰의 음성 출력을 증폭 재생하며 송신 음성을 픽업 송신하는 외부 기기로 이루어지는 핸드 프리 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핸드 프리를 제어하는 제어 중심으로서의 마이컴과,
    다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외부입력부를 상기 마이컴 입력으로 이루는 것과,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위상 고정 방식으로 송신하기 위한 PLL IC를 갖는 PLL 회로부와,
    PLL 회로부의 설정으로 주파수 변조 출력하는 송신부와,
    변조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송신 앰프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마이크 출력을 증폭하는 마이크 증폭부와,
    증폭된 마이크 신호에서 잡음을 걸러내는 밴드 패스 필터와,
    휴대폰의 수신 음성을 증폭하는 수신음성 증폭부와,
    휴대폰 수신 음성을 자체 재생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피커 앰프와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입력과 휴대폰 수신 음성을 비교하는 레벨 비교부와,
    하울링 방지를 위하여 상기 레벨 비교부 신호로 스피커 증폭도를 제한하는 하울링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통화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마이컴 제어로 재생하는 음성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드 프리의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KR2020000021359U 2000-07-26 2000-07-26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KR200209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59U KR200209947Y1 (ko) 2000-07-26 2000-07-26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59U KR200209947Y1 (ko) 2000-07-26 2000-07-26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163A Division KR20010000166A (ko) 2000-07-18 2000-07-18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947Y1 true KR200209947Y1 (ko) 2001-01-15

Family

ID=7305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59U KR200209947Y1 (ko) 2000-07-26 2000-07-26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9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267B1 (en) Interoperable am/fm headset wireless telephone device
US61637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mobile phone with an existing audio system
JPS63269633A (ja) 自動車電話
JPH02244856A (ja) 無線電話装置
US6223060B1 (en) Voice message recorder and limited range transmitter for use with telephones
KR100342061B1 (ko) 에프엠 송신기를 이용한 음성 데이터 입출력 장치
KR200209947Y1 (ko)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KR20010000166A (ko)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 프리 장치
JPH10224449A (ja) 携帯電話ハンズフリー装置
JP3151280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200184585Y1 (ko) 에프엠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프리장치
KR20000007006A (ko) 에프엠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프리장치
JP3310070B2 (ja) エコーキャンセラを備えた音声通信装置
KR200218540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JP4357096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568030Y2 (ja) 電話システム
KR2004002333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H07288869A (ja) 車載用電話装置
KR200218470Y1 (ko) 엠피쓰리 및 녹음기가 내장된 핸즈프리
JPH0623342U (ja) 車載用音響システム
KR200384801Y1 (ko) 무선 음향중계장치
JPH05344234A (ja) 電話装置のbgm再生制御装置
JPH0413869Y2 (ko)
KR100375317B1 (ko) 핸드 프리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