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587Y1 - 파이프용 안전캡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587Y1
KR200209587Y1 KR2020000021780U KR20000021780U KR200209587Y1 KR 200209587 Y1 KR200209587 Y1 KR 200209587Y1 KR 2020000021780 U KR2020000021780 U KR 2020000021780U KR 20000021780 U KR20000021780 U KR 20000021780U KR 200209587 Y1 KR200209587 Y1 KR 200209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afety cap
building
pipes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천
Original Assignee
김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천 filed Critical 김기천
Priority to KR2020000021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587Y1/ko

Links

Landscapes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용 안전캡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건물 공사용 파이프의 안전사고 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장에 설치된 파이프의 단부에 작업자가 접촉되더라도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장에 설치된 파이프(P)의 단부에 결합되어 충돌시 충돌압력을 완충시키는 러버재질의 안전캡 본체(1)와, 상기 안전캡 본체(1)의 측면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홈(2)에 접착제를 통해서 부착되는 제 1 야광체(3)와, 상기 안전캡 본체(1)의 정면에 접착제를 통해서 부착되는 제 2 야광체(4)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용 안전캡 {SAFETY CAP FOR PIPE}
본 고안은 파이프용 안전캡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건물 공사용 파이프의 안전사고 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용 파이프는 건물 건축시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임시적으로 형성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건축용 파이프를 건축물 내외측에 선택적으로 세움과 아울러 각각의 건축용 파이프를 연결시켜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건축용 파이프의 일정 높이 위치에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를 위치시켜 작업자가 정상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건물 건축시에는 기초 기둥 외측에 건축용 파이프를 수직방향으로 세움과 동시에 각각의 수직방향 건축용 파이프를 수평방향 건축용 파이프로 결합한 후 일정 위치에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를 위치시키는 것이고, 상기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에 작업자가 위치하여 건물 외벽을 쌓거나 마감하는 것이며, 상기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는 건물 높이에 따라 여러층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건축용 파이프는 건물 건축이 완료된 경우 및 건축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축용 파이프 중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는 기둥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건축용 파이프 중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는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 또는 수직방향 파이프를 연결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건축용 파이프 중 수직방향 파이프는 양단이 지면과 건물상측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와의 접촉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건축용 파이프 중 수평방향 파이프는 양단이 일정 높이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작업자와의 접촉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방향 파이프는 수직방향 파이프를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됨과 아울러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를 적정 위치별로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수평방향 파이프의 단부와 작업자와의 접촉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건축용 파이프는, 수직방향 파이프에 연결됨과 아울러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의 단부가 작업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 파이프와의 접촉현상으로 작업장에서 충돌 상해의 위험이 항상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작업장에 설치된 파이프의 단부에 작업자가 접촉되더라도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파이프용 안전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충돌시 충돌압력을 완충시키는 안전캡 본체와, 상기 안전캡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부착되는 제 1 야광체와, 상기 안전캡 본체의 정면에 부착되는 제 2 야광체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안전캡 본체 2: 안내홈
3: 제 1 야광체 4: 제 2 야광체
P: 파이프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장에 설치된 파이프(P)의 단부에 결합되어 충돌시 충돌압력을 완충시키는 러버재질의 안전캡 본체(1)와, 상기 안전캡 본체(1)의 측면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홈(2)에 접착제를 통해서 부착되는 제 1 야광체(3)와, 상기 안전캡 본체(1)의 정면에 접착제를 통해서 부착되는 제 2 야광체(4)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안전캡 본체(1)는 일측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P)의 단부에 안전캡 본체(1)를 압입시켜 끼우게 되면 파이프(P)상에 안접캡 본체(1)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안전캡 본체(1)를 러버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충돌 물체의 상해 위험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내홈(2)에 부착된 제 1 야광체(3)와 정면에 부착된 제 2 야광체(4)는 야간 작업중 작업자가 파이프(P)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이프(P)의 단부 뿐만 아니라 파이프(P)의 중심부분에도 작업자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5는 안전캡 본체(1)의 수용부이고, 6은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작업장에 설치되는 파이프(P)의 단부에 작업자가 접촉되더라도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건물 건축이 완료된 경우 또는 건물 건축시에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건축용 파이프(P)의 단부에 안전캡 본체(1)를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안전캡 본체(1)는 제 1, 2 야광체(3,4)에 의해서 야간에도 그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건축용 파이프(P)는 수직방향 파이프(P)와 수평방향 파이프(P)로 구분되는 것인 바, 상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P)는 기둥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P)는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6)를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각의 수직방향 파이프(P)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수직방향 파이프(P)는 양단이 지면과 건물 상측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와의 접촉으로 상해가 발생하지 않으나, 상기 수평방향 파이프(P)는 양단이 일정 높이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작업자와의 접촉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안전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전사고의 위험으로 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작업자가 접촉될 수 있는 파이프(P)의 단부에 수용부(5)를 대향시킴과 동시에 안전캡 본체(1)를 파이프(P)의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밀어 파이프(P)에 안전캡 본체(1)가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P)의 단부에 안전캡 본체(1)를 결합시키게 되면 그 부분이 완충역활을 하게 됨으로써 파이프(P) 단부에 작업자가 접촉되더라도 충돌 상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캡 본체(1)가 결합된 작업장은 야간에도 제 1, 2 야광체(3,4)에 의해서 파이프(P)의 식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의식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장에 설치된 파이프의 단부에 완충용 안전캡 본체를 결합한 것으로서, 상기 안전캡 본체가 결합된 파이프의 단부에 작업자가 접촉되더라도 안전캡 본체의 충격력 완충으로 인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안전캡 본체의 측면과 정면에 각각 제 1, 2 야광체를 부착함으로써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파이프의 위치가 판별됨에 따라 작업자가 불안감을 가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파이프(P)의 단부에 결합되어 충돌시 충돌압력을 완충시키는 안전캡 본체(1);
    상기 안전캡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2)에 부착되는 제 1 야광체(3);
    상기 안전캡 본체(1)의 정면에 부착되는 제 2 야광체(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안전캡.
KR2020000021780U 2000-07-31 2000-07-31 파이프용 안전캡 KR200209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780U KR200209587Y1 (ko) 2000-07-31 2000-07-31 파이프용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780U KR200209587Y1 (ko) 2000-07-31 2000-07-31 파이프용 안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587Y1 true KR200209587Y1 (ko) 2001-01-15

Family

ID=7308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80U KR200209587Y1 (ko) 2000-07-31 2000-07-31 파이프용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58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48Y1 (ko) * 2009-09-14 2010-06-21 배지환 파일캡
KR200463400Y1 (ko) * 2010-02-23 2012-11-05 최만근 안전 난간 끝단 식별 보호구
KR20170002055U (ko) 2015-12-02 2017-06-12 김규섭 파이프 안전캡
KR102633157B1 (ko) 2022-11-24 2024-02-02 주식회사 광운기술 내화성을 가지는 비계파이프용 안전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48Y1 (ko) * 2009-09-14 2010-06-21 배지환 파일캡
KR200463400Y1 (ko) * 2010-02-23 2012-11-05 최만근 안전 난간 끝단 식별 보호구
KR20170002055U (ko) 2015-12-02 2017-06-12 김규섭 파이프 안전캡
KR102633157B1 (ko) 2022-11-24 2024-02-02 주식회사 광운기술 내화성을 가지는 비계파이프용 안전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709B2 (en) Device for the absorption of impact energy in motor veh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768381B2 (en) Vehicular collision detection apparatus
CA2441759A1 (en) Airbag apparatus for pedestrian protection
CN103707940A (zh) 前车身结构
KR101851953B1 (ko)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ITMI941270A1 (it) Ammortizzatore con corpo deformabile
KR200209587Y1 (ko) 파이프용 안전캡
KR20130135246A (ko) 건설장비용 전복방지구조 캡
CN205604108U (zh) 一种市政道路用的防撞指示牌
KR101666139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CN109083493A (zh) 市政工程安全防护装置及其安装方法
KR20100066636A (ko) 구조용 지주 보강구조체
KR20130116619A (ko) 보강형 방호울타리
CN111980109B (zh) 一种防撞地上消防栓及其防撞方法
KR102294240B1 (ko) 도로변 전신주 충돌 방지 시스템
CN212099269U (zh) 一种多功能海用浮球
WO2016195240A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US6691974B2 (en) Support frame for preventing a heavy-duty machinery from falling
KR200343181Y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가이드 레일 구조
KR200167927Y1 (ko) 가드레일 높이 조절장치
KR200343180Y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가이드 레일
CN220682615U (zh) 一种护舷材结构
KR200228238Y1 (ko) 도로 시설물용 충격흡수 기둥
ES2297973B1 (es) Barrera de segurid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