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55U - 파이프 안전캡 - Google Patents

파이프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55U
KR20170002055U KR2020150007895U KR20150007895U KR20170002055U KR 20170002055 U KR20170002055 U KR 20170002055U KR 2020150007895 U KR2020150007895 U KR 2020150007895U KR 20150007895 U KR20150007895 U KR 20150007895U KR 20170002055 U KR20170002055 U KR 201700020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afety cap
coupled
presen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989Y1 (ko
Inventor
김규섭
Original Assignee
김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섭 filed Critical 김규섭
Priority to KR2020150007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8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04G5/002Protections or covers for scaffold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장에 설치된 파이프의 단부에 작업자가 충돌하여도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비슷한 구경을 갖는 파이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끝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결합홈을 형성한 안전캡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안전캡본체 내측 끝단에서 일정 위치까지 동일한 구경으로 형성하고, 동일한 구경 끝단에서 끝 부분까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나의 안전캡을 통해 다양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파이프 크기에 맞는 안전캡을 여러 개 준비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안전캡{Safety caps for pipes}
본 고안은 파이프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작업장에 설치된 파이프 끝 부분에 충돌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슷한 구경을 갖는 모든 파이프에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파이프는 건물 건축시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임시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건축용 파이프를 건축물 내, 외측에 선택적으로 세움과 아울러 각각의 건축용 파이프를 연결시켜 결합하고, 상기 건축용 파이프를 일정 높이로 위치시키고, 여기에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에 작업자가 위치하여 건물 외벽을 쌓거나 또는 마감을 하기 위해 상기 작업 공간 형성용 작업발판은 건물 높이에 따라 여러 층으로 설치한다.
종래의 건축용 파이프는 건물 건축이 완료된 경우 또는 건축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축용 파이프 중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가 기둥역할을 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는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다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건축용 파이프 중 수직방향 파이프는 양단이 지면과 건물 상측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와 충돌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수평방향 파이프는 양단이 일정 높이로 위치하게 되면서 작업자와 충돌현상이 발생 된다.
상기 수평방향 파이프는 수직방향 파이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작업 공간 형성용 다이를 적정 위치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수평방향 파이프의 단부와 작업자의 접촉이 많아지게 된다.
상기한 파이프는 그 단부가 작업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되기 때문에 다이에서 작업자가 이동 간에 파이프 단부에 충돌하여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587호(2000.10.28. 공고)의 파이프용 안전캡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선행기술은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충돌시 충돌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의 측단에 결합하는 수용부(5)를 형성한 안전캡 본체(1)와, 상기 안전캡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2)에 부착되는 제1야광체(3)와, 상기 안전캡본체(1)의 정면에 부착되는 제2야광체(4)로 구성되는 파이프용 안전캡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선행기술의 안전캡은 입구에서 내측으로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측의 직경에 맞는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입구 쪽을 열을 가하여 말랑거리는 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작업자가 입구를 잡고 벌려 파이프의 끝단에 설치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아지는 계절에는 안전캡이 딱딱하게 굳는 현상이 발생하여 입구의 내경 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를 결합 시 안전캡의 입구에 열을 가한 상태에서 입구를 벌리면 측면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입구에 가하는 열이 고르게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딱딱한 부분과 말랑거리는 부분 사이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587호(2000.10.28.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공사장에 설치하는 파이프의 끝단에 작업자가 충돌하여도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파이프 끝단에 설치하는 파이프 안전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끝단에 안전캡을 원터치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안전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안전캡 구경보다 큰 파이프에도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파이프 안전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 끝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결합홈을 형성한 안전캡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안전캡본체 내측 끝단에서 일정 위치까지 동일한 구경으로 형성하고, 동일한 구경 끝단에서 일측 단부까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안전캡본체는, 경사면이 형성된 부분에 동일한 각도로 결합돌기를 등간격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안전캡본체는 내측에 동일한 구경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파이프와 결합할 때 억지 끼움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돌기를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과 동일한 각도로 하부돌기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연질로 이루어지는 안전캡에 자체적인 탄성 작용이 일어나므로 안전캡이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충돌하여도 상처나 통증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안전캡을 통해 다양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파이프 크기에 맞는 안전캡을 여러 개 준비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파이프용 안전캡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파이프 안전캡에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파이프 안전캡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이 파이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의 파이프 안전캡에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파이프 안전캡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공사장에 설치하는 파이프(P) 일측단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파이프(P) 끝단에 충돌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캡(100)을 구비한다.
상기 안전캡(100)은 파이프(P) 끝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결합홈(120)을 가지며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서 하단부분까지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경사면(130)이 형성된 안전캡본체(110)를 구성한다.
상기 안전캡본체(110)는 내측 끝단의 구경과 입구 부분의 구경 사이의 크기로 직경을 갖는 파이프(P)는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캡본체(110)의 내측 끝단의 구경은 약 35mm로 형성하고, 경사면(130)이 형성된 부분의 끝단은 약 38mm의 구경으로 형성하므로 파이프(P)의 직경이 35mm ~ 38mm 사이의 직경을 갖는 파이프(P)에 모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구경은 하나의 일례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내측 구경과 입구 쪽 구경은 3mm ~ 5mm 사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캡본체(110)는 야간 또는 비가 오는 날과 같이 어두운 날에 작업자가 파이프(P) 끝단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을 포함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전캡본체(110)에 야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전캡본체(110) 외측 및 측단에 반사띠 또는 반사패널을 부착하여 미세한 빛에도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캡본체(110)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발포 우레탄 등과 같이 연성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캡본체(110)의 재질을 연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자체적인 탄성 작용이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캡(100)이 설치된 파이프(P) 끝단에 충돌하였을 때 상처를 입거나 또는 통증을 느끼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은 도 2 내지 4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a 및 5b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캡본체(110) 전체 형상은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파이프(P) 끝단에 결합할 때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안접캡본체(110) 결합홈(120)에 결합돌기(140)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기(140)는 안전캡본체(110) 내측에 경사진 부분에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파이프(P)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돌기(140)는 상기 경사면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거나 또는 구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은 도 5a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b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캡본체(110)는 도 2 내지 5a에 도시한 바와 재질 및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하고, 파이프(P) 끝단에 결합하는 결합홈(120)에 상부돌기(150-1)와 하부돌기(150-2)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돌기(150-1)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파이프(P) 끝단이 결합할 때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이프(P) 끝단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돌기(150-2)는 안전캡본체(110)의 경사면(130)에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결합하는 파이프(P)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여 안전캡(100)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돌기(150-2)는 등간격으로 형성한 상부돌기(150-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돌기(150-1)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하여 파이프(P) 끝단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파이프(P)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을 파이프(P) 끝단에 설치하는 것을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안전캡이 파이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먼저 건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발판을 설치한다.
상기 수평파이프에 설치된 작업발판을 통해 작업자가 이동할 때 수평파이프 끝단에 충돌하여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안전캡(100)을 파이프 끝단에 결합한다.
상기 안전캡(100)을 파이프(P)에 결합하는 것을 보면, 안전캡본체(110)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한 부분을 통해 파이프(P) 끝단이 결합홈(12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면서 내측 끝단이 파이프(P) 끝단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P) 직경이 결합홈(120)의 구경과 동일하므로 결합홈(120)의 내주연이 파이프(P) 외주연에 밀착되므로 안전캡(100)은 파이프(P) 끝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안전캡(100)이 결합하는 파이프(P)의 직경이 결합홈(120)의 구경보다 큰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130)이 시작되는 부분이 경사면(130)과 같은 각도로 펴지면서 결합홈(120) 끝단으로 파이프(P)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때 안전캡본체(110)의 구경이 확장되면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P)에 결합하는 안전캡(100)은 파이프(P)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파이프(P)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파이프(P)에 부딪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캡(100) 재질이 고무, 실리콘 또는 발포 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므로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므로 작업자가 파이프(P) 끝단에 부딪혀도 상처 또는 통증 유발이 억제되는 장점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120) 내측에 결합돌기(140) 또는 상부돌기(150-1) 및 하부돌기(150-2)를 형성하므로 결합하는 파이프(P)의 직경이 결합홈(120)의 구경보다 작거나 또는 커도 안접캡(1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의 안전캡(100)을 통해 다양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P)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파이프 크기에 맞는 안전캡(100)을 여러 개 준비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안전캡(100)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100: 안전캡 110: 안전캡본체
120: 결합홈 130: 경사면
140: 결합돌기 150-1: 상부돌기
150-2: 하부돌기

Claims (3)

  1. 파이프 안전캡에 있어서,
    파이프(P) 끝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결합홈(120)을 형성한 안전캡본체(110)를 구성하고,
    상기 안전캡본체(110) 내측 끝단에서 일정 위치까지 동일한 구경으로 형성하고, 동일한 구경 끝단에서 끝 부분까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안전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본체(110)는,
    경사면이 형성된 부분에 동일한 각도로 결합돌기(14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안전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본체(110)는
    동일한 구경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파이프(P)에 결합할 때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돌기(150-1)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동일한 각도로 하부돌기(150-2)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안전캡.
KR2020150007895U 2015-12-02 2015-12-02 파이프 안전캡 KR200484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95U KR200484989Y1 (ko) 2015-12-02 2015-12-02 파이프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95U KR200484989Y1 (ko) 2015-12-02 2015-12-02 파이프 안전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55U true KR20170002055U (ko) 2017-06-12
KR200484989Y1 KR200484989Y1 (ko) 2017-11-15

Family

ID=5909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95U KR200484989Y1 (ko) 2015-12-02 2015-12-02 파이프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157B1 (ko) 2022-11-24 2024-02-02 주식회사 광운기술 내화성을 가지는 비계파이프용 안전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705A (ja) * 1996-04-26 1997-11-11 Nippon Hoan Kizai Seizo Kk 鉄筋、ボルト、パイプ等の保護キャップ
KR200209587Y1 (ko) 2000-07-31 2001-01-15 김기천 파이프용 안전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705A (ja) * 1996-04-26 1997-11-11 Nippon Hoan Kizai Seizo Kk 鉄筋、ボルト、パイプ等の保護キャップ
KR200209587Y1 (ko) 2000-07-31 2001-01-15 김기천 파이프용 안전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157B1 (ko) 2022-11-24 2024-02-02 주식회사 광운기술 내화성을 가지는 비계파이프용 안전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89Y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73758B2 (en) Anchor device
ES2628013T3 (es) Barrera de seguridad vial
US9234368B2 (en) Elastic non-metal clip and assembled fence including the same
ES2882545T3 (es) Sistema de barandilla
KR101616863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JP6454724B2 (ja) 組立式柵
ES2648597T3 (es) Dispositivo para fijar y/o para guiar elementos en forma de cuerdas
KR200484989Y1 (ko) 파이프 안전캡
AU2006251139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line
USD856537S1 (en) Cord retaining member of a stanchion of a barrier assembly
EP3056634B1 (en) Concrete anchor
KR101240491B1 (ko)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KR101967361B1 (ko) 차양 기둥의 보호커버
USD867438S1 (en) Swimming goggle
KR200463400Y1 (ko) 안전 난간 끝단 식별 보호구
US9895563B2 (en) Fire sprinkler with improved protective shell
JP5971969B2 (ja) 鳥害防止具
CN106508840B (zh) 钓鱼用砝码夹铅及钓鱼竿
JP5660384B2 (ja) ポリマー碍子用鳥害防止具
KR20140142832A (ko) 분리형 안전난간
KR101922199B1 (ko) 지주커버
JP2017145638A (ja) 防護柵支柱用反射部材
KR101620816B1 (ko) 비닐하우스의 고정구
KR20150003833U (ko) 차선분리대
KR20200029859A (ko) 제거식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