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388Y1 -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388Y1
KR200209388Y1 KR2019970044976U KR19970044976U KR200209388Y1 KR 200209388 Y1 KR200209388 Y1 KR 200209388Y1 KR 2019970044976 U KR2019970044976 U KR 2019970044976U KR 19970044976 U KR19970044976 U KR 19970044976U KR 200209388 Y1 KR200209388 Y1 KR 200209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rain cap
outlet
bol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222U (ko
Inventor
이주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3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3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 오일팬 내의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므로서 오일이 불특정한 곳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엔진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일팬에 형성되어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장치에 있어서,
오일의 배출구(11)가 외부로 하향돌설되고 상기 배출구(11)의 일측으로 힌지브라켓트(12)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으로는 볼트공(13)이 형성된 오일팬(10)과,
상기한 힌지브라켓트(1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한 볼트공(13)에 볼트(50)로 조립되어 상기한 배출구(11)를 개폐하는 드레인 캡(20)과,
상기한 드레인 캡(20)과 상기한 배출구(11) 사이에 게재되어 실링하는 가스켓(30)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드레인 캡의 열린 상태가 30 ∼ 40 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볼트(50)가 조립되는 일측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 오일안내벽(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 오일팬 내의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므로서 오일이 불특정한 곳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엔진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일배출장치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팬(100)의 배출구에 가스켓(102)으로 실링한 후 드레인 플러그(101)를 나사 조립하는 형식의 시스템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 시스템으로는 오일교환시 오일팬(100)에 들어 있는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드레인 플러그(101)을 나사풀림하여야 하는데, 상기 드레인 플러그(101)를 배출구에서 나사풀림할 때 오일이 새어나오게 되며, 이렇게 새어나오는 오일은 작업자의 신체에 묻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드레인 플러그(101)가 완전히 탈거된 후에는 오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수납하기 위한 용기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불특정방향으로 비산되므로서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오일팬의 오일배출장치를 개선하여 평상시(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는 오일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엔진 오일 배출시에는 배출되는 엔진 오일이 작업자의 신체나 바닥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엔진오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오일팬에 형성되어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장치에 있어서,
오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외부로 하향돌출되고 상기 배출구의 일측으로 힌지브라켓트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으로는 볼트공이 형성된 오일팬과,
상기한 힌지브라켓트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한 볼트공에 볼트로 조립되어 상기한 배출구를 개폐하는 드레인 캡과,
상기한 드레인 캡과 상기한 배출구 사이에 게재되어 실링하는 가스켓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드레인 캡의 열린 상태가 30 ∼ 40 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볼트(50)가 조립되는 일측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는 오일안내벽(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잠김 상태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열림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도 4 은 종래 기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팬
11 : 배출구
12 : 힌지브라켓트
13 : 볼트공
20 : 드레인 캡
21 : 돌출부
22 : 오일안내벽
30 : 가스켓
50 : 볼트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드레인 캡이 잠김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열림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인 드레인 캡의 사시도이다.
도면부호 10 은 오일팬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오일팬(10)은 도면상 저부 일부만 표현한다.
상기 오일팬(10)의 오일배출위치에는 배출구(11)가 오일팬(10)의 외부로 하향돌설되고 상기한 배출구(11)의 일측으로는 힌지브라켓트(12)가 형성되며, 그 반대측으로는 볼트공(13)이 돌설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힌지 브라켓트(12)에는 배출구(11)를 개폐하게 되는 드레인 캡(20)이 힌지(40)로 결합되고, 그 반대측의 볼트공(13)으로는 볼트(50)에 의해 상기한 드레인 캡(20)이 오일팬에 결합되어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드레인 캡(20)은 도 3 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면 중앙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한 배출구(11)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돌출부(21)가 마련되고, 볼트(50)가 조립되는 일측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 오일안내벽(22)이 형성되는데 이 오일안내벽(22)은 상기한 배출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일측은 상기한 힌지 브라켓트(1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공(23)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힌지축(40)에 의해 결합되는 드레인 캡(20)의 일측에 결합된 볼트(50)를 풀게 되면 힌지에 의해 볼트 결합됐던 쪽이 열리게 되는데, 이 때의 드레인 캡(20)의 기울기는 30 ∼ 45 도 정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드레인 캡(20)의 돌출부(21)의 주위로는 가스켓(30)을 끼워 상기한 배출구(11)가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엔진오일의 교환시기가 되어 엔진오일을 교환하고자 할 때 혹은 차량의 정비를 위하여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하여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한 드레인 캡(20)의 일측에 잠겨진 볼트(50)를 풀게 되면 상기한 드레인 캡(20)의 한 쪽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드레인 캡은 기울기가 30 ∼ 45 도 정도로 되면서 배출구(11)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개방된 배출구(11)를 통하여 오일팬에 있던 오일은 밖으로 배출되는데 배출된 오일은 드레인 캡(20)에 형성된 오일안내벽(22)을 따라 비스듬히 지정된 용기로 수납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와 같이 오일팬에 있는 폐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배출되는 오일의 흐르는 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오일이 한꺼번에 외부로 비산되어 작업자의 신체나 주변에 불필요하게 묻게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오일팬에 형성되어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장치에 있어서,
    오일의 배출구(11)가 외부로 하향돌설되고 상기 배출구(11)의 일측으로 힌지브라켓트(12)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으로는 볼트공(13)이 형성된 오일팬(10)과,
    상기한 힌지브라켓트(1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한 볼트공(13)에 볼트(50)로 조립되어 상기한 배출구(11)를 개폐하는 드레인 캡(20)과,
    상기한 드레인 캡(20)과 상기한 배출구(11) 사이에 게재되어 실링하는 가스켓(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드레인 캡(20)의 일측은 힌지축(40)으로 조립하되 상기한 드레인 캡의 열린 상태가 30 ∼ 40 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드레인 캡(20)의 중앙부는 돌출부(21)가 형성되어 배출구(11)의 내부로 삽입되고 볼트(50)가 조립되는 일측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 오일안내벽(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배출장치.
KR2019970044976U 1997-12-31 1997-12-31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KR200209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76U KR200209388Y1 (ko) 1997-12-31 1997-12-31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76U KR200209388Y1 (ko) 1997-12-31 1997-12-31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22U KR19990032222U (ko) 1999-07-26
KR200209388Y1 true KR200209388Y1 (ko) 2001-02-01

Family

ID=5389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976U KR200209388Y1 (ko) 1997-12-31 1997-12-31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3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86B1 (ko) * 2016-02-01 2016-12-28 홍재호 오일 탱크 드레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51B1 (ko) * 2010-04-01 2012-07-27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정제 코팅기 배출구의 개폐장치
KR102549264B1 (ko) * 2022-09-30 2023-06-28 조은수 산업시설의 탈부착 기능을 구비한 미스트 분사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86B1 (ko) * 2016-02-01 2016-12-28 홍재호 오일 탱크 드레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222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8998C (en) Drain valve assembly
ES2185397T3 (es) Tapa de cierre.
KR200209388Y1 (ko)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US6685043B1 (en) Quick fill
KR200204255Y1 (ko) 슬러지 저장탱크의 도어구조
US5325897A (en) Fluid catch collector for sampling and drain valves
KR100405442B1 (ko)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체결장치
KR100254562B1 (ko) 오일팬 드레인 플러그
AU644187B2 (en) LPG filler valve receptacle
KR19990039486A (ko) 엔진 오일 팬의 오일 배출 장치
KR19980040512A (ko) 드레인 플러그(Drain Plug)
KR100513223B1 (ko) 자동차 연료 주입구 주변으로의 연료 흐름 방지장치
JP3867479B2 (ja) キャップ装置
KR960004830B1 (ko) 자동차 엔진오일 배출구 구조 및 이에 적합한 수거용 용기구조
KR200149078Y1 (ko) 오일 팬 드레인 구조
KR100240395B1 (ko) 차량용 오일팬 드레인 플러그
KR200261328Y1 (ko)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KR200242533Y1 (ko) 자동차의 오일팬구조
FI110204B (fi) Voiteluaineen poistojärjestely
JPH04121412U (ja) エンジンの潤滑油ドレーン装置
SU1792884A1 (ru) Затвор емкости с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слива
KR19980033393U (ko) 자동차용 오일탱크의 드레인 콕
KR950003585Y1 (ko) 엔진 및 변속기용 드레인장치
JPH0636256Y2 (ja) オイル排出装置
RU2157456C2 (ru) Картерная полость со сливным болт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