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328Y1 -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328Y1
KR200261328Y1 KR2020010025018U KR20010025018U KR200261328Y1 KR 200261328 Y1 KR200261328 Y1 KR 200261328Y1 KR 2020010025018 U KR2020010025018 U KR 2020010025018U KR 20010025018 U KR20010025018 U KR 20010025018U KR 200261328 Y1 KR200261328 Y1 KR 200261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lve
chamber
branch pip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돈
Original Assignee
남기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돈 filed Critical 남기돈
Priority to KR2020010025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328Y1/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산업설비에 오일상태와 양을 점검하고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산업용오일점검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챔버(C)의 하방에 연결되는 유입관(1)과 투명질의 벽체(5a) 내부에 유입실(5b)이 구비된 투명몸체(5)와, 상기 투명몸체(5)의 하방에 결합된 배출밸브(7)로 구성된 공지의 오일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시몸체(5)의 상부에 분기관(3)을 연결하고 상기 유입관(1)과 분기관(3)사이에 조절밸브(2)를 장치하며, 분기관(3)의 상부에 에어유입밸브(4)를 장치하고 상기 배출밸브(7)를 좌우길이 방향으로 장치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불필요한 오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을 뿐아니라, 챔버내의 오일양을 점검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Oil checking system}
본 고안은 각종 기계 설비에 사용되는 오일을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아니라 수분등의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기, 베어링하우징, 커플링등과 같은 기계장치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오일이 주입되며, 이러한 오일은 작동 및 기계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오일에 함유된 수분의 함량이 1%일 경우에 기계의 수명이 1/10 감소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더욱이, 기계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이 오일에 함유되면 마모 및소음의 원인이 되므로 오일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에는 각종 기계 장치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오일을 점검하기 위하여 드레인 플러그를 해체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오일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통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재래식 방법은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할 뿐 수시로 오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어 결국 수분 및 이물질이 함유된 상태의 오일이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근래에는, 투명질로 된 몸체의 상단부에 유입관을 형성하고 몸체의 하단부에 배출 밸브를 형성하여 오일이 투입되는 기계장치의 케이스 하방에 유입관을 연결하면 기계장치 내부의 오일이 몸체에 유입되어 외부에서 투시되므로 오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 뿐아니라, 오일의 수분이나 이물질등이 함유되었을 경우 배출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된 오일 점검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오일점검시스템은 배출밸브가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밸브를 여닫을 때 유출되는 오일에 의하여 작업자의 손이나 주위가 지저분하게 될 뿐아니라, 기계장치의 오일과 몸체가 항시 개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배출밸브를 열어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 할때에 오일의 과다한 유출로 인하여 불필요한 오일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또한, 오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으나, 기계장치 내부에 투입된 오일의 양은 확인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는 별개의 투시창이 필요하므로 하나의 오일점검시스템에서 종합적인 오일의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오일점검시스템으로 부터 수분이나 이물질등을 유출할 때에 간편하고 청결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을 뿐아니라, 유출되는 오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이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오일의 상태는 물론 기계장치 내부의 오일양을 육안으로 확인하므로서 오일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 - 챔버 1- 유입관 2 - 조절밸브 3 - 분기관 5 - 투명몸체
본 고안은 기계장치 내부에 투입된 오일과 관통되는 유입관과, 투명질의 벽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의 출구측에 장치된 투시몸체와, 상기 투시몸체의 하방에 결합된 배출구로 구성된 공지의 오일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시몸체의 상부에 분기관을 연결하고 상기 유입관과 분기관 사이에 조절밸브를 장치하며, 분기관의 상부에 에어유입밸브를 장치하고 상기 배출구의 끝단부에 좌우길이방향으로 배출밸브롸 호스 연결구를 장치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오일이 투입된 기계장치의 챔버(C)하방에 연결하는 유입관(1)에 조절밸브(2)를 장치하며 조절밸브(2)의 출구측에 분기관(3)을 연결하여 분기관(3)의 상부에 에어유입밸브(4)를 장치하고 분기관(3)의 하부에 투시몸체(5)를 연결한다.
상기 투시몸체(5)는 투명질의 벽체(5a)내부에 침전실(5b)이 구비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투시몸체(5)의 하방에 직각으로 절곡된 배출관(6)을 연결하고 배출관(6)의 끝단부에 배출밸브(7)를 좌우길이 방향으로 장치하며, 배출밸브(7)의 출구측에 호스(8)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챔버(C)의 하방에 장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에어유입밸브(4)와 배출밸브(7)가 차단된 상태에서 조절밸브(2)를 개방하면, 챔버(C)내의 오일이 유입관(1)을 거친후 조절밸브(2)와 분기관(3)을 통과하여 투시몸체(5)의 침전실(5b)로 유입된다.
투시몸체(5)는 상기 챔버(C)의 하부보다 낮은 위치에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이 자중에 의하여 투시몸체(5)의 유입실(5b)에 채어진 상태에서 더이상의 유입이 제어된다. 이와같이 침전실(5b)에 오일이 충진된 상태에서 투명질의 벽체(5a)를 통하여 내부의 오일이 투시되므로 점검자는 육안으로 오일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c)내에 불의하게 침투된 후 오일에 함유된 수분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침전실(5b)의 하방에 위치된다.
즉, 오일보다 비중이 큰 수분은 하방으로 이동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며, 챔버(C)내에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도 상기 수분과 같은 경로를 거쳐 침전실(5b)의 바닥면에 적재된다.
상기 수분과 이물질은 계속하여 침전실(5b)의 하방에 모이게 되며, 일정량 이상이되면 배출밸브(7)를 개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즉, 침전실(5b)내의 수분과 이물질을 개방하기 위하여는, 조절밸브(2)를 닫은 후에 에어유입밸브(4)와 배출밸브(7)를 개방하면 에어유입밸브(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압이 침전실(5b)에 작용되므로 하방에 위치된 수분과 이물질이 배출관(6)에 통과된 후 개방된 배출밸브(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밸브(7)의 위치가 좌우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밸브(7)의 조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배출되는 오일의 의하여 작업자의 손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수분과 이물질의 배출상태를 투명질의 벽체(5a)를 통하여 확인 하면서 배출이 완료되면 에어유입밸브(4)와 배출밸브(7)를 닫고 조절밸브(2)를 개방하여 초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이 실시예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질의 몸체로 형성돠ㅣㄴ레벨게이지(11)를 분기관(3)의 상부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하고 레벨게이지(11)의 상단부에 에어유입밸브(4)를 장치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고안과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레벨게이지(11)를 통하여 챔버(C) 내부의 오일양을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시몸체(5a)와배출관(6a)의 위치를 변위시키면 챔버(C)가 구성된 기계장치의 형태나 구조등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투시몸체(5)를 장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각종기계장치의 챔버에 오일점검시스템을 장치하여, 오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점검할 수 있을 뿐아니라 오일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쉽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오일의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기계장치의 원활한 작동과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점검시스템 내의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 할때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장치된 배출밸브에 의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배출되는 오일에 의하여 작업자의 손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 유입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수분과 이물질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수분과 이물질은 제거할 때에 챔버내의 오일이 투시몸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불필요한 오일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레벨게이지에 의하여 챔버내의 오일양을 점검할 수 있으므로 오일의 상태는 물론 오일의 양을 종합적으로 점검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기름저장탱크나, 감속기, 베어링하우징 쿨러 등 오일이 작용되는 모든 산업기계나 설비에 쉽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챔버(c)의 하방에 연결되는 유입관(1)과 투명질의 벽체(5a) 내부에 유입실(5b)이 구비된 투명몸체(5)와, 상기 투명몸체(5)의 하방에 결합된 배출밸브(7)로 구성된 공지의 오일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시몸체(5)의 상부에 분기관(3)을 연결하고 상기 유입관(1)과 분기관(3)사이에 조절밸브(2)를 장치하며, 분기관(3)의 상부에 에어유입밸브(4)를 장치하고 상기 배출밸브(7)를 좌우길이 방향으로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오일점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의 상부에 레벨게이지(11)를 상하길이 방향으로 장치하고 레벨게이지(11)의 상단부에 에어유입밸브(4)를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오일점검시스템
KR2020010025018U 2001-08-17 2001-08-17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KR200261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18U KR200261328Y1 (ko) 2001-08-17 2001-08-17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18U KR200261328Y1 (ko) 2001-08-17 2001-08-17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096A Division KR20030012705A (ko) 2001-08-03 2001-08-03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328Y1 true KR200261328Y1 (ko) 2002-01-24

Family

ID=7310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18U KR200261328Y1 (ko) 2001-08-17 2001-08-17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3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1328Y1 (ko)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CA2245082C (en) Float activated shutoff valve
US5682661A (en) Fuel system with sight-glass
KR20030012705A (ko)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US4117817A (en) System for draining air from an engine fuel filter
CA2280216C (en) A clean-water outlet
JP2002220032A (ja) ウインドウオッシャー液用水収集装置
US7658841B2 (en) Oil-water separator
JP2981439B2 (ja)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
KR200257526Y1 (ko) 저수물통
JP4242694B2 (ja) オイルフィルタ装置
KR200209388Y1 (ko)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KR890004040Y1 (ko) 오일필터의 공기자동 배출장치
JPS5918239Y2 (ja) ドレン弁
JP2002161559A (ja) バルブ付消火栓用t字管
KR200353571Y1 (ko) 진공흡입차용 플로트밸브일체형 공기분리기
KR100458199B1 (ko)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CA2150927C (en) A light liquid offtake system for a separator basin
JPH0116484Y2 (ko)
JP2004322046A (ja) オイルフィルタ装置
RU2176038C2 (ru) Гидропривод
RU2157456C2 (ru) Картерная полость со сливным болтом
KR970005776Y1 (ko) 오일교환 및 수거장치
SU12767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качки жидкостей
KR100579969B1 (ko) 디젤 엔진의 연료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