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199B1 -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 Google Patents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199B1
KR100458199B1 KR10-2002-0069969A KR20020069969A KR100458199B1 KR 100458199 B1 KR100458199 B1 KR 100458199B1 KR 20020069969 A KR20020069969 A KR 20020069969A KR 100458199 B1 KR100458199 B1 KR 10045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auge
collector
guide tub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874A (ko
Inventor
우수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1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53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oil quantity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레벨 게이지의 도중에 일부의 오일이 저장도는 포집기를 부설하여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보다 정확한 오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하부에 취부되는 오일 팬 내의 오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오일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게이지의 스틱부 도중에 가이드 튜브를 따라 상승되는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포집하기 위한 오일 포집기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 포집기에서 오일이 분리된 가스는 엔진의 흡기 포트 측으로 유도되도록 가이드 튜브의 상부와 로커 커버의 일측 간에 연결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Level gauge having oil separator}
본 발명은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레벨 게이지의 도중에 일부의 오일이 저장도는 포집기를 부설하여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보다 정확한 오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오일 레벨 게이지는 엔진의 오일팬에 채워지는 오일의 량을 점검 및 측정하는 도구로서, 엔진이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튜브 내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오일 게이지(10)는 오일량을 측정하는 스틱부(11)가 길게 형성되고, 스틱부(11)의 상단부에는 가이드 튜브(14)의 상단에 끼워지도록 스틱부(11)보다 넓은 폭의 플러그(12)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12)의 상부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일 게이지(10)의 스틱부(11) 하부에는 오일량을 표시하기 위한 눈금들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게이지(10)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14)는 엔진 룸의 레이 아웃(Lay-out)에 따라 약간씩 굴곡된 튜브체로서, 그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고무재의 O-링(15)이 형성된 채 실린더 블럭(18)의 오일 측정구(19)에 삽입된다. 또한 실린더 블럭(18)의 오일 측정구(19)에 하단이 삽입된 가이드 튜브(14)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튜브(14)의 상부에 별도의 브라켓(16)을 형성하여 볼트(17)로써 엔진의 일측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게이지를 사용하여 오일의 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을 노면이 경사지지 않은 곳에 주차시키고, 엔진 측면의 가이드 튜브(14)에 꽂아진 오일 게이지(10)를 뽑아 오일 게이지(10)의 스틱부(11)에 묻어 있는 오일을 헝겊 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닦아 낸다.
그런 다음, 깨끗해진 오일 게이지(10)를 플러그(12)가 가이드 튜브(14)의 상단에 닿을 때까지 가이드 튜브(14) 내로 완전히 집어넣은 후, 다시 오일 게이지(10)를 뽑아내면 오일 팬에 잠겨진 오일이 오일 게이지(10)의 스틱부()에 묻어나오게 된다.
이후, 뽑아낸 오일 게이지(10)의 스틱부(11)에 묻어진 오일 높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오일 팬 내의 오일의 량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일의 량과 오일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오일 게이지에 묻어 나오는 오일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에 사용되므로서 오일의 양은 판단되었으나 오일 게이지에 묻어 나오는 오일 만으로는 오일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레벨 게이지의 도중에 일부의 오일이 저장도는 포집기를 부설하여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보다 정확한 오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엔진 하부에 취부되는 오일 팬 내의 오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오일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게이지의 스틱부 도중에 가이드 튜브를 따라 상승되는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포집하기 위한 오일 포집기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 포집기에서 오일이 분리된 가스는 엔진의 흡기 포트 측으로 유도되도록 가이드 튜브의 상부와 로커 커버의 일측 간에 연결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게이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게이지의 장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포집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엔진 22 : 오일 팬
24 : 로커 커버 30 : 가이드 튜브
32 : 연결 통로 40 : 오일 게이지
41 : 스틱부 42 : 손잡이
50 : 오이 포집기 51 : 케이스
52 : 챔버 53 : 드레인 밸브
55 : 코일 스프링 56 : 가스켓
57 : 튜브 58 : 부구
59 : 가스 배출 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게이지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게이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게이지의 장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포집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4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오일 게이지를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게이지가 장착되는 엔진을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오일 게이지(40)는 엔진(20)의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튜브(30)에 끼워지기 위한 스틱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스틱부(41)의상부 끝단에는 손잡이(42)가 형성되며, 손잡이(42)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30)의 끝단에 끼워지는 플러그(43)가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스틱부(41)의 도중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30)를 따라 상승되는 블로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 성분을 포집하기 위한 오일 포집기(50)가 부착된다.
상기한 오일 포집기(50)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51)의 내부에 포집된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소정 용적의 챔버(52)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51)의 하부면에는 상기 챔버(52)에 일정 수준이상의 오일이 저장되는 경우에 개방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드레인 밸브(53)가 장착된다.
상기한 드레인 밸브(53)는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힌지(54)의 양측으로 코일 스프링(55)이 장착된다. 상기한 챔버(52)에 저장되는 오일의 용량이 적정 수준을 넘게 될 경우에 상기 코일 스프링(55)이 작동되어 상기 드레인 밸브(53)는 개방되고, 그에 따라 일정 수준이 오일이 방출되어 코일 스프링(55)의 장력이 오일의 저장압력보다 강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 밸브(53)는 다시 닫히도록 코일 스프링(55)의 장력 및 챔버(52)에 저장되는 오일의 양이 설정된다. 드레인 밸브(53)의 상부면에는 실링을 위한 가스켓(56)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챔버(52)에는 케이스(51) 하측으로 상승되는 블로 바이 가스가 챔버(52)의 상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튜브(57)가 형성되고, 오일의 유면에 부상되어 오일의 저장 용량에 따라서 상하이동되는 부구(58)가 수용된다. 상기 튜브(57)는 그 단면형상이 사각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케이스(51)의 상부면에는 챔버(52)에서 오일이 분리된 후의 가스가 상기 케이스(51)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가스 배출 홀(59)이 형성된다.
상기한 가스 배출 홀(59)로 배출되는 가스는 엔진(20)의 흡기 포트 측으로 유도되어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한 가이드 튜브(30)의 상부 일측과 엔진(20)의 로커 커버()의 일측 간에는 연결 라인(32)이 형성된다. 이 연결 라인(32)은 상기한 가이드 튜브(30)를 엔진(20)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31)의 도중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20)의 하부에 취부되는 오일 팬(22)에는 엔진의 각 마찰부 및 습동부를 윤활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오일이 저장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오일 게이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오일 팬(22)에 저장되는 오일은 엔진(20)의 각부를 순환하게 되는 과정에서 소모되거나 그 점도가 떨어지게 되므로서 차량을 일정 수준 이상 주행한 다음에는 운전자나 정비자는 오일의 양 및 오일의 상태를 점검하고, 오일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엔진 오일을 교환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오일의 양 및 오일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일 게이지가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오일 게이지(40)의 경우에는 스틱부(41)의 도중에 형성된 오일 포집기(50)에 의해서 오일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오일 포집기(50)에는 가이드 튜브(30)를 따라 상승된 블로 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오일이 케이스(51)의 상부벽과 부딪치면서 챔버(52) 내로 낙하하여 저장되는데, 이렇게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살펴서 오일 팬(22) 내의 오일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오일 포집기(50)에 저장되는 오일은 케이스(51) 내로 새로 입력되는 오일일수록 오일의 온도는 높으므로서 케이스(51)의 상부에 위치되고, 기존에 유입된 오일은 온도가 낮은 상태가 되어 케이스(51)의 하부에 저장된다.
이렇게 케이스(51) 내부에 저장되는 오일의 양이 소정 수준을 넘을 경우에는 케이스(51) 하부면에 마련된 드레인 밸브(53)가 개방되어 가이드 튜브(30) 내측으로 오일을 배출하게 된다. 즉, 저장되는 오일의 중량이 코일 스프링(55)의 탄성력보다 높게 되면 상기 드레인 밸브(53)는 자동으로 개방되고, 오일이 어느정도 배출되어 코일 스프링(55)의 탄성력이 오일의 중량보다 높게 되면 드레인 밸브(53)는 다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오일 포집기(50)에는 계속해서 일정 수준의 오일이 저장되고, 저장되는 오일은 오일 팬(22)에서 신규로 상승되는 블로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므로서, 측정 당시에 오일 포집기(50)에 비추는 오일의 상태만으로 오일 팬(22)에 저장된 오일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 게이지(40)를 사용하여 오일 팬(22) 내에 저장되는 오일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은 종래의 경우와 같다.
한편, 상기한 오일 포집기(50)에서 오일이 분리된 가스는 케이스(51)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 홀(59)을 통해 가이드 튜브(30)의 상측으로 배출된 후, 브라켓(31)에 마련되는 연결 라인(32)을 따라 로커 커버(24)의 내부로 유도된다. 이렇게 로커 커버(24)로 유입된 블로 바이 가스는 흡기계 측으로 유입되어 흡입공기와 혼합된 후 연소실로 공급되어 연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오일의 양을 측정하기 의한 오일 게이지의 도중에 오일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오일 포집기가 형성되므로서, 오일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일 포집기에 저장된 오일의 상태를 보고 오일 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 팬 내부에 생성되는 블로 바이 가스가 오일 게이지가 끼워지는 가이드 튜브를 통해 흡기계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엔진 하부에 취부되는 오일 팬 내의 오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오일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게이지(40)의 스틱부(41) 도중에 가이드 튜브(30)를 따라 상승되는 블로 바이 가스 중의 오일을 포집하기 위한 오일 포집기(50)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 포집기(50)에서 오일이 분리된 가스는 엔진(20)의 흡기계 측으로 유도되도록 가이드 튜브(30)의 상부와 로커 커버(24)의 일측 간에 연결 라인(3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한 오일 포집기(50)는,
    오일 게이지(40)의 스틱부(41) 도중에 부착되어 소정 용적의 챔버(52)를 갖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하단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드레인 밸브(53)와;
    상기 챔버(52) 내부에 오일의 부력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형성되는 부구(58)와;
    상기 챔버(52)의 내측 상부로 가이드 튜브(30)내로 상승되는 블로 바이 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튜브(57)와;
    상기 챔버(52)에서 오일이 분리된 후의 가스가 상기 가이드 튜브(3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5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 홀(5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드레인 밸브(53)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55)의 탄성력과 챔버(52) 내에 고이게 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튜브(57)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드레인 밸브(53)의 내측면에는 실링을 위한 가스켓(56)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51)는 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 라인(32)은 상기한 가이드 튜브(30)를 엔진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31)의 도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오일 게이지.
KR10-2002-0069969A 2002-11-12 2002-11-12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KR10045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69A KR100458199B1 (ko) 2002-11-12 2002-11-12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69A KR100458199B1 (ko) 2002-11-12 2002-11-12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74A KR20040041874A (ko) 2004-05-20
KR100458199B1 true KR100458199B1 (ko) 2004-11-26

Family

ID=3733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969A KR100458199B1 (ko) 2002-11-12 2002-11-12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2014B2 (ja) * 2005-09-09 2010-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用オイルパ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74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5627A (en) Oil sampling device
CN112469890B (zh) 测量杆、这种测量杆在引导管中的布置结构以及机动车
KR100458199B1 (ko) 오일 포집기가 부설된 레벨 게이지
US6227921B1 (en) Marine propulsion device with an oil gage accessible through a cowl
US55224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oil in a compressor
CN104507851B (zh) 用于储油箱的排水系统
US49914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liquid in a reservoir is above a certain level
KR200451789Y1 (ko) 차량용 엔진오일레벨게이지
JPH06500168A (ja) 差動フロート手段およびそれを有するセンサ手段
CN105464746A (zh) 内燃机和评估内燃机内的机油质量的方法
CN217926022U (zh) 油尺结构及发动机
KR100657684B1 (ko) 차량의 오일 레벨 게이지
KR100892699B1 (ko) 차량의 오일 레벨 게이지
RU13982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уровня масла,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пары поршневое кольцо-гильза цилиндра, встроенное в систему вентиляции картер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680807U (ja) 縦形エンジンの油面ゲージ
KR100622382B1 (ko) 오일 팬의 오일량 측정장치
US20040007055A1 (en) Apparatus for accumulating and transferring lubrican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mp
KR200205678Y1 (ko) 오일 열화 분석장치
KR0149368B1 (ko) 엔진오일 오염도 측정을 위한 오일 샘플링 장치
KR100252234B1 (ko) 엔진오일의 점검장치
KR200261328Y1 (ko) 산업용 오일 점검 시스템
KR20040051066A (ko) 불순물 배출장치를 가지는 변속기
KR200210045Y1 (ko) 오일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오일 팬
KR100418768B1 (ko) 차량의 오일 레벨 첵커
KR200404983Y1 (ko)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