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983Y1 -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983Y1
KR200404983Y1 KR2020050029504U KR20050029504U KR200404983Y1 KR 200404983 Y1 KR200404983 Y1 KR 200404983Y1 KR 2020050029504 U KR2020050029504 U KR 2020050029504U KR 20050029504 U KR20050029504 U KR 20050029504U KR 200404983 Y1 KR200404983 Y1 KR 200404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ste
oil tank
nippl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세
Original Assignee
종세무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세무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종세무역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9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58Lubricant filling and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오일탱크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상기 오일탱크 내의 폐유를 교환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오일탱크 내에서 상기 오일탱크의 일측벽에 형성된 오일방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부재와;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의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볼지지가이드와; 상기 볼지지가이드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가 상기 오일방출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와; 니플몸체와, 상기 니플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외측에서 상기 오일방출구로 삽입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볼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오일방출구를 개방하는 푸셔와, 상기 니플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폐유배출관에 접속하는 관접속부를 갖는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폐유가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에 묻거나 지면에 떨어져 야기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오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폐유를 용이하게 폐유수거통에 수거할 수 있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자동차, 오일, 엔진 오일, 니플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Device for replacing car's o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가 장착될 오일탱크에서 오일방출구 영역의 확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탱크의 오일방출구에 마감캡이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탱크의 오일방출구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탱크 10a : 오일방출구
12 : 폐유 15 : 너트조립체
20 : 볼지지가이드 24 : 볼부재
26 : 탄성부재 30 : 마감캡
35 : 니플 35a : 니플몸체
35b : 푸셔 35c : 관접속부
37 : 폐유배출관 40 : 폐유수거통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유가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에 묻거나 지면에 떨어져 야기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오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폐유를 용이하게 폐유수거통에 수거할 수 있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엔진 오일, 파워스티어링 오일, 브레이크 오일, 클러치 오일, 자동변속기 오일, 미션 오일 등 각종 오일(Oil)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 엔진 오일(Engine Oil)은 엔진 내부의 윤활 및 냉각, 밀봉, 방청, 청정 작용 등을 통한 엔진 성능의 향상과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엔진 오일이 부족한 상태에서 차량을 계속 주행하면 엔진 내부의 운동 부분이 고착되어 엔진 고장의 원인을 이룬다. 밸브 가이드와 스템 및 피스톤과 실린더 라이너를 윤활시킨 오일의 일부가 연소실로 유입되어 연소 후, 증발함으로써 엔진 오일은 소모된다. 그러므로 주행거리나 사용기간을 고려하여 수시로 점검 및 교환을 해야 한다. 만일,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하거나,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을 반복해서 주행하거나,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경우라면 엔진 오일의 교환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
엔진 오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키 등을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린다. 그런 다음, 운전적의 하부 영역에 마련된 오일탱크에 마련된 캡을 제거하여 오일탱크 내에 남아 있는 폐유를 완전히 방출한다. 그리고는 다시 캡을 장착하고 차 량을 내린 후, 보닛을 열어 오일 주입구를 통해 오일탱크로 새로운 엔진 오일을 충전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엔진 오일을 교환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오일탱크 내에 남아 있는 폐유를 완전히 방출하는 과정에서 폐유가 지면 등으로 튀거나 작업자에게 튀어 작업장과 작업복을 더럽히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오일탱크 내에 잔존하는 폐유를 방출하기 위해 캡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에 오일이 묻어 수시로 손을 씻거나 작업용 장갑을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폐유가 일정한 폐유수거통에 수거되지 않고 지면을 통해 그대로 하수 처리될 경우,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바, 폐기물처리에 의거한 법적인 문제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의 교환작업시, 폐유가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에 묻거나 지면에 떨어져 야기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오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폐유를 용이하게 폐유수거통에 수거할 수 있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용 오일탱크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상기 오일탱크 내의 폐유를 교환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오일탱크 내에서 상기 오일탱크의 일측벽에 형성된 오일 방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부재와;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의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볼지지가이드와; 상기 볼지지가이드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가 상기 오일방출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와; 니플몸체와, 상기 니플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외측에서 상기 오일방출구로 삽입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볼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오일방출구를 개방하는 푸셔와, 상기 니플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폐유배출관에 접속하는 관접속부를 갖는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방출구 영역에는 상기 니플의 착탈을 위한 너트조립체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폐유의 교환작업 완료시, 상기 오일방출구 영역에 장착되어 상기 오일방출구를 차폐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자동차용 오일이란, 엔진 오일을 비롯하여 파워스티어링 오일, 브레이크 오일, 클러치 오일, 자동변속기 오일, 미션 오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엔진 오일(Engine Oil)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가 장착될 오일탱크에서 오일방출구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탱크의 오일방출구에 마감캡이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탱크의 오일방출구에 본 고 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는 오일탱크(10)의 하부벽에 관통형성된 오일방출구(10a) 영역에 마련된다. 오일탱크(10) 내에는 사용 완료된 엔진 오일의 잔량인 폐유(12)가 들어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폐유(12)는 오일방출구(10a)를 통해 그대로 방출되는 형태를 취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다.
오일탱크(10)의 오일방출구(10a) 영역에는 후술할 니플(35)과 마감캡(30)의 착탈을 위한 너트조립체(15)가 마련되어 있다. 너트조립체(15)의 내부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니플(35)과 마감캡(30)은 나사방식에 의해 너트조립체(15)에 조립되거나 혹은 분리된다. 너트조립체(15)가 위치한 오일방출구(10a) 영역에는 오일탱크(10)의 내측으로 볼지지가이드(20), 볼부재(24) 및 탄성부재(26)가 마련되어 있다.
볼지지가이드(20)는 내부가 비고 일측이 폐쇄된 관상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볼지지가이드(20)는 그 위치에 따라 상하방향을 따라 기립 배치되는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상단을 차폐하는 후벽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측벽부(21)의 하단에는 폐유(12)가 통과하는 통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볼부재(24)는 볼지지가이드(20) 내에 삽입되어 볼지지가이드(2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오일방출구(10a)를 개방하고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한다. 이러한 동작은 후술할 니플(35)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26)는 볼지지가이드(20) 내에 마련되어 볼부재(24)가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6)로는 압축스프링이 채용된다. 따라서 볼부재(24)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오일방출구(10a)를 개방하던 힘이 제거되면, 중력과 더불어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해 볼부재(24)가 하측으로 밀리면서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하게 된다.
이러한 볼지지가이드(20), 볼부재(24) 및 탄성부재(26)가 오일방출구(10a)에 인접한 오일탱크(10)의 내부에 갖춰짐으로써, 평상시 오일방출구(10a)는 차폐된다. 즉, 탄성부재(26)가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볼부재(24)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볼부재(24)는 평상시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상태일지라도 폐유(12)는 임의로 방출되지 않는다.
다만, 좀 더 확실하게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하려 한다면, 도 2와 같이, 오일탱크(10)의 외측에서 오일방출구(10a)로 마감캡(30)을 결합시키면 된다. 마감캡(30)은 캡본체(30a)와, 캡본체(30a)의 일측에 마련되어 오일방출구(10a)에 끼워져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하는 삽입부(30b)와, 삽입부(30b)의 반대 측 캡본체(30a)에 마련되는 노출부(30c)로 이루어져 있다. 폐유(12)의 교환이 완료되면, 마감캡(30)을 너트조립체(15)에 결합시켜 오일방출구(10a)에 삽입부(30b)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볼부재(24)와 함께 이중으로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탱크(10) 내의 폐유(12)를 방출하여 교환하고자 하면, 니플(35)이 사용된다. 니플(35)은 마감캡(30)을 분리한 후, 그 자리에 삽입되어 폐유(12)를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니플(35)은 니플몸체(35a)와, 니플몸체(35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오일탱크(10)의 외측에서 오일방출구(10a)로 삽입 체결되어 단부가 볼부재(24)를 가압함으로써 볼부재(24)로 하여금 오일방출구(10a)를 개방하도록 하는 푸셔(35b)와, 니플몸체(35a)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관접속부(35c)를 갖는다. 관접속부(35c)의 외측은 나사산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곳으로 폐유(12)배출관의 일측단이 접속된다. 폐유배출관(37)의 타측단은 누수 없이 폐유(12)를 수거하기 위해 폐유수거통(40)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를 이용하여 오일탱크(10) 내의 폐유(12)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마감캡(30)을 너트조립체(15)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는 그 자리에 니플(35)을 배치한다. 이 때, 니플(35)의 관접속부(35c)에는 폐유배출관(37)을 접속해놓고, 폐유배출관(37)의 타측단은 폐유수거통(40)에 배치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몸체(35a)를 잡고 푸셔(35b)를 오일방출구(10a)로 삽입하면서 니플(35)을 너트조립체(15)에 체결한다. 니플(35)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푸셔(35b)의 단부는 볼부재(24)를 가압한다. 그러면 가압되는 푸셔(35b)의 힘에 의해 볼부재(24)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26)는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오일방출구(10a)는 개방된다.
오일방출구(10a)가 개방되면, 오일탱크(10) 내의 폐유(12)는 통공(21a)을 통해 오일방출구(10a)를 경유하여, 니플(35)의 내부를 따라 낙하한다. 그리고는 관접속부(35c) 및 폐유배출관(37)을 따라 흐른 뒤, 폐유수거통(40)에 수거된다.
오일탱크(10) 내에 잔존하는 폐유(12)의 수거가 완료되면, 너트조립체(15)에 체결한 니플(35)을 제거한다. 니플(35)을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26)가 팽창되면서 볼부재(24)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볼부재(24)로 하여금 오일방출구(10a)를 차폐하도록 한다. 니플(35)이 제거되면 다시 도 2와 같이, 마감캡(30)을 결합시킨 후, 보닛을 열어 오일 주입구를 통해 오일탱크(10)로 새로운 엔진 오일을 충전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폐유(12)가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에 묻거나 지면에 떨어져 야기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오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폐유(12)를 용이하게 폐유수거통(40)에 수거할 수 있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폐유가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에 묻거나 지면에 떨어져 야기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오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폐유를 용이하게 폐유수거통에 수거할 수 있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용 오일탱크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상기 오일탱크 내의 폐유를 교환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오일탱크 내에서 상기 오일탱크의 일측벽에 형성된 오일방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부재와;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의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볼지지가이드와;
    상기 볼지지가이드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가 상기 오일방출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와;
    니플몸체와, 상기 니플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외측에서 상기 오일방출구로 삽입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볼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오일방출구를 개방하는 푸셔와, 상기 니플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폐유배출관에 접속하는 관접속부를 갖는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방출구 영역에는 상기 니플의 착탈을 위한 너트조립체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폐유의 교환작업 완료시, 상기 오일방출구 영역에 장착되어 상기 오일방출구를 차폐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KR2020050029504U 2005-10-18 2005-10-18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KR200404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04U KR200404983Y1 (ko) 2005-10-18 2005-10-18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04U KR200404983Y1 (ko) 2005-10-18 2005-10-18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872 Division 2005-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983Y1 true KR200404983Y1 (ko) 2006-01-10

Family

ID=4175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04U KR200404983Y1 (ko) 2005-10-18 2005-10-18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9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339B2 (en) Self-draining oil filter adaptor
US20090078629A1 (en) Exchangeable Oil Filter With Spring-Operated Pin For Drainage
US20110192621A1 (en) Hammer and/or Hammer Drill Having Relubricating Device
KR200404983Y1 (ko)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US6033578A (en) Engine oil filter and method for removing same
US5390823A (en) Oil filter hand punch and drain tool
US20070068734A1 (en) Williams Link, II, 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llution-free removal of fluids from mechanical reservoirs
US20020162407A1 (en) Oil drainage structure for a combustion engine crank case or the like, and method for oil drainage
WO1999051860A1 (fr) Bouchon de vidange d'huile de moteur
US8967198B2 (en) Oil storing device and engine having the same
US20080308351A1 (en) Drain plug bolt
KR200470546Y1 (ko) 엔진세정장치용 어댑터
JP4295367B2 (ja) オイル溜め容器のオイル抜き用プラグ及びこれを用いたオイル抜き装置
US5127276A (en) Inspection drain plug
KR20160004531U (ko) 오일배출장치
JP5848928B2 (ja) オイルドレン構造
KR100535456B1 (ko) 오일 팬의 오일 드레인 장치
KR100228132B1 (ko) 오일탱크의 폐 오일 배출장치
JPS6242237Y2 (ko)
JPH08170782A (ja) 自動車エンジン用のオイル抜き栓及びオイル抜取り装置
KR200271186Y1 (ko)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JP3119130U (ja) 更油設備
JPS645043Y2 (ko)
US20080053563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draining fluid
KR960005520Y1 (ko) 자동차용 오일팬의 오일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