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234Y1 - 절수기 헤드 - Google Patents

절수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234Y1
KR200209234Y1 KR2019980016111U KR19980016111U KR200209234Y1 KR 200209234 Y1 KR200209234 Y1 KR 200209234Y1 KR 2019980016111 U KR2019980016111 U KR 2019980016111U KR 19980016111 U KR19980016111 U KR 19980016111U KR 200209234 Y1 KR200209234 Y1 KR 200209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water
disk
outlet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447U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2019980016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2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234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몸통 내부에서 디스크가 회전하여 포말, 살수 및 단수 기능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불필요한 수돗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절수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절수기 헤드는 위쪽 내측면에 걸림턱을 갖는 몸통과, 이 몸통에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되고 수전금구의 토수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유출구멍이 형성되는 슬라이드와, 이 슬라이드의 아래쪽에 형성되고 유출구멍을 갖춘 디스크와, 상기한 몸통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고 그 일측면은 디스크와 나사 결합되며 유출구멍과 살수구멍이 형성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슬라이드는 내측 밑면에 중심부로부터 120° 각도의 원주방향으로 유출구멍이 뚫려지고, 이 슬라이드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디스크는 3개의 원통부재가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연결되고 이중 하나는 유출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이 슬라이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크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포말, 살수, 단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수기 헤드
본 고안은 절수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 내부에서 디스크가 회전하여 포말, 살수 및 단수 기능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불필요한 수돗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절수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수기는 주로 주방 등에 사용되는 수전금구의 토수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전금구에서 토수되는 수돗물을 흩어지게 하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재이다.
대개의 경우 수전금구에는 절수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절수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토수되는 물을 흩어서 뿌리게 하는 살수와, 물거품으로 투수 되는 포말 기능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의 절수기는 몸체가 상하부로 구성되어 수전금구에 결합된 상부몸체에서 하부몸체가 직선방향이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살수와 포말을 선택하거나, 아니면 몸체 외측면에 돌출되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레버를 통하여 살수와 포말을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수기는 살수와 포말 기능만 제공되기 때문에 수돗물 사용 중간에 단수를 하기 위해서는 수전금구의 레버를 잠궈야만 단수가 실행되었고 이러한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는 수돗물을 틀어 놓은 상태에서 설거지 등을 하게되므로 수돗물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절수기는 살수와 포말을 선택하도록 마련되는 부재가 몸체 외측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절수기의 외형을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 내부에서 디스크가 회전하여 포말, 살수 및 단수 기능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불필요한 수돗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절수기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위쪽 내측면에 걸림턱을 갖는 몸통과, 이 몸통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수전금구의 토수구와 연결되며 유출구멍이 형성되는 슬라이드와, 이 슬라이드의 아래쪽에 형성되고 유출구멍을 갖춘 디스크와, 상기한 몸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고 그 일측면은 디스크와 나사결합되며 유출구멍과 살수구멍이 형성되는 캡을 제공한다.
상기한 슬라이드는 내측 바닥면의 중심부로부터 120° 각도의 원주방향으로 유출구멍이 뚫려지고 이 슬라이드의 저면에 형성된 플랜지 밑면에는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슬라이드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디스크는 유출구멍을 갖는 3개의 원통부재가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연결되고 상기한 키홈에 삽입되어 이탈방지 및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이루어지며, 이 슬라이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크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포말, 살수, 단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가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가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가 포말상태로 설정된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가 살수상태로 설정된 단면도.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가 단수상태로 설정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는 몸통(2)과, 이 몸통(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수전금구의 토수구(F)와 결합되어 토수된 수돗물이 아래측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드(4)와, 이 슬라이드(4)로부터 유출되는 수돗물을 살수와 포말 및 단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디스크(6)와, 이 디스크(6)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그 하단부 외주연부는 상기한 몸통(2)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고 상부측은 상기한 디스크(6)에 결합되는 캡(8)을 포함한다.
상기한 몸통(2)은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한 부재들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0)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몸통(2) 상부측 내주연부에는 슬라이드(4)가 끼워지는 삽입부(12)가 마련되고, 하부측 내주연부에는 캡(8)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홈(13)이 마련된다.
상기한 몸통(2)의 형상은 장미, 튜울립, 백합 등과 같은 다양한 꽃봉오리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4)는 원동형으로 이루어진 본체(14)와, 이 본체(14)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바닥면(16)과, 상기한 본체(14) 아래쪽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8)를 갖는다.
또 상기한 슬라이드(4) 본체(14) 내측 중간부분에는 내향플랜지(20)가 형성되고, 이 내향플랜지(20) 위쪽으로 수전금구의 토수구(F) 외측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22)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닥면(16)에는 수전금구의 토수구(F)로부터 토출되는 수돗물이 흐를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출구멍(24a)(24b)이 마련되는데, 이 유출구멍(24a)(24b)들은 상기한 바닥면(16)의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120°의 각도를 유지하며 마련된다.
상기한 플랜지(18) 위쪽면에는 O-링(26)이 끼워질 수 있는 홈(28)이 마련되어 슬라이드(4)를 몸통(2)에 결합할 때, 이 몸통(2)의 공간부(10)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향플랜지(20) 위쪽면에는 수전금구의 토수구(F)와 슬라이드(4)를 결합할 때, 토수구(F)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이 몸통(2)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패킹(30)이 삽입된다.
이러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O-링(26)과 패킹(30)은 적당한 탄력성을 갖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플랜지(18) 아래쪽 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홈(32)과, 이 키홈(32) 내측에 위치하여 단수로 변환할 때 감도를 주기 위한 돌기(34)가 구비된다.
상기한 키홈(32)은 도면에서 보아 슬라이드(4)의 유출구멍(24b)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도록 이루어지며, 이 키홈(32)의 양측단은 슬라이드(4)의 중심으로부터 적어도 120。이상의 각도를 갖추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슬라이드(4)의 저면으로는 포말, 살수, 단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크(6)가 위치한다.
상기한 디스크(6)는 원반형상의 베이스(36)와, 이 베이스(36)의 외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키홈(32)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키(38)와, 상기한 베이스(36)에 내접하고 구멍(40)이 뚫린 원통부재(42)와, 막힌 원통부재(44)(46)가 원주방향으로 120°의 등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상기한 키(38)는 키홈(32)을 따라서 디스크(6)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주며, 또한 슬라이드(4)와 디스크(6)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키홈(32)은 수전금구의 토수구(F)와 절수기 헤드를 연결할 때나 분리할 때, 이 키홈(32)의 끝단부에 디스크(6)에 형성된 키(38)가 걸리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원통부재(42)(44)(46)들 내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된 중앙부에는 나사구멍(48)이 형성된다.
이러한 원통부재(42)(44)(46)들 사이에는 공간부(50)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50)와 구멍(40)을 갖는 원통부재(42)는 디스크(6)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6)의 유출구멍(24a)(24b)들과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통부재(42)(44)(46)들 위쪽면에는 홈(52)이 형성되는데, 이 홈(52)에는 O-링(54)이 삽입되어 슬라이드(4)와 디스크(6)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O-링(54)은 완벽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력과 내구성을 구비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36)의 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56)를 보유하여 이와 대응되는 홈(58)을 보유한 캡(8)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캡(8)은 디스크(6)를 통과한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곳으로서 내부공간(60)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62)와, 이 몸체(6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64)를 갖는다.
상기한 몸체(62) 상단부 에는 포말 선택시 디스크(6)의 원통부재(42)에 형성된 구멍(40)을 통하여 토수되는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홈(68)이 마련되고,이 홈(68)에는 다수의 작은구멍(70)이 뚫려진다.
상기한 작은 구멍(70)은 몸체(62)의 내부공간(60)으로 떨어지는 수돗물이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고 골고루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설거지나 식기 세척시 보다 효율적인 수돗물 사용을 제공하여준다.
또 상기한 플랜지(64)에는 살수 선택시 수돗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72)이 뚫려있다.
상기한 플랜지(64)는 살수되는 범위를 넓혀주기 위하여 외주연부로 가면서 높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내부공간(60) 하단부에는 통상적인 방식의 포말뭉치(74)가 끼워지는데, 이러한 일반적인 포말뭉치(74)에는 배출되는 수돗물을 사방으로 퍼지게하는 격자판(75)과, 이 격자판(75)을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그물망(76)이 갖춰진다.
이러한 캡(8)의 몸체(62)상단부 중앙부에는 나사구멍(78)이 마련되는데, 이 나사구멍(78)에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부재(80)를 이용하여 디스크(6)에 형성된 나사구멍(48)과 나사 결합하고, 플랜지(64) 외주연부는 몸통(2) 하단부 내측에 형성된 홈(1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되면 디스크(6)와 캡(8) 그리고 몸통(2)은 항상 같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절수기 헤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2)을 잡고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전금구의 토수구(F)와 나사 결합된 슬라이드(4)는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통(2)과 디스크(6)와 캡(8)이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포말, 살수, 단수를 선택할 수 있게된다.
도 5a는 포말상태로 설정된 절수기 헤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전금구의 레버(미도시)를 오픈으로 위치시켜 적당한 양의 수돗물이 토수구(F)에서 토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절수기 헤드가 단수 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몸통(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크(6)와 캡(8)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4)에 형성된 키홈(32)에 디스크(6)의 키(38)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슬라이드(4)와 디스크(6)는 이탈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슬라이드(4)의 유출구멍(24a)과 디스크(6)의 구멍(40)이 연통될 때까지 진행시킨다.
이렇게 되면 슬라이드(4)의 다른 유출구멍(24b)은 디스크(6)의 원통부재(44)가 막고 있는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슬라이드(4)의 유출구멍(24a)과 디스크(6)의 구멍(40) 및 캡(8)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구멍(70)을 통하여 캡(8)의 내부공간(60)으로 수돗물이 배출된다.
도 5b는 살수상태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a의 상태에서 몸통(2)을 반시계방향으로 60°정도 회전시키면 슬라이드(4)의 유출구멍(24a)(24b)들은 120°의 각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 유출구멍(24a)(24b)들과 디스크(6)의 공간부(50)들이 연통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한 디스크(6)의 공간부(50)로 유입된 수돗물은 베이스(36)면을 타고 몸통(2)의 공간부(10)로 흘러 캡(8)의 플랜지(64)에 형성된 구멍(72)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5c는 단수상태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b 상태에서 몸통(2)을 반시계방향으로 60°정도 회전시키면 슬라이드(4)의 유출구멍(24a)(24b)들을 디스크(6)의 막힌 원통부재(44)(46)들이 막기 때문에 단수상태로 변환되게 된다.
이러한 단수상태로 변환할 때 디스크(6)의 키(38)가 슬라이드(4)의 키홈(32)에 마련된 돌기(34)를 넘으면서 감도를 주게된다.
이렇게 절수기 헤드에 단수기능이 제공되면 종래의 수전금구의 레버를 잠금으로서 단수를 선택하는 것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수기 헤드는 몸통을 회전시켜 포말과 살수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이와 함께 단수 기능이 제공되어 불필요한 수돗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절수기 헤드는 모든 부재들이 몸통 내측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외형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Claims (4)

  1. 공간부를 갖는 몸통과, 이 몸통에 끼워지고 수전금구의 토수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유출구멍과 키홈이 갖춰진 슬라이드와, 이 슬라이드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유출구멍과 키를 갖는 디스크와, 상기한 몸통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고 그 일측면은 디스크와 나사 결합되며 유출구멍과 살수구멍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절수기 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드는 바닥면 중심으부로부터 120° 각도를 갖도록 유출구멍이 뚫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디스크는 3개의 원통부재가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이중 하나는 유출구멍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디스크의 회전은 슬라이드에 형성된 키홈에 키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헤드.
KR2019980016111U 1998-08-27 1998-08-27 절수기 헤드 KR200209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111U KR200209234Y1 (ko) 1998-08-27 1998-08-27 절수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111U KR200209234Y1 (ko) 1998-08-27 1998-08-27 절수기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47U KR19980065447U (ko) 1998-11-25
KR200209234Y1 true KR200209234Y1 (ko) 2001-01-15

Family

ID=6951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111U KR200209234Y1 (ko) 1998-08-27 1998-08-27 절수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2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24B1 (ko)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WO2021107245A1 (ko) 2019-11-28 2021-06-03 권복민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46B1 (ko) * 2011-03-09 2013-04-03 김효성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101525980B1 (ko) * 2013-03-11 2015-06-05 이명구 샤워기 헤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24B1 (ko)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WO2021107245A1 (ko) 2019-11-28 2021-06-03 권복민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US11933030B2 (en) 2019-11-28 2024-03-19 Rüscho-Schotenröhr GmbH Fluid flow control device for faucet 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47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7784B2 (en) Parent-child showerhead
US5476225A (en) Multi spray pattern shower head
US4187986A (en) Sprayer
KR20010085628A (ko) 다기능 샤워 헤드
EP0810034B1 (en) Portable Water-mixture dispenser
KR200209234Y1 (ko) 절수기 헤드
JP3816332B2 (ja) シャワーヘッド
US20030231924A1 (en) Soap-dispensing scrubber
US20070138317A1 (en) Pivotable watering nozzle assembly
JPH0536509Y2 (ko)
JP2007170510A (ja) 三方切換え弁
WO1998002077A1 (en) Shower apparatus comprising multiple shower heads and diverter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JP3008341U (ja) 蛇口給水装置
CN112604829A (zh) 一种水流切换组件及具有其的花洒
JPH05115520A (ja) マツサージシヤワーヘツド
US5072757A (en) Faucet having angularly rotatable spout
US6565014B1 (en) Wave generator
JPH03133411A (ja) 多機能シャワー
JP3693271B2 (ja) じょうろ
JPH0713593Y2 (ja) シャワー構造
KR200311277Y1 (ko)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KR200359117Y1 (ko)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JPH0649648Y2 (ja) 操作ハンドルの回動係止機構
JP3677641B2 (ja) 吐水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