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277Y1 -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277Y1
KR200311277Y1 KR20-2003-0002884U KR20030002884U KR200311277Y1 KR 200311277 Y1 KR200311277 Y1 KR 200311277Y1 KR 20030002884 U KR20030002884 U KR 20030002884U KR 200311277 Y1 KR200311277 Y1 KR 200311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ece
discharg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진
강준호
임정수
이상덕
이무재
조명식
박병규
이문수
Original Assignee
영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2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277Y1/ko
Priority to PCT/KR2004/000148 priority patent/WO200406785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사용자의 취사 선택에 대응되게 정수와 원수로 그리고 선택에 따른 정수 또는 원수를 샤워수 및 포말수로 선택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수도전에 일단이 분리 결합가능하게 중공의 원기둥체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정화용 필터를 실장가능하게 일단은 막힘되고,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원수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정화용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를 갖는 필터 하우징을 내주면과 비접촉되게 수용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에 실링부재를 끼움시켜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중공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순차적 고정 연결되어 회전에 따른 정,원수를 선택적으로 절환 토출시키기 위한 유로 절환수단과, 상기 유로 절환수단과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유입측과 상기 유입측과 연통된 토출측을 갖되, 상기 유입측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유로 절환수단의 회전에 따른 정,원수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한 토출수 선택용돌기가 돌설된 중공의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의 토출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어 상기 유로 절환수단을 통하여 토출되는 정,원수에 대한 샤워수 또는 포말수로 절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토출수 절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Multi-functional head apparatus to produce clean water}
본 고안은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전을 통하여 제공되는 원수를 정수와 원수로 취사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사선택된 정,원수에 대하여 샤워수 또는 포말수로 사용가능하도록 한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쓰레기기와 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해 식수원이 날로 오염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로 인해 식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원을 정화하기 위해 더 많은 화학약품이 투여됨에 따른 수도전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직접 음용하기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필터가 내장된 수도전 또는 수도꼭지를 부착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정,원수의 선택없이 항상 정수를 유출시키게 되므로 필터 교환을 자주하여야 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사용자의 취사 선택에 대응되게 정화된 정수와 원수로 사용가능함과 아울러, 선택에 따른 정수 또는 원수를 샤워수 및 포말수로 선택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화용 필터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도전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헤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전에 일단이 분리 결합가능하게 중공의 원기둥체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유입된 원수를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흡수시켜 정수시키도록 원통형의 코어부재의 외주면을 내부 부직포층과, 고형분 흡착층 그리고 외부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감싸 적층된 정화용 필터를 실장가능하게 일단은 막힘되고,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원수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정화용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를 갖는 필터 하우징을 내주면과 비접촉되게 수용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에 실링부재를 끼움시켜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연결용 나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 내주면에는 결합용나사부가 형성된 중공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누수방지용링을 끼움시켜 고정용축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순차적 고정 연결되어 회전에 따른 정,원수를 선택적으로 절환 토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유로 절환수단과, 상기 유로 절환수단과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유입측과 상기 유입측과 연통된 토출측을 갖되, 상기 유입측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유로 절환수단의 회전에 따른 정,원수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한 토출수 선택용돌기가 돌설된 중공의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의 토출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어 상기 유로 절환수단을 통하여 토출되는 정,원수에 대한 샤워수 또는 포말수로 절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토출수 절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를 도시한 일부단면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유로절환수단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단면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토출수 절환수단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반단면 분리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원수 사용에 따른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 결합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정수 사용에 따른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 결합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또 다른 토출수 절환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또 다른 토출수 절환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단면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또 다른 토출수 절환수단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헤드장치 200 : 손잡이부재
300 : 연결부재 400 : 유로 절환수단
500 : 헤드부재 600,700 : 토출수 절환수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단면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전에 고정 연결되는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100)는 유입된 원수를 외주면을 통하여 흡수시켜 정수시키도록 원통형의 코어부재의 외주면을 내부 부직포층과, 고형분 흡착층 그리고 외부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감싸 적층된 정화용 필터(210)를 내장시키도록 일단은 막힘되고,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원수 유입공(220a)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정화용 필터(210)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220b)를 갖는 필터 하우징(220)을 내측에 내주면과 비접촉되게 실장시킬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미도시된 수도전에 패킹부재(230)를 끼움시켜 분리 결합을 위해 나사 결합가능하게 고정나사부(200a)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후술할 연결부재(30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결합나사부(200b)가 형성되며, 외주면은 사용자의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요철형상의 단면을 갖는 미끄럼 방지부(200c)가 형성된 손잡이부재(200)와, 상기 손잡이부재(200)의 결합나사부(200b)와 실링부재(301)를 끼움시켜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연결용 나사부(300a)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 내주면에는 타부품 즉, 후술할 유로 절환수단(400)의 결합부재(410)와 나사 결합을 위한 결합용나사부(300b)가 형성된 중공의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의 일단에 누수방지용링(41)을 끼움시켜 고정용축부재(42)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순차적 고정 연결되어 회전에 따른 정,원수를 선택적으로 절환 토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유로 절환수단(400)과, 상기 유로 절환수단(400)과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내주면에는 나사부(500a)가 형성된 유입측과 상기 유입측과 연통된 토출측을 갖되, 상기 유입측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유로 절환수단(400)의 회전에 따른 정,원수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한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가 돌설된 중공의 헤드부재(500)와, 상기 헤드부재(500)의 토출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어 상기 유로 절환수단(400)을 통하여 토출되는 정,원수에 대한 샤워수 또는 포말수로 절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토출수 절환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한 유로절환수단(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삽입걸림편(42a)과, 이의 삽입걸림편(42a)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는 체결편(42b)을 갖는 고정용축부재(42)의 삽입걸림편(42a)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411a)이 천공되고, 일면에는 상기 관통공(411a) 주변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원주방향 일정간격 복수개의 정,원수 위치결정용홈(411b,411c)이 적어도 한번 이상 교번되게 요설되며, 상기 정,원수 위치결정용홈(411b,411c)의 일측에는 이의 정,원수위치결정용홈(411b,411c)에 대응되게 정,원수용홀(411d,411e)이 각각 관통된 원판형의 유입용판(411)과, 상기 유입용판(411)의 타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부재(300)와 나사 결합을 위한 결합나사부(412a)를 갖는 원기둥체의 결합편(412)과, 상기 결합편(412)내측에는 유입용판(411)으로부터 정수용홀(411d)을 각각 수용가능하게 돌출되고 내부는 결합편(412)의 내주면과 막음편(413a)에 의해 막음 연결되되, 내측면 하단부는 상기 정수용홀(411d)과 연통되도록 유인홀(413b)이 관통 형성된 정수용돌편(413)과, 상기 정수용돌편(413)일측에는 유입용판(411)으로부터 원수용홀(411e)을 각각 수용가능하게 일단이 개구되어 돌출 형성된 원수용돌편(414)을 갖는 결합부재(410)와, 상기 결합부재(410)의 유입용판(411)을 정,원수실링부재(421,422)를 끼움시켜 일측으로 수용시킬 수 있도록 중간부는 격판(423)에 의해 이분할된 회전부재용파지편(424)으로 형성되되, 상기 격판(423)의 중앙부에는 삽입걸림편(42a)을 관통시켜 이의 삽입걸림편(42a)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공(423a)이 형성되고, 이 연결공(423a) 주변으로 양면에는 정,원수위치결정용홈(411b,411c)에 삽입가능하도록 원주방향 일정간격 복수개의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가 돌설됨과 아울러, 상기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410)의 결합에 따른 정,원수용홀(411d,411e)과 연통가능하도록 연통홀(423d)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423d)과 일치되는 회전부재용 파지편(424)의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부재(500)와의 결합에 따른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를 기준으로 정,원수의 토출을 인식 즉, 최초 정수가 토출되도록 결합됨에 따른 좌,우방향으로 회전(90°)시킬 경우 원수의 토출을 사용자가 쉽게 알수 있도록 돌기(424a)가 돌출 형성된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와,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타측에 정,원수용 누수방지부재(431,432)를 끼움시켜 일단이 수용가능하도록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삽입걸림편(42a)을 관통시킴에 따른 체결편(42b)과 결합가능하도록 결합공(433a)이 천공되고, 일면에는 상기 결합공(433a) 주변으로 상기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를 삽입시키기 위한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이 요설됨과 아울러, 상기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의 일측에는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회전에 대응되게 연통홀(423d)을 통하여 유출되는 정,원수를 상기 헤드부재(500)측으로 토출시키도록 정,원수용 유출홀(433d,433e)이 교번되게 관통 형성된 원판형의 유출용판(433)과, 상기 유출용판(433)의 타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부재(500)의 유입측과 나사 결합을 위한 고정나사부(434a)를 갖는 원기둥체의 고정편(43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4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토출수 절환수단(600) 그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 중앙부에 삽입공(611a)이 관통 형성되며, 이 삽입공(611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원주방향 복수개의 배출공(611b)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첨부된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로부터 내측 바닥면측으로 원주방향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진 절환용가이드홈(611c)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된 삽입부(611)와, 상기 삽입부(611)의 저면 선단부에는 상기 헤드부재(500)의 토출측에 초음파 융착 고정가능하도록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612)를 갖는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와, 상기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삽입부(611)로 누수 방지가능하도록 조절부재용 패킹부재(621)를 끼움시켜 절환용가이드홈(611c)을 따라 걸림 회전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용돌기(622a)가 복수개 갖추어진 삽입기둥부(622)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기둥부(622)의 바닥면과 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저면에는 중앙부에 포말수용홀(623a)이 관통된 포말수용 기둥부(623)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 돌출된 상기 포말수용 기둥부(623) 외측으로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외주면에결합나사부(624a)를 갖는 결합편(6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기둥부(622)와 포말수용 기둥부(623) 사이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 일정간격 샤워수용홀(625a)이 관통 형성된 판상의 토출수조절판(625)을 갖는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와, 상기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포말수용 기둥부(623)에 형성된 포말수용홀(623a)을 일단이 관통하여 상기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삽입공(611a)에 누수 방지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630a)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회전에 따른 포말수용홀(623a)을 개폐하기 위한 접촉편(630b)이 외향 연장 형성된 포말수 개폐용부재(630)와, 상기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결합편(624)를 내측으로 결합부재용 패킹부재(641)를 끼움시켜 수용가능하도록 선단부는 상향 절곡되고 내주면에는 결합나사부(624a)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고정나사부(642a)를 갖는 수용편(642)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포말수용 기둥부(622)와 접촉가능하도록 결합기둥편(643)이 형성되되, 이 결합기둥편(643)의 바닥면은 토출공(643a)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기둥편(643)와 수용편(642) 사이의 바닥면에는 토출용 샤워수홀(640a)이 원주방향 복수개 형성된 토출수 결합부재(640)와, 상기 토출수 결합부재(640)의 결합기둥편(643) 내측으로 수용 구비되어 포말수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포말수용망(651)과, 이의 포말수용망(651)을 고정하기 위한 포말수용망 고정편(652)을 갖는 포말수용부재(65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가능한 수도전용 헤드장치(100)의 토출수 절환수단(60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좌,우회전시 이의 토출수 조절용부재(620)가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절환용 가이드홈(611c)을 따라 회전됨에 따른 포말수용 기둥부(623)의 포말수용홀(623a)을 막음하고 있는 포말수 개폐용부재(630)와 분리 즉, 개폐됨으로써, 샤워수와 포말수로 각각 토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은 개구되고 상면은 막음된 원기둥체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곳에 관통공(711a)이 천공된 돌기편(711)이 더 돌출 형성되고, 이 돌기편(711)의 저면에는 관통공(711a) 일측으로 결합홈(711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711b) 외측으로는 서로 마주보는 곳에 걸림돌조(712)가 원주방향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조(712)의 외측으로는 결합용 기둥부(713)가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용 기둥부(713)의 외주면에는 선단부와 일부가 연통되어 원주방향 삽입용장홈(713a)이 형성된 삽입부(714)와, 상기 삽입부(714)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해드부(500)의 토출측에 초음파 융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외향 연장형성된 플랜지부(715)를 갖는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와, 상기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의 돌기편(711) 저면 형성된 결합홈(711b)에 삽입가능하게 삽입편(720a)이 돌출 형성되고, 이의 삽입편(720a) 일측에는 관통공(711a)과 연통되도록 유출공(720b)이 형성된 누수 방지부재(720)와, 상기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의 삽입부(714)로 삽입가능하도록 원기둥체로 형성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곳에 축방향 관통된 포말수용홀(731a)이 형성되고, 이 포말수용홀(731a)의 일측에는 샤워수용홈(731b)이 요설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샤워수용홈(731b)과 연통된 샤워수용연통공(731c)이 형성되고, 상기 포말수용홀(731a)과 일치되는 외주면 상부에는 좌,우회동에 따른 상기 걸림돌조(712)에 걸림되도록 걸림돌기(731d)가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 하단부에는 후술할 포말수용 고정부재(760)의 포말수 고정편(761)을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용 나사부(731e)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용 나사부(731e)의 상부 외주면에는 일전간격 복수개의 결착용돌기(731f)가 돌출 형성된 토출수기둥부(731)와, 상기 토출수기둥부(731)의 결착용돌기(731f)와 샤워수용연통공(731c) 사이의 외주면에는 상기 토출수기둥부(731)를 안착 걸림시키기 위해 외향 연장 형성된 안착용 플랜지부(732)를 갖는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와, 상기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의 결합용기둥부(713)를 내측으로 패킹부재(741)를 끼움 고정시켜 수용가능하도록 선단부는 상향 절곡되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용 기둥부(713)에 형성된 삽입용장홈(713a)에 삽입 걸림가능하도록 삽입돌기(742a)가 돌출 형성된 삽입편(742)이 형성됨과 아울러,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를 중앙부로 누수방지용링부재(743)를 끼움시켜 관통 돌출되게 안착시키도록 관통공(740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740a)과 삽입편(742) 사이의 바닥면에는 샤워수용토출공(740b)이 형성된 샤워수용결합부재(740)와, 상기 샤워수용결합부재(740)를 내측으로 수용시키도록 선단부는 상향 절곡된 수용편(751)이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부는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의 토출수기둥부(731)를 삽입 관통 돌출시키도록 관통용홀(750a)이 형성되되, 이의 관통용홀(750a)의 내주면에는 상기 토출수기둥부(7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착용돌기(731f)를 삽입시켜 회동됨에 따른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삽입홈(750b)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용홀(750a)과 수용편(751) 사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샤워수용결합부재(740)의 샤워수용토출공(740b)을 통하여 토출되는 샤워수를 토출시키기 위한 장공(750c)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수용편(751)의 외주면에는 파지용돌기(752)가 돌출 형성된 토출수 선택용 조절부재(750)와, 상기 토출수 선택용 조절부재(750)의 관통용홀(750a)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의 토출수용 기둥부(731)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용나사부(731e)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내주면에는 고정용나사부(761a)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관통된 포말수 고정편(761)과, 이의 포말수 고정편(761) 내부에 구비되어 포말수를 제공하기 위한 포말수용망(762)을 갖는 포말수용고정부재(760)로 이루어진 토출수 절환수단(70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200) 내측에는 정화용 필터(210) 외에 자화수 형성가능한 필터와 같은 다양한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부재(500)의 유입측 외주면에 돌설된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와 유로 절환수단(400)의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 외주면에 돌설된 돌기(424a)가 일치된 상태를 정수가 토출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색칠한 의한 표시로 정,원수의 토출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100)를 수도전에 고정 연결시켜 원수를 사용함에 따른 이의 원수를 포말수로 토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헤드부재(500)의 유입측 외주면에 돌설된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와 유로 절환수단(400)의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 외주면에 돌설된 돌기(424a)가 일치된 상태에서 일방향 예컨대 왼쪽방향으로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의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 격판(423) 양면에 돌설된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가 결합부재(410)의 유입용판(411)과 고정부재(430)의 유출용판(433)에 형성된 정,원수 위치결정용홈(411b,411c)과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으로부터 각각 이탈하여 삽입걸림편(42a)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회전에 따른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가 각각 정,원수 위치결정용홈(411b,411c)과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에 일치하여 수용되면,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격판(423)에 형성된 연통홀(423d)이 결합부재(410)의 원수용홀(411e)과 고정부재(430)의 원수용유출홀(433e)이 일치하게 된다.
상기 격판(423)에 형성된 연통홀(423d)이 결합부재(410)의 원수용홀(411e)과 연통됨에 따른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손잡이부재(2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00) 내주면과 비접촉되게 구비된 필터 하우징(220)의 외주면 사이를 따라 유로절환수단(400)의 결합부재(410)에 형성된 원수용홀(411e)과, 이의 원수용홀(411e)과 연통가능하게 회전된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연통홀(423d) 및 고정부재(430)의 원수용 유출홀(433e)을 통하여 헤드부재(500)측으로 유출된다.
상기 헤드부재(500)측으로 유출된 원수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수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삽입부(611) 상면에 형성된 배출공(611b)을 통하여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측으로 배출되며, 배출된 원수는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포말수용홀(623a)과 포말수용부재(650)의 포말수망(651)을 통하여 포말수로 토출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포말수로 사용중인 원수를 샤워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수 절환수단(600)의 토출수 조절용부재(6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의 토출수 조절용부재(620)는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절환용가이드홈(611c)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하향 이동으로 포말수 개폐용부재(630)가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포말수용홀(623a)을 막음시킴과 아울러, 포말수용 기둥부(623)는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삽입부(611) 저면과 이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원수는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샤워수용홀(625a) 및 토출수 결합부재(640)의 토출용 샤워수홀(640a)을 통하여 샤워수로 토출되어 진다.
한편, 정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절환수단(400)의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원수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시킨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격판(423) 양면에 돌설된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가 결합부재(410)의 유입용판(411)과 고정부재(430)의 유출용판(433)에 형성된 정,원수위치결정용홈(411b,411c)과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으로부터 각각 이탈하여삽입걸림편(42a)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회전에 따른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가 각각 정,원수 위치결정용홈(411b,411c)과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에 일치하여 수용되면,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격판(423)에 형성된 연통홀(423d)이 결합부재(410)의 정수용홀(411d)과 고정부재(430)의 정수용 유출홀(433d)이 일치하게 된다.
즉,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회전부재용 파지편(424)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424a)와 헤드부재(500)의 유입측 외주면에 돌설된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가 일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를 상기한 역방향이 아닌 최초 원수를 사용하기 위한 회전방향으로 더 회전(90°)시켜,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회전부재용 파지편(424)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424a)와 헤드부재(500)의 유입측에 돌설된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가 서로 마주 보는 곳에 위치하여도 정수의 토출이 된다.
이와 같이 연통홀(423d)이 결합부재(410)의 정수용홀(411d)과 정수용유출홀(433d)이 일치하게 되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손잡이부재(200)에 수용된 필터 하우징(220)의 유입공(220a)측으로 유입되고, 이의 유입공(220a)측으로 유입된 원수는 정화용 필터(210)에 의해 정수되며, 이 정화된 정수는 다시 필터 하우징(220)의 유출구(220b)를 통하여 유로절환수단(400)의 결합부재(410)에 형성된 정수용홀(411d)과, 이의 정수용홀(411d)과 연통가능하게 회전된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연통홀(423d) 및 고정부재(430)의 정수용 유출홀(433d)을 통하여 헤드부재(500)측으로 유출된다.
상기 헤드부재(500)측으로 유출된 원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삽입부(611) 상면에 형성된 배출공(611b)과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샤워수용홀(625a) 및 토출수 결합부재(640)의 토출용 샤워수홀(640a)을 통하여 샤워수로 토출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 토출수 절환수단(600)의 토출수 조절용부재(6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원수를 포말수로 토출되는 것과 같이 상기 정수공급용홀(434a)을 통하여 유출되는 정수는 포말수용홀(623a)과 포말수용부재(650)의 포말수망(651)을 통하여 포말수로 토출되어 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용 필터로 인한 사용자가 유로 절환수단을 회전시킴에 따른 정화된 정수와 원수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함과 아울러, 선택에 따른 정수 또는 원수를 토출수 절환수단의 조작으로 샤워수 및 포말수로 선택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화된 정수를 직접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와 원수를 선택 사용가능함으로 인해 정화용 필터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도전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헤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전에 일단이 분리 결합가능하게 중공의 원기둥체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유입된 원수를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흡수시켜 정수시키도록 원통형의 코어부재의 외주면을 내부 부직포층과, 고형분 흡착층 그리고 외부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감싸 적층된 정화용 필터(210)를 실장가능하게 일단은 막힘되고,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원수 유입공(220a)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정화용 필터(210)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220b)를 갖는 필터 하우징(220)을 내주면과 비접촉되게 수용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200)와;
    상기 손잡이부재(200)에 실링부재(301)를 끼움시켜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연결용 나사부(300a)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 내주면에는 결합용나사부(300b)가 형성된 중공의 연결부재(300)와;
    상기 연결부재(300)의 일단에 누수방지용링(41)을 끼움시켜 고정용축부재(42)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순차적 고정 연결되어 회전에 따른 정,원수를 선택적으로 절환 토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유로 절환수단(400)과;
    상기 유로 절환수단(400)과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내주면에는 나사부(500a)가 형성된 유입측과 상기 유입측과 연통된 토출측을 갖되, 상기 유입측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유로 절환수단(400)의 회전에 따른 정,원수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한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가 돌설된 중공의 헤드부재(500)와;
    상기 헤드부재(500)의 토출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어 상기 유로 절환수단(400)을 통하여 토출되는 정,원수에 대한 샤워수 또는 포말수로 절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토출수 절환수단(600,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00)는 일단 외주면에 수도전에 패킹부재(230)를 끼움시켜 분리 결합가능하게 고정나사부(200a)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결합나사부(200b)가 형성되며, 외주면은 사용자의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요철형상의 미끄럼방지부(200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절환수단(400)은,
    중앙부에 삽입걸림편(42a)과, 이의 삽입걸림편(42a)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는 체결편(42b)을 갖는 고정용축부재(42)의 삽입걸림편(42a)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411a)이 천공되고, 일면에는 상기 관통공(411a) 주변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원주방향 일정간격 복수개의 정,원수 위치결정용홈(411b,411c)이 적어도 한번 이상 교번되게 요설되며, 상기 정,원수 위치결정용홈(411b,411c)의 일측에는 이의 정,원수위치결정용홈(411b,411c)에 대응되게 정,원수용홀(411d,411e)이 각각 관통된 원판형의 유입용판(411)과, 상기 유입용판(411)의 타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부재(300)와 나사 결합을 위한 결합나사부(412a)를 갖는 원기둥체의 결합편(412)과, 상기 결합편(412)내측에는 유입용판(411)으로부터 정수용홀(411d)을 각각 수용가능하게 돌출되고 내부는 결합편(412)의 내주면과 막음편(413a)에 의해 막음 연결되되, 내측면 하단부는 상기 정수용홀(411d)과 연통되도록 유인홀(413b)이 관통 형성된 정수용돌편(413)과, 상기 정수용돌편(413) 일측에는 유입용판(411)으로부터 원수용홀(411e)을 각각 수용가능하게 일단이 개구되어 돌출 형성된 원수용돌편(414)을 갖는 결합부재(410)와,
    상기 결합부재(410)의 유입용판(411)을 정,원수실링부재(421,422)를 끼움시켜 일측으로 수용시킬 수 있도록 중간부는 격판(423)에 의해 이분할된 회전부재용파지편(424)으로 형성되되, 상기 격판(423)의 중앙부에는 삽입걸림편(42a)을 관통시켜 이의 삽입걸림편(42a)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공(423a)이 형성되고, 이 연결공(423a) 주변으로 양면에는 정,원수위치결정용홈(411b,411c)에 삽입가능하도록 원주방향 일정간격 복수개의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가 돌설됨과 아울러, 상기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410)의 결합에 따른 정,원수용홀(411d,411e)과 연통가능하도록 연통홀(423d)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423d)과 일치되는 회전부재용 파지편(424)의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부재(500)와의 결합에 따른 토출수 선택용돌기(500b)를 기준으로 정,원수의 토출을 인식하기 위한 돌기(424a)가 돌출 형성된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와,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타측에 정,원수용 누수방지부재(431,432)를 끼움시켜 일단이 수용가능하도록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삽입걸림편(42a)을 관통시킴에 따른 체결편(42b)과 결합가능하도록 결합공(433a)이 천공되고, 일면에는 상기 결합공(433a) 주변으로 상기 위치결정용 정,원수돌기(423b,423c)를 삽입시키기 위한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이 요설됨과 아울러, 상기 정,원수돌기 수용홈(433b,433c)의 일측에는 상기 유로절환용 회전부재(420)의 회전에 대응되게 연통홀(423d)을 통하여 유출되는 정,원수를 상기 헤드부(500)측으로 토출시키도록 정,원수용 유출홀(433d,433e)이 교번되게 관통 형성된 원판형의 유출용판(433)과, 상기 유출용판(433)의 타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부재(500)의 유입측과 나사 결합을 위한 고정나사부(434a)를 갖는 원기둥체의 고정편(43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4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 절환수단(600)은,
    그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 중앙부에 삽입공(611a)이 관통 형성되며, 이 삽입공(611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원주방향 복수개의 배출공(611b)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선단부로부터 내측 바닥면측으로 원주방향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진 절환용가이드홈(611c)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된 삽입부(611)와, 상기삽입부(611)의 저면 선단부에는 상기 헤드부(300)의 토출측에 고정 구비되도록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612)를 갖는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와,
    상기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삽입부(611)로 누수 방지가능하도록 조절부재용 패킹부재(621)를 끼움시켜 절환용가이드홈(611c)을 따라 걸림 회전가능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용돌기(622a)가 복수개 갖추어진 삽입기둥부(622)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기둥부(622)의 바닥면과 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위치의 저면에는 중앙부에 포말수용홀(623a)이 관통된 포말수용 기둥부(623)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 돌출된 상기 포말수용 기둥부(623) 외측으로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외주면에 결합나사부(624a)를 갖는 결합편(6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기둥부(622)와 포말수용 기둥부(623) 사이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 일정간격 샤워수용홀(625a)이 관통 형성된 판상의 토출수조절판(625)을 갖는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와,
    상기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포말수용 기둥부(623)에 형성된 포말수용홀(623a)을 일단이 관통하여 상기 토출수 절환용 고정부재(610)의 삽입공(611a)에 누수 방지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630a)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회전에 따른 포말수용홀(623a)을 개폐하기 위한 접촉편(630b)이 외향 연장 형성된 포말수 개폐용부재(630)와,
    상기 토출수 조절용부재(620)의 결합편(624)를 내측으로 결합부재용 패킹부재(641)를 끼움시켜 수용가능하도록 선단부는 상향 절곡되고 내주면에는 결합나사부(624a)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고정나사부(642a)를 갖는 수용편(642)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포말수용 기둥부(622)와 접촉가능하도록 결합기둥편(643)이 형성되되, 이 결합기둥편(643)의 바닥면은 토출공(643a)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기둥편(643)와 수용편(642) 사이의 바닥면에는 토출용 샤워수홀(640a)이 원주방향 복수개 형성된 토출수 결합부재(640)와,
    상기 토출수 결합부재(640)의 결합기둥편(643) 내측으로 수용 구비되어 포말수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포말수용망(651)과, 이의 포말수용망(651)을 고정하기 위한 포말수용망 고정편(652)을 갖는 포말수용부재(6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 절환수단(700)은
    저면은 개구되고, 상면은 막음된 원기둥체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곳에 관통공(711a)이 천공된 돌기편(711)이 더 돌출 형성되고, 이 돌기편(711)의 저면에는 관통공(711a) 일측으로 결합홈(711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711b) 외측으로는 서로 마주보는 곳에 걸림돌조(712)가 원주방향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조(712)의 외측으로는 결합용기둥부(713)가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용기둥부(713)의 외주면에는 선단부와 일부가 연통되어 원주방향 삽입용장홈(713a)이 형성된 삽입부(714)와, 상기 삽입부(714)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고정을 위해 외향 연장형성된 플랜지부(715)를 갖는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와,
    상기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의 돌기편(711) 저면 형성된 결합홈(711b)에 삽입가능하게 삽입편(720a)이 돌출 형성되고, 이의 삽입편(720a) 일측에는 관통공(711a)과 연통되도록 유출공(720b)이 형성된 누수방지부재(720)와,
    상기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의 삽입부(714)로 삽입가능하도록 원기둥체로 형성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곳에 축방향 관통된 포말수용홀(731a)이 형성되고, 이 포말수용홀(731a)의 일측에는 샤워수용홈(731b)이 요설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샤워수용홈(731b)과 연통된 샤워수용연통공(731c)이 형성되고, 상기 포말수용홀(731a)과 일치되는 외주면 상부에는 좌,우회동에 따른 상기 걸림돌조(712)에 걸림되도록 걸림돌기(731d)가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 하단부에는 결합용나사부(731e)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용나사부(731e)의 상부 외주면에는 일전간격 복수개의 결착용돌기(731f)가 돌출 형성된 토출수기둥부(731)와, 상기 토출수기둥부(731)의 결착용돌기(731f)와 샤워수용연통공(731c) 사이의 외주면에는 상기 토출수기둥부(731)를 안착 걸림시키기 위해 외향 연장 형성된 안착용플랜지부(732)를 갖는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와,
    상기 토출수용 고정부재(710)의 결합용기둥부(713)를 내측으로 패킹부재(741)를 끼움 고정시켜 수용가능하도록 선단부는 상향 절곡되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용기둥부(713)에 형성된 삽입용장홈(713a)에 삽입 걸림가능하도록 삽입돌기(742a)가 돌출 형성된 삽입편(742)이 형성됨과 아울러,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를 중앙부로 누수방지용링부재(743)를 끼움시켜 관통 돌출되게 안착시키도록 관통공(740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740a)과 삽입편(742) 사이의 바닥면에는 샤워수용토출공(740b)이 형성된 샤워수용결합부재(740)와,
    상기 샤워수용결합부재(740)를 내측으로 수용시키도록 선단부는 상향 절곡된 수용편(751)이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부는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의 토출수기둥부(731)를 삽입 관통 돌출시키도록 관통용홀(750a)이 형성되되, 이의 관통용홀(750a)의 내주면에는 상기 토출수기둥부(7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착용돌기(731f)를 삽입시켜 회동됨에 따른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삽입홈(750b)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용홀(750a)과 수용편(751) 사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샤워수용결합부재(740)의 샤워수용토출공(740b)을 통하여 토출되는 샤워수를 토출시키기 위한 장공(750c)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수용편(751)의 외주면에는 파지용돌기(752)가 돌출 형성된 토출수 선택용 조절부재(750)와,
    상기 토출수 선택용 조절부재(750)의 관통용홀(750a)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토출수 조절용 회동부재(730)의 토출수기둥부(731)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용나사부(731e)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내주면에는 고정용나사부(761a)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관통된 포말수 고정편(761)과, 이의 포말수 고정편(761) 내부에 구비되어 포말수를 제공하기 위한 포말수용망(762)을 갖는 포말수용고정부재(7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KR20-2003-0002884U 2003-01-29 2003-01-29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KR200311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84U KR200311277Y1 (ko) 2003-01-29 2003-01-29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PCT/KR2004/000148 WO2004067859A1 (en) 2003-01-29 2004-01-28 Multi-functional head apparatus used for aqueduct having purify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884U KR200311277Y1 (ko) 2003-01-29 2003-01-29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496A Division KR100605157B1 (ko) 2004-04-06 2004-04-06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277Y1 true KR200311277Y1 (ko) 2003-04-23

Family

ID=4940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884U KR200311277Y1 (ko) 2003-01-29 2003-01-29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2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402A (ko) * 2017-09-21 2019-03-29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WO2019112226A1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비타코퍼레이션 샤워 카트리지
KR102418942B1 (ko) * 2021-01-27 2022-07-08 백승훈 필터 일체형 수전금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402A (ko) * 2017-09-21 2019-03-29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KR101995638B1 (ko) * 2017-09-21 2019-07-02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WO2019112226A1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비타코퍼레이션 샤워 카트리지
KR20190066262A (ko) * 2017-12-05 2019-06-13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KR101993535B1 (ko) * 2017-12-05 2019-06-26 이대성 샤워 카트리지
KR102418942B1 (ko) * 2021-01-27 2022-07-08 백승훈 필터 일체형 수전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470B2 (en) Mode control valve in showerhead connector
US20130186479A1 (en) Fluid Delivery Assembly (2-In and 1-Out, Plus Quick-Connect Diverter Housing Assembly)
CA2244553A1 (en) Faucet spout assembly
US11247154B2 (en) Truncated filter capsule
KR20140024249A (ko) 수도꼭지 장착형 눈세척 장치
TWM479792U (zh) 濾水龍頭
KR200311277Y1 (ko)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KR100605157B1 (ko)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수도전용 헤드장치
US10518201B2 (en) Multi-mode filtered showerhead having multiple nozzle assemblies
US10895065B2 (en) Single cavity diverter valve
KR20170050576A (ko) 유로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CN210106676U (zh) 一种龙头
KR200311256Y1 (ko) 정수가능한 수도전용 다기능 헤드장치
KR100605158B1 (ko) 수도전용 다기능 헤드장치
KR20040068037A (ko) 정수가능한 수도전용 다기능 헤드장치
KR200311401Y1 (ko) 수도전용 다기능 헤드장치
KR100589656B1 (ko) 정수장치
CN201959872U (zh) 可切换花洒和龙头功能的水龙头连接件
KR200308580Y1 (ko) 정수가능한 수도전용 헤드장치
TWM629174U (zh) 淨水用的濾心組
KR100605156B1 (ko) 정수가능한 수도전용 헤드장치
KR100710423B1 (ko)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JP6810446B2 (ja) 水栓器具
JP2757151B2 (ja) 蛇口浄水器
JP2006275248A (ja) 給水栓の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4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