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17Y1 -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 Google Patents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17Y1
KR200359117Y1 KR20-2004-0015279U KR20040015279U KR200359117Y1 KR 200359117 Y1 KR200359117 Y1 KR 200359117Y1 KR 20040015279 U KR20040015279 U KR 20040015279U KR 200359117 Y1 KR200359117 Y1 KR 200359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upled
main body
water supply
cartrid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혁
Original Assignee
장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혁 filed Critical 장우혁
Priority to KR20-2004-0015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27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 외형이 구형태의 급수전으로 형성되되, 유출구가 두 개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개폐수단이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는 카트리지 밸브를 이용한 레버식으로 구성되어 급수전의 개폐 및 전환이 신속 정확하고, 기존에 설치된 급수 파이프에 별도의 부품의 연결 없이 교체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에 편의성이 향상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본체(100)와 카트리지 밸브(200) 및 레버(300)로 구성되는 바, 외형이 구형태의 급수전으로, 후측에 형성된 유입구(110)가 단일관에 결합되고, 전측에 형성된 유출구(120a, 120b)는 두 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로는 카트리지 밸브(200)가 설치되도록 원통형태의 수장부(130)가 구비되며, 상측으로는 레버(300)가 결합되는 본체(100)와, 하우징(210)의 내부로 소켓(211)과 캠플레이트(220), 베이스(230), 밀폐링(260, 270) 및 급출부재(2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하우징(210)의 상단 내부로 스핀들 레버(250)가 결합된 카트리지 밸브(200)와, 피스(330)를 통해 스핀들 레버(250)에 결합되는 설편형태의 레버(300)로 구성되어, 레버(300)를 좌 ·우로 회전함에 따라 유출구(120a, 120b)의 방향이 결정되고, 레버(300)를 상 ·하로 개폐함에 따라 급수 또는 단수가 이루어지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구형태의 본체 전측으로는 유출구가 두 개로 형성되고, 본체의 후측으로는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밸브와 그 상단에 결합된 레버에 의해 급수전의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밸브는 그 상단에 결합된 레버가 상 ·하로 작동되면 급수 또는 단수가 되며, 레버가 좌 ·우로 작동되면 두 개의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되어 그 작동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동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 The hydrant have two outlet }
본 고안은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형이 구형태의 급수전으로 형성되되, 유입구는 하나이고 유출구는 두 개인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형성된 개폐수단이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는 카트리지 밸브를 이용한 레버식으로 구성되어 급수전의 개폐 및 전환이 신속 정확하고, 기존에 설치된 급수 파이프에 별도의 부품의 연결 없이 교체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에 편의성이 향상된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전은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의 끝단에 개별적으로 체결되어 그 상단에 형성된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급수 혹은 단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이러한 급수전에 구비된 개폐수단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가 나사식 형태로, 이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하나씩만 형성되어 있고, 급수전의 상단에 형성된 360° 회전하는 핸들을 다수번 회전시킴에 따라 급수전이 개방 혹은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바, 이는 개폐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신속한 폐쇄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물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유출구가 하나로 구성되어 급수되는 형태가 직수 또는 샤워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밖에 사용할 수 없어서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유출구의 끝단에 직수와 샤워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켓을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직수 또는 샤워의 전환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샤워가 급수관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여서 크게 편리함을 얻지 못하였다.
한편, 급수전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수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급수전의 상단에 90° 회전하는 수평 레버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급수전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급수전이 설치되었으나, 이는 사용 시 잦은 누수로 인해 그 수명이 짧고 자주 교체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형태의 본체 전측으로는 유출구가 두 개로 형성되고, 본체의 후측으로는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밸브와 그 상단에 결합된 레버에 의해 급수전의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밸브는 그 상단에 결합된 레버가 상 ·하로 작동되면 급수 또는 단수가 되며, 레버가 좌 ·우로 작동되면 두 개의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되어 그 작동이 신속 ·정확하게 작동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급수전이 설치된 단일 급수 파이프에 급수전을 교체 ·설치할 시 별도의 부품을 연결하거나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고, 기존 급수전을 분리해 낸 다음 곧바로 설치하여 교체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키도록 하고, 사용에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카트리지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평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유입구 120a, 120b : 유출구
130 : 수장부 200 : 카트리지 밸브 210 : 하우징
211 : 소켓 212 : 핀홀 213 : 결착홈
220 : 캠플레이트 221 : 사각홈 222 : 홈부
230 : 베이스 231, 111, 241 : 유입공
232a, 232b, 121a, 121b, 242a, 242b : 유출공
240 : 급출부재 243 : 걸림돌기 250 : 스핀들 레버
251 : 사각기둥 252 : 작동구 253 : 관통공
254 : 결합공 260, 270 : 밀폐링 280 : 고정핀
300 : 레버 310 : 결합링 320 : 피스공
330 : 피스 340 : 캡
본 고안은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 외형이 구형태의 급수전으로 형성되되, 유출구가 두 개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개폐수단이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는 카트리지 밸브를 이용한 레버식으로 구성되어 급수전의 개폐 및 전환이 신속 정확하고, 기존에 설치된 급수 파이프에 별도의 부품의 연결 없이 교체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에 편의성이 향상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본체(100)와 카트리지 밸브(200) 및 레버(300)로 구성되는 바, 외형이 구형태의 급수전으로, 후측에 형성된 유입구(110)가 단일관에 결합되고, 전측에 형성된 유출구(120a, 120b)는 두 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로는 카트리지 밸브(200)가 설치되도록 원통형태의 수장부(130)가 구비되며, 상측으로는 레버(300)가 결합되는 본체(100)와, 하우징(210)의 내부로 소켓(211)과 캠플레이트(220), 베이스(230), 밀폐링(260, 270) 및 급출부재(2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하우징(210)의 상단 내부로 스핀들 레버(250)가 결합된 카트리지 밸브(200)와, 피스(330)를 통해 스핀들 레버(250)에 결합되는 설편형태의 레버(300)로 구성되어, 레버(300)를 좌 ·우로 회전함에 따라 유출구(120a, 120b)의 방향이 결정되고, 레버(300)를 상 ·하로 개폐함에 따라 급수 또는 단수가 이루어지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본체(100)는 구형태의 급수전의 형태로 구성되되, 후측으로 하나의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전측으로는 두개의 유출구(120a, 120b)가 형성된 구성으로, 중앙에는 원통형태의 수장부(13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카트리지 밸브(200)가 수장되도록 하며, 수장부(130)의 바닥부에는 유입공(111)과 유출공(121a, 121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유입구(110)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출구(120a, 120b) 방향으로 급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구(120a,120b)의 선단 외주면에는 호오스(도시하지 않음)를 선택적으로 연결,사용하도록 호오스일단에 장착된 콘넥터(140)연결용 나사부(122)이 가공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카트리지 밸브(2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을살펴보면, 우선 하우징(210)은 단차진 원통의 형태로 저부 양측면으로는 결착홈(213)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급출부재(240)의 양단에 구비된 걸림돌기(243)와 결합되어 카트리지 밸브(200)가 전체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우징(210)의 내부단차부 일측으로는 스톱퍼(214)가 형성되어 소켓(211)이 일정각도 만큼만 회전하도록 하며, 하우징(2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소켓(211)은 후술하는 스핀들 레버(250)가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소켓(211)의 상부 측면으로는 고정핀(28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핀홀(212)이 천공된 구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캠플레이트(220)는 원판의 형태로, 그 상단 중앙에는 사각홈(22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핀들 레버(250)의 작동구(252)가 삽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캠플레이트(220)의 저면에는 일측으로 편심위치한 홈부(22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베이스(230)의 상면을 따라 좌 ·우로 회전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유출공(232a, 232b)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베이스(230)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선택된 유출공(232a, 232b)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로 삽입되는 스핀들 레버(250)는 사각기둥(251)의 하단으로 작동구(252)가 연결된 형태로, 사각기둥(251)의 전면으로는 결합공(254)이 형성되어 레버(300)와 조립 시 피스(3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각기둥(251)과 작동구(252)의 사이에는 관통공(253)이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소켓(211)과 결합 시 고정핀(28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캠플레이트(220)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베이스(230)는 원판의 형태로 제작되되, 베이스(23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도록 한 개의 유입공(231)이 형성되고, 그 전측으로는 두 개의 길쭉한 타원형태의 유출공(232a, 232b)이 형성된 구성으로, 베이스(230)의 상면을 따라 캠플레이트(220)가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개폐될 유출공(232a, 232b)이 결정되고, 베이스(230)의 상면을 따라 캠플레이트(220)가 전후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선택된 유출공(232a, 232b)으로 물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30)의 하단으로는 상기 유입공(231)과 유출공(232a, 232b)이 형성된 형태를 따라 세 구역으로 구획된 고무링 형태의 밀폐링(260)을 설치하여 급 ·배수 시 하우징(210)의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급출부재(240)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에 삽착될 수 있도록 단차진 원판형태로 구성되되, 양측으로 걸림돌기(243)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결착홈(213)에 결착되도록 하고, 급출부재(24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도록 한 개의 유입공(241)이 형성되고, 그 전측으로는 두 개의 길쭉한 타원형태의 유출공(242a, 242b)이 형성된 구성으로, 본체(100)의 유입구(110) 측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베이스(230)의 유입공(231)으로 급수되도록 구성되며, 유출공(242a, 242b) 또한베이스(230)의 유출공(232a, 232b)과 연통되어 본체(100)의 유출구(120a, 120b)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급출부재(240)의 하단으로 밀폐링(270)을 설치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한편, 레버(3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 ·하 ·좌 ·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레버(300)를 결합하기 전 카트리지 밸브(200)가 수장된 본체(100)의 상면으로는 결합링(310)이 삽착되고, 레버(300)의 전면에는 피스공(320)이 천공되어 있어서 피스(330)를 통해 스핀들 레버(250)의 결합공(254)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피스공(320)의 입구에는 캡(321)을 결합하여 피스(330)의 부식을 방지하고 외관 상 피스(330)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우선 카트리지 밸브(200)를 조립하는 바, 하우징(210)의 저부로 소켓(211)을 삽착한 다음, 캠플레이트(220)와 베이스(230) 및 밀폐링(260)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급출부재(240)를 끼워서 급출부재(240)의 걸림돌기(243)가 하우징(210)의 결착홈(213)에 결합되도록 한 다음, 하우징(210)의 상부에 스핀들 레버(250)를 삽입하고 고정핀(280)을 통해 결합한다.
그 후 본체(100)의 수장부(130) 내부로 밀폐링(270)을 삽입한 다음, 상기 결합된 카트리지 밸브(200)가 수장되도록 하며, 본체(100)의 상단으로 결합링(310)을 끼운 후 레버(300)를 결합하되, 피스공(320)으로 피스(330)를 삽입하여 스핀들 레버(250)의 결합공(254)과 결합한 후 피스공(320)에 캡(321)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조립된 본 고안의 설치 및 작동 과정을 도 5a와 도 5b, 도 6a와 도 6b를 통해 살펴보면, 단일 급수관의 끝단에 본체(100)의 유입구(110)를 결합한 후, 레버(300)를 좌측 혹은 우측으로 돌리게 되면 스핀들 레버(250)의 하단에 결합된 캠플레이트(220)가 유출구(120a)의 방향을 결정하게 되며, 그 후 레버(3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그와 연결된 스핀들 레버(250)의 사각기둥(251)은 후퇴하게 되고, 그와 결합된 작동구(252)는 고정핀(280)을 중심으로 전진하게 되며, 작동구(252)가 삽착된 캠플레이트(220) 또한 전진하게 되는 작동 과정을 갖게 된다.
이러한 작동 과정으로 인해 캠플레이트(220)의 저부에 형성된 홈부(222)가 베이스(230)에 유입공(231)과 유출공(232a)을 연통되도록 하여, 본체(100)의 유입구(110)로부터 공급된 물이 급출부재(240)의 유입공(241)과 베이스(230)의 유입공(231)을 거친 후, 베이스(230)의 유출공(232a)과 급출부재(240)의 유출공(242a)을 통해 본체(100)의 유출구(120a)로 공급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레버(300)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와 반대로 스핀들 레버(250)의 사각기둥(251)은 전진하게 되고, 작동구(252)와 캠플레이트(220)는 후진하게 되어, 홈부(222)의 일측이 베이스(230)의 유출공(232)을 막게되어 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유출구(120a,120b)의 선단 외주면에는 호오스(도시하지 않음)를선택적으로 연결,사용하도록 호오스일단에 장착된 콘넥터(140)연결용 나사부(122)이 가공되어 있어, 특히 본고안을 옥외의 정원이나 화단,마당등에 설치,사용 시에 일단의 유출구(120a)에는 관수용 호오스에 연결하여 편리하게 관수 할 수 있게 하며, 타측 유출구(120b)에는 여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급수방향의 선택과 수도전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구형태의 본체 전측으로는 유출구가 두 개로 형성되고, 본체의 후측으로는 하나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밸브와 그 상단에 결합된 레버에 의해 급수전의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밸브는 그 상단에 결합된 레버가 상 ·하로 작동되면 급수 또는 단수가 되며, 레버가 좌 ·우로 작동되면 두 개의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되어 그 작동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동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급수전이 설치된 단일 급수 파이프에 급수전을 교체 ·설치할 시 별도의 부품을 연결하거나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고, 기존 급수전을 분리해 낸 다음 곧바로 설치하여 교체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키도록 하고, 사용에 편의성을 향상시킨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급수전에 있어서,
    외형은 구형태의 급수전으로 제작되되, 후측으로는 하나의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전측으로는 두 개의 유출구(120a, 120b)가 형성되며, 내부로는 원통형태의 수장부(130)가 형성된 본체(100)와,
    하우징(210)의 내부로 소켓(211)과 캠플레이트(220), 베이스(230), 밀폐링(260) 및 급출부재(2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하우징(210)의 상단 내부로 스핀들 레버(250)가 결합된 카트리지 밸브(200)와,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는 설편형태의 레버(300)로 구성되어,
    본체(100)의 내부로 카트리지 밸브(200)가 수장되고, 본체(100)의 상단으로 레버(300)가 피스(330)에 의해 스핀들 레버(250)와 결합되어 레버(300)를 좌 ·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유출구(120a, 120b)를 결정하고, 레버(300)를 상 ·하로 개폐함에 따라 그와 결합된 스핀들 레버(250)가 캠플레이트(220)를 작동시켜 급수 및 단수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KR20-2004-0015279U 2004-06-01 2004-06-01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KR200359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279U KR200359117Y1 (ko) 2004-06-01 2004-06-01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279U KR200359117Y1 (ko) 2004-06-01 2004-06-01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17Y1 true KR200359117Y1 (ko) 2004-08-16

Family

ID=4943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279U KR200359117Y1 (ko) 2004-06-01 2004-06-01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69B1 (ko) 2004-07-30 2006-08-08 안병호 카트리지 밸브와 이를 이용한 수도꼭지
KR101237396B1 (ko) * 2009-06-12 2013-02-27 박상태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69B1 (ko) 2004-07-30 2006-08-08 안병호 카트리지 밸브와 이를 이용한 수도꼭지
KR101237396B1 (ko) * 2009-06-12 2013-02-27 박상태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635B1 (en) Mixing valve device switchable to different outlet
US20180304279A1 (en) Diverter valve assembly
KR200359117Y1 (ko)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US10895065B2 (en) Single cavity diverter valve
JP2006519946A (ja) 混合水栓
US7090195B1 (en) Faucet assembly
CN201959872U (zh) 可切换花洒和龙头功能的水龙头连接件
KR200359690Y1 (ko) 상 ·하 개폐식 급수전
US7121303B1 (en) Mixed water faucet
US20120000558A1 (en) Mixing valve device switchable to different outlet
US6966503B1 (en) Sprinkler provided with a built-in mechanism for dispensing detergent
KR100760355B1 (ko) 수도꼭지
JP2007170510A (ja) 三方切換え弁
JP2006275248A (ja) 給水栓の弁装置
KR200234597Y1 (ko) 샤워기 헤드
KR200187231Y1 (ko) 주방용 샤워헤드
CN217927224U (zh) 一种出水装置
KR200283508Y1 (ko) 싱글레버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JP3594913B2 (ja) 横向き分岐口をもつシングルレバ−式湯水混合栓
KR101331563B1 (ko) 정수기용 급수코크의 회동구조
KR200231063Y1 (ko) 실린더형 디스크 밸브
CN211288860U (zh) 一种三通角阀
KR100490023B1 (ko) 절수 샤워헤드
KR200284898Y1 (ko) 수도꼭지
KR20100013055U (ko) 토수구 회전시 수량 조절되는 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