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065Y1 -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065Y1
KR200207065Y1 KR2020000018255U KR20000018255U KR200207065Y1 KR 200207065 Y1 KR200207065 Y1 KR 200207065Y1 KR 2020000018255 U KR2020000018255 U KR 2020000018255U KR 20000018255 U KR20000018255 U KR 20000018255U KR 200207065 Y1 KR200207065 Y1 KR 200207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wage
debris
drain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청현
Original Assignee
천일공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일공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일공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식품 가공 업체나 도축장, 농수산물 가공공장, 목욕탕, 주방 등에는 배수 트랩이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 트랩이 개시된다.
종래에 오수 및 찌꺼기를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수명이 짧으며, 운반 기계의 이동시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측에는 배수관(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오수 및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도관(23)을 가진 배수 트랩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삽입되며 찌꺼기가 저장되는 복수 개의 통과공(31)이 형성된 오물저장부(32)를 가진 여과부재(30)와, 상기 본체(20)의 상측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유입구(41)를 가진 덮개판(40)을 포함하는 배수 트랩이 제공된다.
따라서, 오수 및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악취의 역류가 확실하게 방지되며, 스테인레스 스티일로 제작되어 오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고, 지게차 등의 운송 기계의 이동에 따른 파손이나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찌꺼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된다.

Description

배수 트랩{Drain trap}
본 고안은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고 찌꺼기의 수거가 편리하며 위생적인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가공 업체나 도축장, 농수산물 가공공장, 목욕탕, 주방 등에는 배수 트랩이 설치되어 오수는 배출시키고 찌꺼기 등은 저장시켜 제거하게 된다.
종래의 배수 트랩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랩 본체(10)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여과 구멍(12)을 형성시킨 여과판(13)이 안착되며, 상기 여과판(13)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구(11)의 상측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 차폐판(14)이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과 구멍(12)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일정 높이로 형성된 배수구(11)를 통하여 배출이 되며, 이때 상기 배수구(11)의 외측에는 일정 높이의 오수가 항상 저류 됨으로써 차폐판(14)과 함께 배수구(11)를 통하여 역류되는 악취가 상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오수와 함께 형성된 오물은 여과 구멍(12)에 의해 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여과판(13)의 상측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수 트랩은 적은 량의 오수 및 찌꺼기가 배출되는 장소에서는 오수의 배출이나 악취의 역류는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으나, 식품 가공 업체나 도축장, 농수산물 가공공장, 목욕탕, 식당 주방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찌꺼기 등이 여과판의 상측에 쌓이게 됨으로써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시로 찌꺼기를 제거해야 하며, 찌꺼기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합성수지로 제조됨에 따라 지게차 등의 운반 기계 등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쉽게 파손되고 소음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고 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 기계 등의 이동시 파손이나 소음 등의 발생이 방지되고, 수명이 반영구적인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배수 트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랩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랩의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배수 트랩 본체 22: 배수관
23: 유도관 30: 여과부재
31: 통과공 32: 오물 저장부
33: 손잡이 34: 차폐관
40: 덮개판 41: 유입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은, 하측에는 배수관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오수 및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도관을 가진 배수 트랩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찌꺼기가 저장되는 복수 개의 통과공이 형성된 오물 저장부를 가진 여과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유입구를 가진 덮개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오수 및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악취의 역류가 확실하게 방지되며, 스테인레스 스티일로 제작되어 오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고, 지게차 등의 운송 기계의 이동에 따른 파손이나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찌꺼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랩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랩의 분해 사시도로서, 부호 (20)은 배수 트랩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체(20)는 상측에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배수관(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22)은 일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데, 상측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일측에는 오수를 유도하는 유도관(23)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관(23)은 본체(20)에서 멀어질수록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오수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23)의 양측에는 설치시 고정이 용이하도록 고정 브라켓(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는 적어도 어느 대향하는 면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양 측면에는 복수 개의 리브(2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25)는 설치시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본체(20)가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20)의 내측에는 여과부재(30)가 삽입된다.
상기 여과부재(30)는 바닥판 상에 오수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통과공(31)을 형성시킨 오물 저장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물 저장부(32)의 상측에는 취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오물 저장부(32)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관(22)의 상측을 덮는 형태로 위치되는 차폐관(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차폐관(34)은 배수관(22)의 외측에 저류된 오수와 함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20)의 상측 즉, 걸림턱(21) 상에는 덮개판(40)이 안착되는데, 상기 덮개판(40)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구(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종,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 바(4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40)은 유입구(41)를 통하여 오수가 유입됨과 아울러 덮개판(40)의 가장자리를 통해서도 오수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 여과부재(30) 및 덮개판(4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금속재 중에서 스테인레스 스티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랩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가공 업체나 도축장, 농수산물 가공공장, 목욕탕, 식당 주방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데, 본체(20)를 바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유도관(23)이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 시공을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콘크리트 시공 후에는 상기 본체(20)는 고정 브라켓(24)과 리브(25)에 의해 정위치에서 고정되며, 외부에서 지게차 등의 이동시에도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본체(20)가 설치된 후에는 본체(20) 내에 여과부재(30)를 삽입하고, 그 상측에 덮개판(40)을 안착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트랩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작업 중이나 작업 후에 발생된 오수나 찌꺼기 등은 경사지게 설치된 유도관(23)을 통하여 본체(2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덮개판(40)의 유입구(41)를 통해서는 작은 찌꺼기나 오수가 유입된다.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 및 찌꺼기 중에서 찌꺼기는 여과부재(30)의 오물 저장부(32) 내에 저장되고, 오수는 오물 저장부(3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과공(31)을 통하여 배출된 후 본체(20)의 하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20)의 바닥 하측으로 유입된 오수는 일정 량 이상, 즉 배수관(22)의 높이보다 높은 량이 유입되면 그 량만큼의 오수가 배수공(22a)을 통하여 배수관(22)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22)의 외측에 저류된 오수는 여과부재(30)의 저면에 형성된 차폐관(34)과 함께 본체(20)와 배수관(22)을 차폐시킴으로써 악취가 본체(2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재(30)의 오물 저장부(32) 내에 일정량의 찌꺼기가 저장되면 덮개판(4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3)를 잡고 취출하면 여과부재(30)를 본체(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케 되고, 오물 저장부(32) 내의 찌꺼기를 버린 후 다시 손잡이(33)를 잡고 본체(20) 내에 여과부재(30)를 삽입하면 결합이 완료됨으로써 찌꺼기의 처리 등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0), 여과부재(30) 및 덮개판(40)이 스테인레스 스티일로 제조됨에 따라 오수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되며, 지게차 등의 이동에 의해 배수 트랩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의 크기나 여과부재(30)에 형성된 통과공(31) 및 배수관(22)에 형성된 배수공(22a)의 크기를 조절하면 배수량의 조절이 가능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오수 및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악취의 역류가 확실하게 방지되며, 스테인레스 스티일로 제작되어 오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고, 지게차 등의 운송 기계의 이동에 따른 파손이나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찌꺼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측에는 배수관(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오수 및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도관(23)을 가진 배수 트랩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삽입되며 찌꺼기가 저장되는 복수 개의 통과공(31)이 형성된 오물저장부(32)를 가진 여과부재(30)와, 상기 본체(20)의 상측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유입구(41)를 가진 덮개판(40)을 포함하는 배수 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30)는 저면에 상기 배수관(22)의 상측에 위치되는 차폐관(34)이 형성되고, 상기 오물 저장부(32)에는 손잡이(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KR2020000018255U 2000-06-27 2000-06-27 배수 트랩 KR200207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255U KR200207065Y1 (ko) 2000-06-27 2000-06-27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255U KR200207065Y1 (ko) 2000-06-27 2000-06-27 배수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065Y1 true KR200207065Y1 (ko) 2000-12-15

Family

ID=1966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255U KR200207065Y1 (ko) 2000-06-27 2000-06-27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0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39B1 (ko) 2007-11-19 2009-02-06 이우진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39B1 (ko) 2007-11-19 2009-02-06 이우진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818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KR200207065Y1 (ko) 배수 트랩
US6303032B1 (en) Portable multi-strainer
JP3934588B2 (ja) 排水トラップ構造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100698850B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맨홀
KR100332276B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100730591B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JP2005307473A (ja) 排水ユニット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090132690A (ko) 하수처리의 위생구조물
KR200349667Y1 (ko) 배수장치
KR0123830Y1 (ko) 싱크대의 거름장치
JP2571514Y2 (ja) 池水槽浄化装置
JP2000084304A (ja) 油除去装置
KR101151632B1 (ko)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KR101833929B1 (ko)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KR20019121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204121Y1 (ko) 선박용 맨홀
KR20230069702A (ko) 청소가 쉬운 하수구
JP3018977U (ja) グリーストラップ
KR100310813B1 (ko) 싱크대용 방취 트랩의 막힘 제거 장치
JPS5833770Y2 (ja) 雑排水処理装置
KR200288227Y1 (ko)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