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227Y1 -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227Y1
KR200288227Y1 KR2020020016110U KR20020016110U KR200288227Y1 KR 200288227 Y1 KR200288227 Y1 KR 200288227Y1 KR 2020020016110 U KR2020020016110 U KR 2020020016110U KR 20020016110 U KR20020016110 U KR 20020016110U KR 200288227 Y1 KR200288227 Y1 KR 200288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device
strainer
support frame
lower po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2020020016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227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에 모래나 각종 오물들이 쌓여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오물들이 하수관로를 통하여 하천으로 유입되었을 경우 발생되는 하천오염을 막을 수 있는 쓰레기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집장치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가 상부에 형성된 지지틀(2)과, 상기 지지틀(2)의 하부에 부착되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는 걸름망(4)과, 상기 걸름망(4)의 하부에 형성되고, 모래를 걸러줄 수 있는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는 다공판(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쓰레기 수집장치에 의하면, 걸름망 하부에 다공판을 형성하여 걸름망에서 거르지 못하는 가는 모래를 거를 수 있고, 상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지지벽의 걸림턱에 플랜지를 걸치는 것만으로 쓰레기 수집장치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A trash collector for a drainage hole}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구에서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쓰레기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큰 쓰레기뿐만 아니라 미세한 모래도 걸러줄 수 있는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에는 배수를 위한 시설로서 도로의 가장자리에 배수로를 일정간격이나 배수가 필요한 적절한 위치의 지하에 매몰, 설치하여 빗물이나 각종 오수 등을 집수하여 별도의 처리장소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수로는 지면에 단면이 반원형 또는 사다리형, 직사각형의 배수 블럭을 연접, 매립하여 배수구를 형성하고 배수구 상면에 통공이 형성된 덮개가 복개되어 있다. 따라서, 도로에 있는 빗물이나 각종 오수가 덮개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배수구로 낙하하여 배수로를 통해 별도의 처리장소로 이송되어 오수가 처리된다.
그런데, 오수가 덮개의 통공을 빠져나갈 때 오수뿐만 아니라 오수에 포함된 오물까지도 통공을 통과하여 배수로가 막히게 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쓰레기 수집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수집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101), 지지틀(102), 손잡이(103), 걸름망(10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지지틀(102)은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하부에는 걸름망(104)이 일체로 부착되어 오물을 거를 수 있고, 상부의 모서리부분에는 걸이(101)가 형성되어 덮개(120)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이(101)부분에는 손잡이(10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 수집장치(110)에 의하면 배수구(140)의 상부 노면에 복개되어 있는 덮개(120)를 들어올려서 덮개(120)에 걸이(101)를 걸어 덮개(120) 하부에 쓰레기 수집장치(110)를 장착한 다음, 덮개(120)를 배수구(140)의 상부 노면에 복개한다.
이렇게 쓰레기 수집장치(110)가 덮개(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빗물이나 각종 오수가 덮개(1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하여 배수구(140)로 흘러들어오면 오수에 포함된 오물은 덮개(120) 하부에 장착된 쓰레기 수집장치(110)의 걸름망(104)에 걸러지게 되고 오수만 걸름망(104)을 빠져나가 배수구(14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수집장치(110)는 큰 오물은 걸러줄 수 있으나 가는 모래와 같은 것은 그대로 빠져나가 배수로에 쌓여서 막히게 되므로 쌓인 쓰레기를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해야 하는데, 배수로가 지하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지지벽(130)과 걸름망(104) 측부와의 간격이 거의 없어서 걸름망(104) 하부로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으나 측부로는 물이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걸름망(104) 하부에 큰 쓰레기가 쌓이게 되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수집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큰 쓰레기뿐만 아니라 가는 모래도 걸러주고,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쓰레기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쓰레기 수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쓰레기 수집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쓰레기 수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쓰레기 수집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랜지 2 : 지지틀
3 : 손잡이 4 : 철망
5 : 다공철판 10 : 쓰레기 수집장치
20 : 덮개 30 : 지지벽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가 상부에 형성된 지지틀과, 지지틀의 하부에 부착되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는 걸름망과, 걸름망의 하부에 형성되고, 모래를 걸러줄 수 있는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는 다공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집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쓰레기 수집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2), 손잡이(3), 걸름망(4), 다공판(5)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틀(2)은 노면에 형성된 배수구(40)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지지틀(2)의 마주보는 내벽 사이로 손잡이(3)가 형성되어 있어 쓰레기 수집장치(10)를 들어올리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틀(2)의 상부에는 플랜지(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쓰레기 수집장치(10)를 지지벽(30)에 장착할 때 지지벽(30)의 걸림턱에 걸리게 한다. 지지틀(2)의 하부에는 걸름망(4)이 부착되어 배수구(40)로 흘러들어오는 오물들을 걸러준다. 걸름망(4)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어 지지벽(30)에 쓰레기 수집장치(10)가 장착될 때 걸름망(4)의 측부와 지지벽(30)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한다. 걸름망(4)의 하부에는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는 다공판(5)이 형성되어 가는 모래를 걸러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집장치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수구(40)의 상부 노면에 복개되어 있는 덮개(20)를 들어올린 다음 배수구(40)로 쓰레기 수집장치(10)를 집어넣는다. 이 때, 쓰레기 수집장치(10)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1)가 지지벽(30)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서 쓰레기 수집장치(10)가 지지벽(30)에 고정된다. 그런 다음, 플랜지(1) 위로 덮개(20)를 덮어서 배수구(40)의 상부 노면을 복개시킨다.
이렇게 배수구(40)에 쓰레기 수집장치(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빗물이나 각종 오수가 덮개(20)의 통공을 통하여 배수구(40)로 흘러들어오면 오수에 포함된 오물은 덮개(20) 하부에 장착된 쓰레기 수집장치(10)의 걸름망(4)에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가는 모래들은 걸름망(4) 하부에 형성된 다공판(5)에 걸러져서 오수만 걸름망(4)과 다공판(5)을 빠져나가 배수구(4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또한, 걸름망(4)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어 쓰레기 수집장치(10)가 지지벽(30)에 장착되면 걸름망(4)의 측부와 지지벽(30) 사이에 간격이 생겨 걸름망(4) 하부가 오물로 막혔을 경우 걸름망(4)의 측부로 오수가 배출된다.
이렇게 해서 쓰레기 수집장치(10) 내에 오물과 모래가 쌓이게 되면 덮개(20)를 제거하고 지지틀(2)의 마주보는 내벽 사이에 형성된 손잡이(3)를 잡고 쓰레기 수집장치(10)를 꺼내서 오물과 모래를 제거함으로써 오물제거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쓰레기 수집장치에 의하면, 걸름망 하부에 다공판을 형성하여 걸름망에서 거르지 못하는 가는 모래를 거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구에 모래나 각종 오물들이 쌓여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물들이 하수관로를 통하여 하천으로 유입되었을 경우 발생되는 하천오염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지지벽의 걸림턱에플랜지를 걸치는 것만으로 쓰레기 수집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쓰레기 수집장치의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가 상부에 형성된 지지틀(2)과,
    상기 지지틀(2)의 하부에 부착되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는 걸름망(4)과,
    상기 걸름망(4)의 하부에 형성되고, 모래를 걸러줄 수 있는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는 다공판(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의 마주보는 내벽 사이로 손잡이(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KR2020020016110U 2002-05-27 2002-05-27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KR200288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0U KR200288227Y1 (ko) 2002-05-27 2002-05-27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0U KR200288227Y1 (ko) 2002-05-27 2002-05-27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227Y1 true KR200288227Y1 (ko) 2002-09-09

Family

ID=7312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10U KR200288227Y1 (ko) 2002-05-27 2002-05-27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2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40B1 (ko) 2008-12-04 2009-04-08 (주)한솔환경건설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40B1 (ko) 2008-12-04 2009-04-08 (주)한솔환경건설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20030036462A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200167090Y1 (ko)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0288227Y1 (ko) 배수구용 쓰레기 수집장치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0249085Y1 (ko) 도로의 배수용 집수정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200201948Y1 (ko) 배수용 침전조
JP2005273354A (ja) 排水溝や排水桝のごみ受け籠
KR20050095959A (ko) 두개의 필터가 내장된 맨홀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KR200248509Y1 (ko) 우수받이용 필터링 바스켓
KR200229386Y1 (ko) 하수구의 이물질 유입방지덮개
KR200342681Y1 (ko) 배수구용 맨홀박스
JPH0248550Y2 (ko)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JPH0561285U (ja) 側溝の集排水桝
KR19980043030A (ko) 걸름망을 설치한 배수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