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830Y1 - 싱크대의 거름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거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830Y1
KR0123830Y1 KR2019950009198U KR19950009198U KR0123830Y1 KR 0123830 Y1 KR0123830 Y1 KR 0123830Y1 KR 2019950009198 U KR2019950009198 U KR 2019950009198U KR 19950009198 U KR19950009198 U KR 19950009198U KR 0123830 Y1 KR0123830 Y1 KR 0123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filter
bag
container
fil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706U (ko
Inventor
황선구
Original Assignee
박유재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재, 주식회사에넥스 filed Critical 박유재
Priority to KR2019950009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830Y1/ko
Publication of KR960034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7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의 개수통(3)으로부터 유출시킨 물에 함유된 음식찌꺼기를 거르도록 그 외면에 다수의 구멍(23a)이 형성된 거름봉지(23)와, 상기 거름봉지(23)를 싱크대의 수용통(7)에 설치하도록 상기 거름봉지(23)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걸이링(25)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거름봉지와 함께 상기 수용통내에 있는 음식찌꺼기를 간단히 제거하므로써, 상기 수용통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부패로 인한 미세한 오물이 상기 개수통내의 공간으로 부유함을 방지하여 개수통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의 거름장치
제1도는 종래 싱크대의 거름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거름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의 거름장치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거름봉지 및 걸이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a도 내지 제5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의 거름장치의 설치 및 사용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개수통 7 : 수용통
23 : 거름봉지 23a : 구멍
23b : 절취선부 23c : 묶음부
23d : 접합선부 25 : 걸이링
본 고안은 싱크대의 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수통의 배수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 찌꺼기를 단위별로 모아 간단히 버릴수 있도록 상기 개수통의 배수구에 배설되는 싱크대의 개수통용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싱크대의 지지판(1)의 상측에는 개수통(3)이 형성된 상판(4)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개수통(3)의 중앙부의 저부에는 식품 또는 식기등을 세척한 물에 포함된 찌꺼기가 걸러 지도록 거름통(5)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거름통(5)의 외측에는 상기 거름통(5)을 수용하도록 수용통(7)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통(7)의 저부에는 상기 수용통(7)에 유입한 물이 도시하지 않은 하수구로 빠지도록 주배수관(9)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거름통(5)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개수통(3)내에 물이 고이게 하도록 상기 수용통(7)의 입구를 막는 뚜껑(11)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름통(5)의 하측에는 상기 거름통(5)으로부터 유출하는 물에 의한 유동소음을 줄이도록 상기 수용통(7)의 내부저면에 돌출형성된 돌출관부(7a)와의 사이에 상향유로(7b)를 형성하는 격리관(13)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수용통(7)의 상부에는 상기 거름통(5)이 안착하도록 걸림단부(7c)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격리관(13)의 상부에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13a)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용통(7)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물이 흐르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수통(3)은 그 내부에서 식품 또는 식기등을 세척하도록 일정한 공간부를 가진 대야형상으로서, 그 상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개수통(3)내에 과도하게 담긴 물이 외부로 유출하도록 유출구멍(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의 저면에는 상기 뚜겅(11)이 안착하도록 걸림단부(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구멍(3a)를 통해 유출하는 물이 상기 수용통(7)에 안내되도록 상기 유출구멍(3a)과 상기 수용통(7)은 안내관(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통(7)과 주배수관(9), 상기 수용통(7)과 안내관(15), 상기 안내관(15)과 개수통(3)은 서로 공지의 연결구(17, 19, 20)에 의해 긴밀히 밀착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거름통(5)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그 상측부가 개구된 원통관형상의 몸체(5a)의 상단에는 손잡이용 고리(5b)가 힌지 결합되고, 음식찌꺼기를 포함한 개숫물중에서 물만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몸체(5a)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구멍(5c)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통(7)의 걸림단부(7c)에 걸리도록 상기 몸체(5a)의 상부에는 걸림턱부(5d)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수장치, 즉 싱크대의 개수통에 적용된 배수장치에서, 수용통(7)의 걸림단부(7c)에 거름통(5)의 걸림턱부(5d)가 걸리게 상기 수용통(7)내에 거름통(5)을 삽입하고 개수통(3)의 걸림단부(3b)에 뚜껑(11)을 닫은 상태에서 설겆이등을 한 후, 상기 뚜껑(11)을 열고 음식찌꺼기를 포함한 물은 배수시키면, 음식찌꺼기는 상기 거름통(5)에 걸리고, 물은 상기 거름통(5)의 구멍(5c)을 통과한 후 격리관(13)의 관통구멍(13b)을 통과하여 상기 격리관(13)의 하부로부터 상기 상향유로(7b)를 지나 주배수관(9)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한 양의 음식찌꺼기가 상기 거름통(5)내에 차면, 상기 거름통(5)의 고리(5b)를 잡고, 상기 수용통(7)으로부터 상기 거름통(5)을 들어내어 상기 거름통(5)을 비우게 된다.
그런데, 상기 거름통(5)의 구멍(5c)에는 음식찌꺼기가 끼여 상기 거름통(5)을 깨끗이 비우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음식찌꺼기가 상기구멍(5c)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거름통(5)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구멍(5c)에 끼인 음식찌꺼기가 부패함으로 말미암아 상기 거름통(5)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부패로 인한 미세한 오물이 상기 개수통(3)내의 공간으로 부유함으로 말미암아 개수통(3)의 내부가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 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생분해성 재질의 거름봉지를 수용통내에 설치하여 상기 거름봉지내에 일정한 양의 음식찌꺼기가 차면, 상기 거름봉지와 함께 상기 수용통내에 있는 음식찌꺼기를 간단히 제거하므로써, 수용통내에 장기간 잔류하는 음식찌꺼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개수통의 내부를 청결히 유지시키는 싱크대의 거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의 거름장치는 싱크대의 개수통으로부터 유출된 물에 함유된 음식찌꺼기를 거르도록 그 외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거름봉지와, 상기 거름봉지를 상기 싱크대의 수용통에 설치하도록 상기 거름봉지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걸이링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개수통(3)의 저부에 배설된 수용통(7)에는 상기 개수통(3)으로부터 유출된 물에 함유된 음식찌꺼기를 거르도록 거름장치(21)가 상기 수용통(7)의 걸림단부(7c)에 걸려 배설되어 있다.
상기 거름장치(2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개수통(3)으로부터 유출된 물에 포함된 음식찌꺼기를 거르도록 그 외면에 다수의 구멍(23a)이 형성된 거름봉지(23)와, 상기 거름봉지(23)를 상기 수용통(7)내에 설치하도록 상기 거름봉지(23)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걸이링(25)을 갖추고 있다.
상기 거름봉지(23)를 음식찌꺼기와 함께 버릴때에 상기 거름봉지(23)에 담긴 음식찌꺼기가 봉지의 외부로 유출하지 않게 그 자체를 묶도록 상기 거름봉지(23)의 상부에는 묶음부(23c,23c)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묶음부(23c, 23c)의 뿌리면에는 상기 걸이링(25)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접합선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거름봉지(23)의 상부에는 그 중앙부를선의 절취선부(23b)에 따라 절취함에 의해 그 양측에 묶음부(23c, 23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묶음부(23c, 23c)의 뿌리면에는 상기 절취선부(23b)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거름봉지(23)의 가장자리에 걸쳐 접합선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선부(23d)는 상기 거름봉지(23)의 개구부로부터 그 내측으로 급격한 단면적의 변화가 없도록 일정한 기울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름봉지(23)는 공해는 유발하지 않도록 토양등에 오랫동안 방치하면 분해되는 생분해성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생분해성 재질은 공지의 재질로서, P·E + ecoplus(분해요소), P·V·C+전분등의 합성재질이다.
상기 걸이링(25)은 그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통(7)의 걸림단부(7c)의 걸림단부(7c)에 걸리도록 대체로 원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의 거름장치의 설치 및 사용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제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거름봉지(23)의 개구부를 벌린 후, 걸이링(25)을 접합선부(23d)의 하측단에 걸리도록 거름봉지(23)의 내부에 끼운후, 상기 거름봉지(23)의 하측부를 상기 걸이링(25)의 내부로 밀어 넣어 뒤집으면,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봉지(23)는 걸이링(25)을 감싸게 되므로, 상기 접합선부(23d)에 의해 그 개구부의 단부가 개구부의 하부보다 넓게 형성됨과 동시에 묶음부(23c)는 상기 걸이링(25)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거름봉지(23)의 중앙부(23e)와 분리된다.
다음에, 개수통(3)의 뚜껑(11)을 열고, 상기 거름봉지(23)의 중앙부(23e)가 상기 거름봉지(23)의 하측이 되도록 상기 거름봉지(23)으로 돌린후, 상기 걸이링(25)부가 수용통(7)의 걸림단부(7c)에 걸리도록 상기 거름봉지(23)를 상기 수용통(7)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면,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7)내에 거름봉지(23)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거름봉지(23)에서, 그 구멍(23a)으로 개숫물이 빠지고, 그 내부에 적정량의 음식찌꺼기가 차면, 제5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링(25)과 함께 상기 거름봉지(23)를 약간 든 후, 상기 거름봉지(23)의 내부에 찬 음식찌꺼기가 유출하지 않도록 상기 묶음부(23c, 23c)를 서로 묶어서 음식찌꺼기와 함께 거름봉지(23)를 쓰레기 수집함 에 버리고, 상기한 설치순서에 따라 상기 걸이링(25)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거름봉지를 상기 수용통(7)내에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통(7)내에 음식찌꺼기가 오랫동안 방치되지 않음으로 인해 음식찌꺼기의 부패가 방지되어, 상기 수용통(7)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부패로 인한 미세한 오물이 상기 개수통(3)내의 공간으로 부유함을 방지하여 개수통(3)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 수집함에 버려지는 거름봉지(23)는 토양등에 오랫동안 방치하면 분해되는 생분해성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의 거름장치는 생분해성 재질의 거름봉지를 수용통내에 설치하여 상기 거름봉지내에 일정한 양의 음식찌꺼기가 차면, 상기 거름봉지와 함께 상기 수용통내에 있는 음식찌꺼기를 간단히 제거하므로써, 상기 수용통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부패로 인한 미세한 오물이 상기 개수통내의 공간으로 부유함을 방지하여 개수통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시킨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싱크대의 개수통(3)으로부터 유출된 물에 함유된 음식찌꺼기를 거르도록 그 외면에 다수의 구멍(23a)이 형성된 거름봉지(23)와, 상기 거름봉지(23)를 싱크대의 수용통(7)에 설치하도록 상기 거름봉지(23)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걸이링(25)을 갖춘 싱크대의 거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름봉지(23)에는 음식찌꺼기와 함께 버릴때에 상기 거름봉지(23)에 담긴 음식찌꺼기가 상기 거름봉지(23)의 외부로 유출하지 않게 그 자체를 묶도록 상기 거름봉지(23)의 상부에는 묶음부(23c, 23c)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묶음부(23c, 23c)의 뿌리면에는 상기 걸이링(25)일 삽입되어 걸리도록 접합선부(23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거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봉지(23)는 공해를 유발하지 않도록 토양등에 오랫동안 방치하면 분해되는 생분해성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거름장치.
KR2019950009198U 1995-04-29 1995-04-29 싱크대의 거름장치 KR0123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198U KR0123830Y1 (ko) 1995-04-29 1995-04-29 싱크대의 거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198U KR0123830Y1 (ko) 1995-04-29 1995-04-29 싱크대의 거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06U KR960034706U (ko) 1996-11-21
KR0123830Y1 true KR0123830Y1 (ko) 1998-10-15

Family

ID=1941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198U KR0123830Y1 (ko) 1995-04-29 1995-04-29 싱크대의 거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8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06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3830Y1 (ko) 싱크대의 거름장치
KR20050080171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맨홀
JP5130447B1 (ja) 洗濯機用防水パン及び排水トラップ
KR0123831Y1 (ko) 세척대 배수구의 연결장치
KR200207065Y1 (ko) 배수 트랩
KR19990009443U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EP1097275B1 (en) Assembly, to be used within a waste water system, being composed of a receptacle, a removable coating and means to connect the coating to the receptacle
KR820000789Y1 (ko) 찌꺼기통이 부설된 싱크대판
JP2892310B2 (ja) エルボ付溜め桝
KR20130002511A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JP3909425B2 (ja) 塩ビ製エルボ型トラップ付溜め桝
JPS5833770Y2 (ja) 雑排水処理装置
JP3048215B2 (ja) グリース阻集器用網袋
JP2536702Y2 (ja) 排水トラップ装置
KR20230038224A (ko) 폐수 시스템용 분리기
JP2000084304A (ja) 油除去装置
JP2001081826A (ja) 水切り部を具備する流し構造並びにゴミかご用水切り重
KR200222074Y1 (ko) 싱크대 배수구 악취 차단 및 음식물 찌꺼기 처리 개선 장치
GB2456579A (en) A plug hole strainer
JP3018977U (ja) グリーストラップ
KR20220109500A (ko) 개향형 진공을 이용한 막힘 제거장치
KR940007665Y1 (ko) 세척기의 배수구 차단장치
KR0126381Y1 (ko) 생활오수의 배수조
JPH11148159A (ja) 流し台の排水装置
KR200311992Y1 (ko) 개량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