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29B1 -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29B1
KR101833929B1 KR1020170121276A KR20170121276A KR101833929B1 KR 101833929 B1 KR101833929 B1 KR 101833929B1 KR 1020170121276 A KR1020170121276 A KR 1020170121276A KR 20170121276 A KR20170121276 A KR 20170121276A KR 101833929 B1 KR101833929 B1 KR 10183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ipe
manhole
dredging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주)자연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과환경 filed Critical (주)자연과환경
Priority to KR102017012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맨홀에 퇴적된 슬러지를 준설펌프 및 준설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여 슬러지 양에 따른 운반 및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DEPOSIT REMOVAL APPARATUS OF SEWER CONDUIT PIPE}
본 발명은 하수처리 기술 분야 중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맨홀에 퇴적된 슬러지를 준설펌프 및 준설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여 슬러지 양에 따른 운반 및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그 내부로 흐르는 상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부식 등으로 발생되는 녹 등이 슬러지화되어 그 내부면에 침전되면서 퇴적된다.
이와 같이 하수관거의 내부에 퇴적되는 슬러지는 장기간동안 퇴적된 상태로 있으면 자연스럽게 고화되어 퇴적층을 이루면서 악취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상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일정 기간을 주기로 하여 준설하고는 있으나 통상 작업자가 하수관거에 직접 들어가서 퍼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65002호(2007.01.10.)에는 '하수관거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하수관거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는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지 못하면서 운반 및 처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65002호(2007.01.10.) '하수관거의 퇴적 슬러지 제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맨홀에 퇴적된 슬러지를 준설펌프 및 준설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여 슬러지 양에 따른 운반 및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 슬러지퇴적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퇴적홈(111)과 대응되는 측면에 슬러지배출구(113)가 형성되는 하수관거(110); 상기 하수관거(110)와 이웃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뚜껑(123)이 형성되며, 그 저면에 교반날개(125)가 형성되는 슬러지맨홀(120);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110)의 슬러지배출구(113)를 통해 슬러지를 배출 및 차단시키도록 요(凹)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이 절곡되어 가이드레일(13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2)의 측면에 복수의 볼트홀(1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가이드레일(13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개폐판(135)과, 상기 개폐판(135)의 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래크기어(137) 및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기어(137)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모터(139)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130); 하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수평부(141)를 구비하고, 상단이 반원형태로 절곡되어 곡선부(143)를 구비하며,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준설관(140); 및 상기 수평부(141)에 부착되어 상기 슬러지맨홀(120) 내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준설펌프(150)로 구성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준설관(140)을 통해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기 위한 하수분리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상부 외측에 배치되는 포집통(210);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준설관(140)에 연결되고,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분기관(220); 상기 분기관(220)에 연결되는 개폐밸브(230);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포집통(210)에 연결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41)가 형성되는 연결관(240); 상기 연결관(240)의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220)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연결관(240)을 상기 분기관(2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포집통(2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40)으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하는 망체(260)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통(210)은, 상기 슬러지맨홀(120)에 대한 준설작업시, 상기 연결부재(2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관(240)이 상기 분기관(22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맨홀(120)에 대한 준설작업 후 또는 미사용시, 상기 연결부재(2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관(240)이 상기 분기관(220)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으로부터 분리 보관되며, 상기 개폐밸브(230)는, 개폐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과 상기 포집통(210)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하수가 상기 분기관(2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하수관거로 내려가서 작업을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맨홀에 퇴적된 슬러지를 준설펌프를 통해 준설관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빠르고 간편하게 슬러지의 준설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준설작업시 슬러지와 함께 하수를 운반, 처리하면서 발생되는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서 개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서 하수분리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포집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665002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665002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66500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하수관거의 퇴적슬러지 제거장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로 대체하며, 준설관을 통해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665002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100)는 하수관거(110), 슬러지맨홀(120), 개폐부재(130), 준설관(140) 및 준설펌프(150)로 구성된다.
상기 하수관거(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장방형의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데, 내측 하단에 슬러지 퇴적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퇴적홈(111)과 대응되는 측면에 슬러지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슬러지 퇴적홈(111)은 슬러지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저면이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는다.
상기 슬러지맨홀(120)은 상기 하수관거(110)와 이웃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뚜껑(123)이 형성된다.
상기 슬러지맨홀(120)은 하기에서 설명할 준설펌프(150)를 통해 용이하게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와 하수를 교반시키도록 그 저면에 교반 날개(125)가 더 형성된다.
상기 뚜껑(123)은 하기에서 설명할 준설관(140)이 삽입되는 삽입홈(127)과 개폐부재(130)의 래크기어(137)가 배출되는 배출홈(129)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130)는 요(凹)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이 절곡되어 가이드레일(13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2)의 측면에 복수의 볼트홀(1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31), 상기 가이드레일(13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수관거(110)의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개폐판(135), 상기 개폐판(135)의 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래크기어(137) 및 슬러지맨홀(12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기어(137)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모터(139)로 구성된다.
상기 준설관(140)은 하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수평부(141)를 구비하고, 상단이 반원형태로 절곡되어 곡선부(143)를 구비하며, 슬러지맨홀(120)의 내측면에서 밴드 앵커(145)에 의해 수직으로 부착된다.
상기 수평부(141)는 그 위치에 따라 슬러지맨홀(120)의 저면에서 각도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준설펌프(150)는 준설관(140)의 수평부(141)에 부착되어 슬러지맨홀(120) 내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수관거(110)를 통해 흐르는 하수의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퇴적홈(111)에 의해 퇴적된다.
이때, 상기 하수관거(110)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퇴적 슬러지가 쌓이게 되는데, 작업자가 퇴적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130)의 상기 승하강 모터(139)를 동작시키면, 상기 래크기어(137)가 상승하여 상기 개폐판(135)을 상기 프레임(131)에서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하수관거(110)의 하수와 상기 슬러지 퇴적홈(111)의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로 배출되어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상기 공간부(121)에 쌓인다.
슬러지가 모두 배출되면 작업자는 상기 승하강 모터(139)를 다시 역으로 동작시켜 상기 래크기어(137)와 함께 상기 개폐판(135)이 상기 프레임(131)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폐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교반날개(125)를 동작시켜 슬러지와 하수가 혼합되도록 한 후 상기 준설펌프(150)를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한 작동 전에 상기 준설관(140)의 곡선부(143), 즉 배출측의 하단에는 트럭(101)을 배치하여 상기 준설관(140)에서 낙하되는 슬러지를 싣도록 한다.
상기 준설펌프(150)가 동작되면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내부에 있는 슬러지가 상기 준설관(140)을 통해 배출되면서 아래에 대기하고 있는 트럭(101)에 적재된다.
그리고, 슬러지의 제거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교반날개(125)와 상기 준설펌프(1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상기 승하강 모터(139)와, 상기 교반날개(125) 및 상기 준설펌프(150)의 버튼만을 작동, 정지시킴으로써 쉽고 빠르게 퇴적물의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준설펌프(150)가 빠르게 하수와 슬러지를 상기 준설관(140)을 통해 배출하기 때문에 매우 신속하게 퇴적 슬러지의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준설관(140)을 통해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기 위한 하수분리부(2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준설관(140)을 통해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에 의해 퇴적물 제거작업시 슬러지의 운반 및 처리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상부 외측에 배치되는 포집통(210),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준설관(140)에 연결되는 분기관(220), 상기 분기관(220)에 연결되는 개폐밸브(230),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포집통(210)에 연결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41)가 형성되는 연결관(240), 상기 연결관(240)의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220)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연결관(240)을 상기 분기관(2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포집통(2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40)으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하는 망체(2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준설펌프(1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을 통과하는 하수가 상기 분기관(220)을 통해 분기되면서 상기 포집통(210)으로 포집되도록 하다.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준설펌프(140)의 구동에 따른 상기 분기관(220)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상기 연결관(240) 등에 펌프 등을 포함하는 흡입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포집통(210)은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며, 내측으로 빈공간(211)이 형성되면서 상기 슬러지맨홀(120)에 대한 퇴적물 제거작업시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가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빈공간(211)을 상,하부공간(212,213)으로 분기하여 상기 망체(260)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상기 상부공간(212)에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연결관(240)을 통해 상기 포집통(210)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하부공간(213)에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통(210)은 상부에 개폐도어(2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214)의 개방에 따라 상기 상부공간(212)으로 적체되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270)는 다수의 구멍(271a)이 형성되는 플레이트(271) 및 상기 플레이트(271)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직포(272)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통(210)은 내측 둘레에 상기 필터(270)가 안착되는 거치턱(2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270)는 상기 개폐도어(214)의 개방을 통해 점검 및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270)는 상기 연결관(240)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망체(260)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포집통(210)으로 포집되는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280)은 상기 하부공간(213)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281) 및 상기 배출관(281)에 구비되는 밸브(282)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281)은 상기 포집통(21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포집통(210)은 내측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관(281)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282)는 개폐에 따라 상기 하부공간(231)으로 포집된 하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기관(220)은 일단부가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준설관(140)에 연결되며 상기 준설펌프(1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분기되면서 상기 포집통(2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240)은 타단부가 상기 포집통(210)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41)가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부재(250)가 이탈됨이 없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분기관(220)은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5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분기관(220)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250)의 분리,결합에 따라 상기 연결관(240)이나 상기 분기관(220)의 내부를 청소함으로써 내부에 적체된 슬러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포집통(210)은 상기 슬러지맨홀(120)에 대한 준설작업시, 상기 연결부재(2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관(240)이 상기 분기관(22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통(210)은 상기 슬러지맨홀(120)에 대한 준설작업 후 또는 미사용시, 상기 연결부재(2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관(240)이 상기 분기관(220)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으로부터 분리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포집통(210)은 하부면에 복수의 바퀴(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290)는 상기 포집통(210)에 대한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관(240)이 상기 분기관(220)과 동일 수평선에 위치되면서 상기 연결부재(250)에 의한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290)는 상기 포집통(210)으로 포집된 슬러지나 하수의 배출을 위한 이동과 함께 미사용시에 따른 보관 장소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밸브(230)는 개폐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과 상기 포집통(210)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하수가 상기 분기관(2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차단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준설펌프(1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을 통해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러지맨홀(120)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양에 따른 운반 및 처리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110 : 하수관거 111 : 퇴적홈
113 : 슬러지배출구 120 : 슬러지맨홀
125 : 교반 날개 130 : 개폐부재
140 : 준설관 150 : 준설펌프
200 : 하수분리부 210 : 포집통
211 : 빈공간 212 : 상부공간
213 : 하부공간 214 : 개폐도어
220 : 분기관 230 : 개폐밸브
240 : 연결관 241 : 플랜지
250 : 연결부재 260 : 망체
270 : 필터 271 : 플레이트
272 : 부직포 280 : 배출수단
281 : 배출관 282 : 밸브
290 : 바퀴

Claims (1)

  1.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 슬러지퇴적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퇴적홈(111)과 대응되는 측면에 슬러지배출구(113)가 형성되는 하수관거(110);
    상기 하수관거(110)와 이웃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가 집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뚜껑(123)이 형성되며, 그 저면에 교반날개(125)가 형성되는 슬러지맨홀(120);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110)의 슬러지배출구(113)를 통해 슬러지를 배출 및 차단시키도록 요(凹)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이 절곡되어 가이드레일(13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2)의 측면에 복수의 볼트홀(1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가이드레일(13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슬러지배출구(113)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개폐판(135)과, 상기 개폐판(135)의 전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래크기어(137) 및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기어(137)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모터(139)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130);
    하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수평부(141)를 구비하고, 상단이 반원형태로 절곡되어 곡선부(143)를 구비하며,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부착되는 준설관(140); 및
    상기 수평부(141)에 부착되어 상기 슬러지맨홀(120) 내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준설펌프(150)로 구성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준설관(140)을 통해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를 분리하기 위한 하수분리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수분리부(200)는,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상부 외측에 배치되는 포집통(210);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슬러지맨홀(1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준설관(140)에 연결되고,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분기관(220);
    상기 분기관(220)에 연결되는 개폐밸브(230);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포집통(210)에 연결되고, 일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41)가 형성되는 연결관(240);
    상기 연결관(240)의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220)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연결관(240)을 상기 분기관(2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포집통(2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40)으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하는 망체(260)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통(210)은,
    상기 슬러지맨홀(120)에 대한 준설작업시, 상기 연결부재(2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관(240)이 상기 분기관(22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맨홀(120)에 대한 준설작업 후 또는 미사용시, 상기 연결부재(25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관(240)이 상기 분기관(220)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으로부터 분리 보관되며,
    상기 개폐밸브(230)는,
    개폐에 따라 상기 준설관(140)과 상기 포집통(210)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하여 하수가 상기 분기관(2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KR1020170121276A 2017-09-20 2017-09-20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KR10183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76A KR101833929B1 (ko) 2017-09-20 2017-09-20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76A KR101833929B1 (ko) 2017-09-20 2017-09-20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29B1 true KR101833929B1 (ko) 2018-03-06

Family

ID=6172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76A KR101833929B1 (ko) 2017-09-20 2017-09-20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358B1 (ko) 2006-10-14 2007-01-30 주식회사 삼안 하수관거 슬러지 처리구조
KR101636033B1 (ko) 2016-03-10 2016-07-06 주식회사 보람 이물질제거가 용이한 친환경 상하수도 관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358B1 (ko) 2006-10-14 2007-01-30 주식회사 삼안 하수관거 슬러지 처리구조
KR101636033B1 (ko) 2016-03-10 2016-07-06 주식회사 보람 이물질제거가 용이한 친환경 상하수도 관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033B1 (ko) 이물질제거가 용이한 친환경 상하수도 관거
US4816167A (en) Portable system for dewatering contents of sanitary sewer traps
GB2423264A (en) A sludge separator
US20110047743A1 (en) Fine solids recovery system, method and pick-up wand
KR100775953B1 (ko) 준설차
JP2003533353A (ja) 固液分離装置
KR100665002B1 (ko) 하수관거의 퇴적 슬러지 제거 장치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101833929B1 (ko)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장치
US10654192B1 (en) Concrete washout and water recycling apparatus
KR101283394B1 (ko) 진공탱크를 이용한 탈수 및 침전이 포함된 준설공법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100928068B1 (ko) 준설차의 수분배출장치
KR100778552B1 (ko) 준설차
KR20090012899A (ko) 준설 탱크의 탈수장치 및 공법
KR200412878Y1 (ko) 소하천 바닥 슬러지 제거장치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JP5048635B2 (ja) 汚水中継ポンプ設備
JP3333592B2 (ja) 除砂装置
US2092492A (en) Catch basin for sewerage systems
KR10159664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88788B1 (ko) 취수로의 이물질제거장치
JP3361356B2 (ja) 雨水処理施設
KR960015774B1 (ko) 혼기젯트 펌프와 활차를 이용한 차집관로 준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