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26Y1 -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26Y1
KR200206726Y1 KR2020000015615U KR20000015615U KR200206726Y1 KR 200206726 Y1 KR200206726 Y1 KR 200206726Y1 KR 2020000015615 U KR2020000015615 U KR 2020000015615U KR 20000015615 U KR20000015615 U KR 20000015615U KR 200206726 Y1 KR200206726 Y1 KR 200206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change lever
lock
bar
loc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우
Original Assignee
구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우 filed Critical 구민우
Priority to KR2020000015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26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 이외에는 체인지 레버를 이동시킬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체인지 레버의 전방판넬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의 끼움홈에 끼워지고 체인지 레버에 걸쳐지는 록크바와, 상기 록크바의 선단이 끼워지는 쉬프트바를 이동시키고 잠금장치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잠금장치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판넬과, 상기 조작판넬의 키입력을 체크하여 전자석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Antitheft apparatus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 이외에는 체인지 레버를 이동시킬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는 자동차를 주차시켜 놓았을 때 자신의 자동차가 도난당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떨치기 어렵다.
이를 감안하여 도어록을 채우고 있으나 범죄자에 의해 쉽게 열리고 있는 실정이고, 경보기를 부착한 경우에도 경보음이 소음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경보음만으로 자동차 도난을 방지하기 어렵다.
즉 도난경보기는 도어록이 강제로 열리거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경보음이 울리게 되나 경보음을 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설사 경보음을 듣고 자동차까지 왔을때는 이미 자동차는 사라져 버린 후가 되므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운전시 반드시 기어를 변속시키는 체인지 레버를 조작해야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체인지 레버를 잠금장치로 잠가주므로써 잠금장치를 해제하여야만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체인지 레버의 전방판넬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의 끼움홈에 끼워지고 체인지 레버에 걸쳐지는 록크바와, 상기 록크바의 선단이 끼워지는 쉬프트바를 이동시키고 잠금장치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잠금장치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판넬과, 상기 조작판넬의 키입력을 체크하여 전자석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잠금장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 고정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넬 2 : 체인지 레버 3 : 록크바
4 : 끼움홈 10 : 잠금장치 11 : 끼움홀
12 : 조작판넬 13 : 전자석 14 : 쉬프트바
본 고안은 체인지레버(2)의 전방판넬(1)에 설치 고정되는 잠금장치(10)와, 상기 잠금장치(10)에 끼워져 고정되고 체인지레버(2)를 구속하는 록크바(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록크바(3)는 전방으로 당긴 상태의 체인지레버(2)에 끼워지고 이때의 록크바(3)는 잠금장치(10)의 끼움홀(11)에 끼워진다.
체인지레버(2)를 전방으로 밀면 자동인 경우 주차위치가 되고 수동인 경우 1단 기어가 들어간 위치가 된다.
잠금장치(10)는 판넬(1)의 저면에서 볼트(15)로 체결하여 범죄자가 쉽게 분리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없도록 한다.
잠금장치(10)에는 록크바(3)의 선단이 끼워지는 끼움홀(11)이 형성되는 한편 조작판넬(12)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쉬프트바(14)를 왕복이동시키는 전자석(13)이 설치되는 한편 조작판넬(12)의 키입력을 인식하여 전자석(13)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중앙처리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쉬프트바(14)는 록크바(3)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4)에 끼워지며 끼움홈(4)에 쉬프트바(14)가 끼워지면 록크바(3)는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전자석(13)에 인가되는 전원은 밧데리전원을 사용하고 중앙처리장치와 전원라인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 체인지레버(2)를 자동인 경우 주차위치 수동인 경우 1단위치에 놓고 록크바(3)를 체인지레버(2)에 끼운 후 록크바(3)의 선단을 잠금장치(10)의 끼움홀(11)에 끼워 넣는다.
이때 쉬프트바(14)는 전자석(13)내부에 수납되어 있어 록크바(3)가 끼움홀(11)에 용이하게 끼워진다.
록크바(3)를 끼움홀(11)에 끼워준 후 조작판넬(12)의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중앙처리장치에서 전자석(13)을 작동시켜 쉬프트바(14)를 돌출시키게 되고 이때의 쉬프트바(14)는 록크바(3)의 끼움홈(4)에 끼워지게 되어 쉬프트바(14)가 후퇴하지 않는 한 록크바(3)가 빠지지 않게 된다.
록크바(3)가 잠금장치(10)에서 빠지지 않으면 체인지레버(2)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자동차를 잃어버릴 우려가 없다.
운전자가 정상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조작판넬(12)의 키로 미리 정해진 비밀번호를 누르면 된다.
중앙처리장치는 비밀번호 입력을 체크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쉬프트바(14)를 이동시키지 않도록 하고 비밀번호가 입력될 경우는 전자석(13)을 작동시켜 쉬프트바(14)를 후퇴시키도록 한다.
쉬프트바(14)가 후퇴하면 록크바(3)의 끼움홈(4)에서 쉬프트바(14)가 빠지게 되므로 록크바(3)를 잠금장치(10)의 끼움홀(11)에서 빼낼 수 있게 되며 이때부터는 체인지레버(2)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어 정상운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밀번호를 모르는 사람은 록크바(3)를 해제시킬 수 없어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자동차 도난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차시 체인지 레버를 록크바에 끼워 잠금장치로 잠가주도록 하므로써 록크바를 해제시키지 않는 한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하여 자동차를 도난당할 수가 없는 것이다.

Claims (1)

  1. 체인지레버(2)의 전방판넬(1)에 설치되고 끼움홀(11)이 형성된 잠금장치(10)와,
    체인지레버(2)를 당겨 잠금장치(10)의 끼움홀(11)에 끼워지는 록크바(3)와,
    상기 잠금장치(10)내부에 설치되고 쉬프트바(14)를 이동시켜 록크바(3)선단의 끼움홈(4)에 끼워지는 전자석(13)과,
    상기 잠금장치(10)에 설치된 조작판넬(12)의 키입력을 인식하여 전자석(13)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된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KR2020000015615U 2000-06-01 2000-06-01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200206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15U KR200206726Y1 (ko) 2000-06-01 2000-06-01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15U KR200206726Y1 (ko) 2000-06-01 2000-06-01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26Y1 true KR200206726Y1 (ko) 2000-12-15

Family

ID=7308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615U KR200206726Y1 (ko) 2000-06-01 2000-06-01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279A (en) Automobile security device for locking a floor-mounted gearshift lever
US5673575A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system
US6578655B2 (en) Start/drive system for a vehicle
KR200206726Y1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US5444999A (en) Gear shift lever lock
US6434983B1 (en) Starting and locking/unlocking device for motor vehicle
US5791175A (en) Vehicle anti theft device
KR100256174B1 (ko) 자동차의 보안 및 안전 시스템
KR0140611Y1 (ko) 자동차 도난방지용 변속레버 록 장치
KR100418022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SK7297A3 (en) Security system
KR200152406Y1 (ko) 차량의 오디오 도난 방지장치
JPH07508478A (ja) 自動車輛の手ブレーキをロックする盗難防止装置
KR200331082Y1 (ko) 자동차 도난방지장치
KR0114766Y1 (ko) 자동차 도난방지용 클러치페달 록킹장치
AU2002100438A4 (en) Shift lock
KR100418021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KR100214719B1 (ko) 자동변속기 탑재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
JPH04278830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解除装置
KR19980030604A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록장치
JP3019052U (ja) 自動車用盗難防止ロック
KR200144481Y1 (ko) 자동차 도난 방지를 위한 자동 클러치 장치
US20020088663A1 (en) Theft prevention device for pedal operated vehicles
US20060213313A1 (en) Hand brake blocker
KR100201370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