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629Y1 -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 Google Patents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6629Y1 KR200206629Y1 KR2020000021634U KR20000021634U KR200206629Y1 KR 200206629 Y1 KR200206629 Y1 KR 200206629Y1 KR 2020000021634 U KR2020000021634 U KR 2020000021634U KR 20000021634 U KR20000021634 U KR 20000021634U KR 200206629 Y1 KR200206629 Y1 KR 2002066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le
- screw
- fixing
- fastener
- snowboard boot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15—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츠에서 고정구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부츠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심에 암나사(2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숫나사(2b)가 형성된 나사관(2)과 다각형의 받침판(3)을 일체 형성하고, 숫나사(2b)에는 다각형의 가압판(4)이 일체 형성된 가압나사관(5)을 결합하며, 암나사(2a)에는 버클(7)을 고정하는 고정나사(6)를 체결하여 버클(7)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정나사(6)의 파손시 또는 다각형 받침판(3)상의 나사관(2) 파손 시에 고정구(1)전체 또는 해당부분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함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츠에서 고정구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부츠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우보드 부츠에는 방목부위를 조여주는 버클을 마련하여 부츠의 개구측으로 각종 이물 등에 내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버클을 고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부츠를 구성하는 갑피상에 버클의 끝단을 재봉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는 버클의 파손시 부츠를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22)의 단부에 결합공(23)을 형성하고, 부츠의 갑피(21)상에는 외부로 나사관(24)이 돌출되도록 고정구(25)를 설치하여 버클(22) 단부의 결합공(23)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나사(26)를 조여서 버클(22)을 고정토록 함으로써 버클(23)의 파손 시에 고정나사(26)를 분해하여 버클(22)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종래의 버클(22)을 고정하는 고정구(25)는 고정나사(26)를 풀고 조이는 과정에서 고정나사(26)의 머리 부위가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이 경우 나사관(24)에 나삽되어 있는 파손된 나사를 분리하기가 어려워 수리를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나사를 분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부츠를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버클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고정나사의 파손 시에도 고정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버클 고정구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부츠의 갑피상에서 버클 고정구의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츠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클 고정구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버클 고정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버클 고정구 분해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고정구 2 : 나사관
2a : 암나사 2b : 숫나사
3 : 받침판 4 : 가압판
5 : 가압나사관 6 : 고정나사
7 : 버클 8 : 결합공
9 : 갑피
도 2는 본 고안의 버클 고정구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버클 고정구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의 버클 고정구(1)는 중심에 암나사(2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숫나사(2b)가 형성된 나사관(2)과 다각형의 받침판(3)을 일체 형성하고, 상기 숫나사(2b)에는 다각형의 가압판(4)이 일체 형성 가압나사관(5)을 결합되며 암나사(2a)에는 버클(7)을 고정하는 고정나사(6)를 체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받침판(3)과 가압판(4)에는 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8)을 관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로 스노우보드용 부츠(A)의 상단에 결합하여 버클(7)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즉, 본 고안은 부츠의 갑피(9)상에 관통되는 구멍(10)을 통하여 나사관(2)을 삽입하고 숫나사(2b)에는 가압판(4)이 일체 형성되는 가압나사관(5)을 결합하여 갑피(9)상에 가압 고정한다.
그리고 가압판(4) 외측에는 버클(7)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구멍(7a)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나사(6)를 암나사(2a)에 체결하면 간단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버클(7)을 고정하여 사용하다가 버클(7)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버클(7)을 교체하고자 할 시에는 종래와 같이 고정나사(6)를 분리하여 버클(7)을 교환하면 된다.
한편 버클(7)을 고정하는 고정나사(6)에 과도한 힘을 가하여 고정나사(6)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받침판(3)과 가압판(4)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8)에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를 내입하여 회전시켜 숫나사(2b)에 결합되어 있는 가압나사관(5)을 분리하면 갑피(9)상에서 본 고안의 고정구(1)를 분리하고 신품의 고정구(1)를 결합하면 수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부츠에서 고정구를 분리하지 못하여 부츠 자체를 못쓰고 버리는 폐단이 없이 오래도록 스노우보드 부츠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는 부츠의 갑피(9)상에서 고정구(1)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버클(7)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버클(7)을 고정하는 고정나사(6)의 파손시에는 고정구(1) 자체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노우보드 부츠의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등 실익이 보장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중심에 암나사(2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숫나사(2b)가 형성된 나사관(2)과 다각형의 받침판(3)을 일체 형성하고,상기 숫나사(2b)에는 다각형의 가압판(4)이 일체 형성된 가압나사관(5)을 결합하며,상기 암나사(2a)에는 버클(7)을 고정하는 고정나사(6)를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1634U KR200206629Y1 (ko) | 2000-07-28 | 2000-07-28 |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1634U KR200206629Y1 (ko) | 2000-07-28 | 2000-07-28 |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6629Y1 true KR200206629Y1 (ko) | 2000-12-01 |
Family
ID=1966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1634U KR200206629Y1 (ko) | 2000-07-28 | 2000-07-28 |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6629Y1 (ko) |
-
2000
- 2000-07-28 KR KR2020000021634U patent/KR2002066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07406A1 (en) | Quick action drum lug assembly and method | |
JPH0530448Y2 (ko) | ||
JP2006328812A (ja) | 水栓の取付装置 | |
KR200206629Y1 (ko) |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 |
DE50302567D1 (de) | Knochenschraube | |
JP4431029B2 (ja) | 締結装置 | |
JP2006336676A (ja) | ボルトに結合されたナットが離脱しないようにしたクランプ | |
GB2447861A (en) | Removable bolt assembly for fastening a toilet seat | |
JP2001041219A (ja) | ボルトを締め付けるロックナット | |
KR200225075Y1 (ko) | 회전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볼트 | |
KR200381417Y1 (ko) |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이탈되지 않는 크램프 | |
KR200401730Y1 (ko) |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 |
KR200401075Y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KR20060110406A (ko) | 경첩의 축핀 결합구조 | |
JP2002039146A (ja) | ボルトガード | |
US20170319301A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dental implant abutment from being loosened | |
JP2909411B2 (ja) | 型枠締付けボルト用固定具 | |
KR20000000323A (ko) | 탈착이 용이한 풀림방지 나사 | |
KR200389251Y1 (ko) | 클램프의 체결수단 풀림 방지장치 | |
JP4955494B2 (ja) | パネルへのスイッチ取付具 | |
KR200314984Y1 (ko) |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 유지구 | |
KR200148356Y1 (ko) | 건축용 거푸집을 고정하는 조임틀 | |
JP2005299814A (ja) | ボルト | |
KR100241929B1 (ko) | 부재 고정구 | |
JP2003048170A (ja) | ボルト・ナットの共回り防止治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8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