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929B1 - 부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부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929B1
KR100241929B1 KR1019950047195A KR19950047195A KR100241929B1 KR 100241929 B1 KR100241929 B1 KR 100241929B1 KR 1019950047195 A KR1019950047195 A KR 1019950047195A KR 19950047195 A KR19950047195 A KR 19950047195A KR 100241929 B1 KR100241929 B1 KR 10024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tapping screw
guide
member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767A (ko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929B1/ko
Publication of KR97004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929B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비교적 얇은 다수의 패널이나 기타 부재 등을 태핑 스크류 및 클립으로 탈착가능케 고정함에 있어, 부재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부재로부터 태핑 스크류 및 클립의 분해를 신속,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 부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부재(10)(10a)에 끼워지는 클립(20)을 구비하되, 클립(20)에 다수개의 고정편(22)을 절개, 형성하고, 클립(20)의 중심을 관통하여 가이드홀(23)을 형성하여 암나사(24)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편(22)을 팽창시켜 부재(10)(10a)에 압압, 고정시키는 테이퍼된 태핑 스크류(30)를 구비하며, 태핑 스크류(30)는, 그 하단부에 가이드핀(31)을 형성하고, 가이드핀(3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광하협의 가이드 보스(32)를 형성하며, 또한 클립(20)의 삽입홈(21)의 하측에 접하는 각 고정편(22)에 지지돌기(25)를 형성하여, 태핑 스크류(30)를 클립(20)에 체결하는 상태에서 태핑 스크류(30)의 가이드 보스(32)가 클립(20)의 고정편(22)을 외측방향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지지돌기(25)가 부재(10)(10a)의 저면에 압착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재 고정구
제1도는 종래 부재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부재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로서, 부재의 체결전.
제3도는 본 발명 부재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로서, 부재의 체결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0,110 : 부재 11,120 : 결합공
20,130 : 클립 21,131 : 삽입홈
22,132 : 고정편 23 : 가이드홀
24,133 : 암나사 25 : 지지돌기
30,140 : 태핑 스크류 31 : 가이드핀
32 : 가이드 보스
본 발명은 부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가 비교적 얇은 다수의 패널이나 기타 부재등을 태핑 스크류 및 클립으로 탈착가능케 고정함에 있어, 부재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부재로부터 태핑 스크류 및 클립의 분해를 신속,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 부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은 패널이나 기타 부재를 고정함에 있어 태핑 스크류와 합성수지재의 클립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제1도와 같이, 부재(100)(110)에 결합공(120)이 각기 천공되어 있고, 결합공(120)에 끼워지도록 삽입홈(131)이 형성된 클립(130)이 구비되어 있으며, 클립(130)에는 다수개의 고정편(132)이 원주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립(130)의 중심을 관통하여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홀을 통해 암나사(133)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편(132)을 팽창시켜 부재(100)(110)에 압압, 고정시키는 테이퍼된 태핑 스크류(14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부재 고정구는 제1도와 같이, 사전에 천공된 부재(100)(110)의 결합공(120)에 클립(130)을 끼우고, 클립(130)의 가이드홀에 태핑 스크류(140)를 맞추어 일정한 힘을 가하는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클립(130)의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암나사(133)가 형성되어 가고, 아울러 일정시점에서 태핑 스크류(140)가 테이퍼되어 있어 클립(130)의 각 고정편(132)을 원주방향으로 가압하여 팽창시킨다.
클립(130)의 고정편(132)이 팽창됨에 따라 클립(130)의 삽입홈(131)의 외경이 점차 증가하여 부재(100)(110)의 결합공(120)에 압착, 고정된다.
한편 부재(100)(11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태핑 스크류(140)와 클립(130)을 부재로부터 분해하는 경우에는 태핑 스크류(140)를 분리한 다음, 클립(130)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잡아 빼낸다.
그러나 종래의 부재 고정구는, 태핑 스크류(140)와 클립(130)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은 바, 즉 부재(100)(110)로부터 태핑 스크류(140)를 분리한 상태에서 클립(130)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그 머리부분을 잡고 잡아 당겨 빼내게 되나, 클립(130)이 부재(100)(110)의 결합공(120)에 압착되어 있어 제대로 분리되지 못하며, 또한 태핑 스크류(140)가 빈번하게 망실되어 재조립을 행할 수 없게 되는(다른 태핑 스크류가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부재 고정구는, 클립(130)이 부재(100)(110)를 압압하는 힘이 미약하여 부재(100)(110)의 고정상태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재로부터 신속,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부재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구의 착탈시 태핑 스크류의 분실을 방지하는, 부재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부재에 결합공을 천공하고,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클립을 구비하며, 클립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을 원주방향으로 절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클립의 중심을 관통하여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홀을 통해 암나사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편을 팽창시켜 부재에 압압, 고정시키는 테이퍼된 태핑 스크류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태핑 스크류는, 그 하단부에 가이드핀을 형성하고, 가이드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광하협의 가이드 보스를 형성하며, 또한 클립의 삽입홈의 하측에 접하는 각 고정편에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태핑 스크류를 클립에 체결하는 상태에서 태핑 스크류의 가이드 보스가 클립의 고정편을 외측방향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지지돌기가 부재의 전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3도는 본 발명 부재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고정하고자 하는 부재(10)(10a)에 결합공(11)을 천설하고, 결합공(11)에 끼워지도록 삽입홈(21)이 형성된 클립(20)을 구비하며, 클립(20)에는 다수개의 고정편(22)을 원 중심을 통과하도록 절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클립(20)의 중심을 관통하여 가이드홀(23)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홀(23)을 통해 암나사(24)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편(22)을 팽창시켜 부재(10)(10a)에 압압, 고정시키는 테이퍼된 태핑 스크류(3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태핑 스크류(30)는, 그 하단부에 가이드핀(31)을 형성하고, 가이드핀(3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광하협의 가이드 보스(32)를 형성하며, 또한 클립(20)의 삽입홈(21)의 하측에 접하는 각 고정편(22)에 지지돌기(25)를 형성하여, 상기 태핑 스크류(30)를 클립(20)에 체결하는 상태에서 태핑 스크류(30)의 가이드 보스(32)가 클립(20)의 고정편(22)을 외측방향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지지돌기(25)가 부재(10)(10a)의 저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도와 같이, 클립(20)을 부재(10)(10a)의 결합공(11)에 끼우고, 태핑 스크류(30)를 클립(20)의 가이드홀(23)에 삽입하여 일정한 힘으로 밀어 회전시키면, 이때 클립(20)의 가이드홀(23)에 암나사(24)가 형성되며, 또한 태핑 스크류(30)가 일정량 만큼 클립(20)에 체결되는 시점에서 그 가이드 보스(32)가 클립(20)의 고정편(22)을 외측방향으로 밀어 지지돌기(25)를 부재(10)(10a)의 저면에 압착시킨다.
이처럼 클립(20)의 지지돌기(25)가 부재(10)(10a)의 저면에 압착됨으로써, 결합공(11) 주위의 부재(10)(10a)가 클립(20)의 삽입홈(21) 사이에 압착됨으로써 부재(10)(10a)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아울러 부재(10)(10a)의 분리를 위한 태핑 스크류(30) 및 클립(20)의 분해시는, 클립(20)의 고정편(22)을 손으로 잡아 누르면, 클립(20)의 지지돌기(25)가 부재(10)(10a)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클립(20)이 부재(10)(10a)로부터 이완되며, 이 상태에서 태핑 스크류(30)가 체결되어 있는 클립(20)을 부재(10)(10a)의 결합공(11)을 통해 쉽게 인출, 분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태핑 스크류의 하단에 상호 접하는 가이드핀 및 가이드 보스를 형성하고, 클립의 외주면에 그 삽입홈에 접하도록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클립에 대한 태핑 스크류의 체결시 가이드 보스가 클립의 고정편을 외측으로 밀어 지지돌기를 부재의 저면에 압착시키도록 함으로써, 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뿐만 아니라 클립의 고정편을 잡고 누르면 클립이 부재로부터 이완되므로 태핑 스크류와 함께 클립을 부재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3)

  1. 삽입홈이 형성된 클립이 다수의 부재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고, 클립의 하부에 다수의 고정편이 절개, 형성되며, 클립을 통해 태핑 스크류가 체결되어 클립이 확장됨과 동시에 부재에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태핑 스크류의 하부에 가이드 보스가 형성되어 클립에 대한 체결시 가이드 보스가 클립의 고정편을 외측으로 밀어 부재에 압착시킴과 동시에 부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외주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부재를 압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핑 스크류의 하단에 가이드 보스와 접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어 태핑 스크류의 체결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고정구.
KR1019950047195A 1995-12-06 1995-12-06 부재 고정구 KR10024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195A KR100241929B1 (ko) 1995-12-06 1995-12-06 부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195A KR100241929B1 (ko) 1995-12-06 1995-12-06 부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767A KR970045767A (ko) 1997-07-26
KR100241929B1 true KR100241929B1 (ko) 2000-03-02

Family

ID=6659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195A KR100241929B1 (ko) 1995-12-06 1995-12-06 부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9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767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8359B2 (en) Releasable fastener assembly affixable through a panel
US2239798A (en) Handle or knob mounting and the like
GB2290826A (en) Ball joint
JPH01124820A (ja) 眼鏡などの緩まない取付け機構
JPH05215109A (ja) 内側ねじと大きな保持能力を有するパネル締付け具
US4729704A (en) Screw grommet
KR100241929B1 (ko) 부재 고정구
CN100443007C (zh) 手表
GB2305961A (en) A releasable clip or rivet having a segmented leg expandable by an insertion pin
US6276053B1 (en) Device for fixing and removing stud seats for boots
JP2512383Y2 (ja) 板材の固定構造
JPH0854009A (ja) 拡張ボルト
CN108010454B (zh) Led箱体连接锁紧装置及led显示屏
JPH11151675A (ja) グラインダ定盤
KR100490153B1 (ko) 채널간판의 체결구 및 그를 이용한 채널간판의 제조방법
KR880001127Y1 (ko) 대형 tv의 기판 고정구
JP3342656B2 (ja) 組立用締結部材
KR0182878B1 (ko) 가스 스프링 로드와 보올 조인트의 착탈장치
KR930003922Y1 (ko) 모니터의 캐비넷 체결부재
KR20020046900A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JPH10152899A (ja) 壁板取付具補助材とその取付方法
JP2003329021A (ja) ファスナ構造
JP2002161907A (ja) クランプ装置
KR200206629Y1 (ko) 스노우보드 부츠용 버클 고정구
KR0112377Y1 (ko) 헤드램프 리플렉터의 피벗(Pivot) 연결용 클립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