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609Y1 -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09Y1
KR200205609Y1 KR2020000020731U KR20000020731U KR200205609Y1 KR 200205609 Y1 KR200205609 Y1 KR 200205609Y1 KR 2020000020731 U KR2020000020731 U KR 2020000020731U KR 20000020731 U KR20000020731 U KR 20000020731U KR 200205609 Y1 KR200205609 Y1 KR 200205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se
receiving
mobile phone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금
Original Assignee
윤종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금 filed Critical 윤종금
Priority to KR2020000020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마련되어 그 케이스(10)의 조작에 의해 출몰되는 펜심(11)을 구비하여 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케이스(10)의 내부에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가시적인 점멸광으로 변환시키는 신호수신수단(20);을 구비하여 휴대폰과 일정거리 떨어져 있어도 휴대폰의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점멸광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휴대폰의 착신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침묵을 요구하는 공공장소에서 타인에게 소음피해를 주지 않는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Writing materials for receiving signal of 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서도 타인에게 소음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휴대폰에 착신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을 포함한 휴대 이동통신기기는 전자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사용인구의 증가가 증가함에 따라 초소형 경량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고, 휴대하기가 편리하여 그 증가 추세는 날로 급등하여 다양한 형태로 시판되고 있으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인이라면 필수품이 되다시피 하였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착신신호의 수신방법에 따라 진동 모드, 무음착신램프 모드 및 벨 모드, 진동/벨 모드 등으로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 준다. 이 중 진동 모드는 휴대폰을 사용자의 몸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벨 모드는 멜로디 음과 같은 일정크기 이상의 소리로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이다.
그러나, 대개의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 휴대폰을 몸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장소 예컨대,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당연하지만 휴대폰이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벨 또는 진동음의 착신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이를 인지하기가 어렵다. 특히, 도서관이나 사무실 등의 공공장소에서 휴대폰의 벨소리로 인해 타인에게 소음피해를 주거나, 침묵을 깨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사용자는 수신모드를 진동 또는 무음 착신램프 모드로 전환하여 책상 위에 얹어 놓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 안에 넣어 두는데, 주의를 다른 곳에 집중 할 경우 착신신호의 수신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과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서도 타인에게 소음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휴대폰에 착신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호수신수단을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0a... 제1부분
10b... 제2부분 11... 펜심
20... 신호수신수단 20a... PCB회로부
20b... 전원부 21... 안테나부
22... 증폭부 23... LED구동부
24... 타이머 25... LED전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그 케이스의 조작에 의해 출몰되는 펜심을 구비하여 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케이스의 내부에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가시적인 점멸광으로 변환시키는 신호수신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신수단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제공받은 미세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전원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일정전압을 공급받아 점멸광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LED 전구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 주파수를 제공받아 상기 LED 전구에 구동명령을 제공하는 LED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LED 구동부는 상기 LED전구가 일정시간 동안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폰과 일정거리 떨어져 있어도 휴대폰의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점멸광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휴대폰의 착신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침묵을 요구하는 공공장소에서 타인에게 소음피해를 주지 않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마련되어 그 케이스(10)의 조작에 의해 출몰되는 펜심(11)을 구비하여 된 필기구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케이스(10)의 내부에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가시적인 점멸광으로 변환시키는 신호수신수단(20)이 마련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는 통상적인 필기구 케이스로서 그 내부에 후술되는 신호수신수단(20)이 설치되고, 상기 신호수신수단(20)을 외부에서도 볼 수 있도록 투시가능한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략 파이프 형상의 원통형을 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통상적인 펜심(11)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케이스(10)는 상호 정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부분(10a) 및 제2부분(10b)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부분(10a,10b) 중 어느 하나를 일측 방향으로 돌리면 펜심(11)이 외부로 인출되고 타측방향으로 돌리면 펜심(11)이 내부로 몰입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필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를 돌림으로써 펜심(11)이 출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바와 같이, 펜심을 가압함으로써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참조부호 20a와 20b는 후술되는 신호수신수단(20)으로서 안테나부(21), 증폭부(22), LED 구동부(23), LED 전구(25)를 포함하는 PCB회로부와, 상기 PCB회로부(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 전구(25)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이다.
본 고안을 특징지우는 상기 신호수신수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21)와, 상기 안테나부(21)로부터 제공받은 미세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2)와, 전원부(20b)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20b)로부터 일정전압을 공급받아 점멸광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LED 전구(25)와, 상기 증폭부(22)로부터 증폭 주파수를 제공받아 상기 LED 전구(25)에 구동명령을 제공하는 LED 구동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테나부(21)는 휴대폰으로 수신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휴대폰에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그 휴대폰과 안테나부(21)의 적정거리는 대략 50㎝∼1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폭부(22)는 안테나부(21)와 연결되어 그 안테나부(21)로부터 제공받은 미세한 주파수 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증폭한다.
상기 LED 전구(25)는 전원부(20b) 및 후술되는 LED 구동부(23)와 상호 연결되어 그 전원부(20b)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전압을 인가받아 점멸광을 외부로 발산한다. 즉, 상기 LED 전구(25)는 후술되는 LED 구동부(23)로부터 구동명령을 받으면 전원부(20b)로부터 소정 전압을 인가받아 임의의 색상을 가진 점멸광으로 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도면에 도시된 LED 전구(25)는 그 갯수가 3개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이상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전원부(20b)는 3볼트의 전압을 가진 통상적인 단추형 배터리로서 하나 또는 두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구동부(23)는 증폭부(22), LED 전구(25) 및 전원부(20b)와 상호 연결되어 있어, 상기 증폭부(22)로부터 증폭 주파수를 제공받으면 전원부(20b)에 온신호를 제공하여 LED 전구(25)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LED 구동부(23)는 LED 전구(25)가 일정시간 동안 점멸되고, 그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오프시키기 위한 타이머(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점멸광을 발산하는 시간은 대략 10∼15초이다.
그러므로, 도서관과 같은 공공장소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본 고안의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를 한다. 이 때, 사용자는 휴대폰을 진동모드 또는 무음 착신램프 모드로 전환하여 주머니 또는 가방 안에 넣어두거나, 책상 위에 올려 놓는다. 여기서, 필기구와 휴대폰과의 거리는 항상 50㎝∼1m의 거리를 유지시켜야 한다.
우선, 휴대폰이 수신신호를 감지하면 착신램프가 발광되고, 동시에 그 수신신호는 필기구의 안테나부(21)에 수신된다.
소정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를 수신한 안테나부(21)는 그 신호를 증폭부(22)로 제공하고, 증폭부(22)는 그 주파수를 증폭한다.
증폭부(22)는 증폭 주파수를 LED 구동부(23)에 제공하고, LED 구동부(23)는 전원부(20b)의 전원을 온시켜 LED 전구(25)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LED 전구(25)는 타이머(24)에 기설정된 시간만큼 점멸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ED 전구(25)로부터 케이스(1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점멸광를 인식하여 휴대폰에 수신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신호수신수단(20)이 필기구에만 채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가시적인 점멸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귀걸이, 반지, 팔찌 등을 포함하는 장신구에도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는 휴대폰과 일정거리 떨어져 있어도 휴대폰의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점멸광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휴대폰의 착신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침묵을 요구하는 공공장소에서 타인에게 소음피해를 주지 않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마련되어 그 케이스(10)의 조작에 의해 출몰되는 펜심(11)을 구비하여 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케이스(10)의 내부에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가시적인 점멸광으로 변환시키는 신호수신수단(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수단(20)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휴대폰의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21)와, 상기 안테나부(21)로부터 제공받은 미세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2)와, 전원부(20b)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20b)로부터 일정전압을 공급받아 점멸광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LED 전구(25)와, 상기 증폭부(22)로부터 증폭 주파수를 제공받아 상기 LED 전구(25)에 구동명령을 제공하는 LED 구동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구동부(23)는,
    상기 LED전구(25)가 일정시간 동안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KR2020000020731U 2000-07-20 2000-07-20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KR200205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31U KR200205609Y1 (ko) 2000-07-20 2000-07-20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31U KR200205609Y1 (ko) 2000-07-20 2000-07-20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609Y1 true KR200205609Y1 (ko) 2000-12-01

Family

ID=1966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31U KR200205609Y1 (ko) 2000-07-20 2000-07-20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901B1 (ko) 휴대용통신장치
US20080020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misplaced items
US20070222592A1 (en) Locator-clip for electronic devices
KR200205609Y1 (ko) 휴대폰 착신신호 수신용 필기구
JPH0897892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US6831567B2 (en) Clamping device having loss-guard function
JP2006217346A (ja) 携帯端末、充電装置、通信システムユニット、報知制御方法、報知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049211U (ja) 無線電話機用の着信報知機能付装身具
US6833794B2 (en) Power-saving clamping device having a loss-guard function
KR200222397Y1 (ko) 휴대폰용 핸드프리키트
KR20020078411A (ko) 휴대폰의 위치 알람 서비스방법
JPH0276422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003228460A (ja) 携帯情報端末用スタイラスおよびスタイラスを備える携帯情報端末
JPH08223257A (ja) 電話機用着信通報装置
JP3045687U (ja) 携帯電話の利用報知装置
KR200164910Y1 (ko)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KR200163811Y1 (ko) 휴대폰커버
JP3069564U (ja) アクセサリ
JP2000151765A (ja) 無線端末
KR200241000Y1 (ko) 휴대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
KR20060059105A (ko)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3053197U (ja) 着信表示筆記具
JP2000244612A (ja) 着信自動切換機能を備えた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200317845Y1 (ko) 휴대폰용 무선마이크
KR200210763Y1 (ko) 휴대형 전화기의 착신 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