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105A -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105A
KR20060059105A KR1020040098279A KR20040098279A KR20060059105A KR 20060059105 A KR20060059105 A KR 20060059105A KR 1020040098279 A KR1020040098279 A KR 1020040098279A KR 20040098279 A KR20040098279 A KR 20040098279A KR 20060059105 A KR20060059105 A KR 2006005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성
이원영
김기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9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9105A/ko
Publication of KR2006005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휴대하지 않고 가방과 같은 다른 곳에 보관한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가 알림할 수 없는 상태에 있더라도 그 착신 신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림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 신호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알리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 알림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착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변조 방식 또는 비트패턴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상기 변조 방식 또는 비트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착신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2 표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착신 신호 송신부 및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이 동일한 경우 제2 표시부로 하여금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세서리에 착신 신호 알림장치가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액세서리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자의 몸에 지니게 되어 착신 신호의 수신여부를 특정 음이나 진동 또는 램프의 점멸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있든, 사용자와 떨어진 곳에 놓은 상태에서든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착신 신호를 놓치지 않기 위해 착신 벨소리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개적인 장소에서 일어나는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충전지의 전체 소비 전류를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걸려온 착신 신호에 따라서만 착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서, 주위의 타 단말기에 걸려온 착신 신호에 동작하는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액세서리, 변조 신호, 비트패턴,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초광대역 통신시스템(Ultra Wide Band; UWB)

Description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RRIVAL OF THE POST SIGNAL INFORMATION DEVIC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어부
21; RF부 22; 저장부
23; 표시부 24; 키패드
25; 착신 신호 송신부 30; 착신 신호 알림장치
31; 착신 신호 수신부 32; 비교부
33; 제2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 기를 손에 휴대하지 않고 가방과 같은 다른 곳에 보관한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가 알림할 수 없는 상태에 있더라도 그 착신 신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림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은 고주파의 무선신호를 공간으로 방사하거나 공간으로부터 흡수하는 안테나(ANT)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테나(ANT)에는 RF부(112)가 접속되어 있다.
RF부(112)에는 송신부(미도시)와 수신부(미도시)가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송신부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한 후 고주파 대역으로 변조하여 RF부(112)를 경유하여 안테나(ANT)로 송출하고, 수신부는 안테나(ANT)로부터 RF부(112)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고주파의 수신신호를 증폭한 후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송출한다. 송신부 및 수신부에는 기지국(미도시)과의 신호교환. 음성교환 등을 담당하는 제어부(110)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114)는 일반적으로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호출음 발생기, 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포함한다.
한편, 단말기(100)에는 제어부(110)에 접속된 키패드(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키패드(116)에는 다이얼버튼 및 기능버튼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단말기 의 사용과 관련된 여러 가지 개선할 사항이 많이 노출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서, 지하철이나 버스 안과 같이 주변이 시끄러운 경우, 사용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울리는 착신 신호를 잘 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특히, 일부 단말기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기를 핸드백이나 가방 또는 쌕(Sack)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의 착신 신호의 수신시 벨음량을 사무실에서 잘 들을 수 있는 음량을 기준으로 설정한 상태이거나 진동으로 설정한 상태라면, 단말기의 부저(Buzzer) 또는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울리는 착신 신호가 주변의 소음 때문에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율은 항상 착신호를 들을 수 있는 상황에서 측정하고 있지만,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결과적으로 수신자가 전화를 받아서 원하는 통화를 할 수 있어야 성공적인 수신으로 간주된다. 즉, 수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지고 있지만 착신 신호를 듣지 못해서 "부재중 전화" 메시지가 표시된다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결과적으로 수신에 실패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저 또는 스피커의 음량을 크게 높여서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여 충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한,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는 필요 이상의 소 음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소음은 그 정도를 넘어서 사회 문제로까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 속에 넣어두거나, 또는 기타 장소에 두고 있을 때, 단말기 자체의 벨소리나 진동소리 이외에 단말기에 수신된 착신 신호를 알려주는 별도의 알림장치가 다양하게 개시된 바 있다.
이를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매달거나 안테나 부위에 장착하는 액세서리 형태의 발광장치가 있으며, 이는 착신 신호 수신시 단말기에 유입되는 전파에 의해 발광장치가 구동하여 사용자가 이를 알림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알림장치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바로 장착하여 액세서리 기능 및 착신 신호 알림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의 경우, 단말기에 수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램프를 점멸 또는 발광하게 되는 바, 이와 유사한 단말기가 서로 가까이 있을 때에는 근접한 단말기에 장착된 알림장치가 모두 발광하게되어 어떤 단말기에 전화가 걸려온 것인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세서리에 착신 신호 알림장치가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액세서리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자의 몸에 지니게 되어 착신 신호의 수신여부를 특정 음이나 진동 또는 램프의 점멸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있든, 사용자와 떨어진 곳에 놓은 상태에서든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는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이 착신 신호를 놓치지 않기 위해 착신 벨소리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개적인 장소에서 일어나는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충전지의 전체 소비 전류를 절약할 수 있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걸려온 착신 신호에 따라서만 착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서, 주위의 타 단말기에 걸려온 착신 신호에 동작하는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신호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알리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 알림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착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변조 방식 또는 비트패턴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상기 변조 방식 또는 비트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착신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2 표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착신 신호 송신부 및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이 동일한 경우 제2 표시부로 하여금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 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착신 신호 알림장치는 반지, 시계, 팔지, 벨트 등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고 착신 신호를 알림할 수 있는 액세서리에 부가 또는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신호 알림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은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및 초광대역 통신시스템(Ultra Wide Band; UW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표시부는 점멸 또는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또는 특정 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착신 신호 알림장치(30)를 팔목에 장착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가방(B) 안에 들어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착신 신호 알림장치(30)는 액세서리 중 팔찌로 구성되도록 나타낸 것이며, 단말기(10)에 착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팔찌(30)가 단말기(10)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받아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착신 신호 알림장치(3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크게 단말기(10)와 착신 신호 알림장치(30) 즉, 액세서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20), 저장부(22), RF부(21), 표시부(23), 키패드(24) 및 착신 신호 송신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액세서리(30)는 착신 신호 수신부(31), 비교부(32), 제2 표시부(33)로 구성된다. 물론,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착신 신호 알림장치(3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나열한 것일 뿐,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22)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체적인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저장부 반도체인 RAM(정보의 기록과 삭제가 자유롭지만, 전원이 끊기면 저장된 데이터가 없어지는 휘발성 저장부)과 ROM(전원이 끊어져도 저장됐던 데이터가 없어지지 않으나, 일단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소거가 불가능하여 정보의 기록과 삭제가 불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부)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저장부(2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착신 신호 알림장치(3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일정 구역안에 다수개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 구분을 위하여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FH) 변조 방식을 채택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외에도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와 비트패턴을 적용하여 간단히 사용자 구분이 가능하다.
제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착신 신호의 수신시 이를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의 변조 방식과 비트패턴 등을 사용하여 착신 신호 송신부(25)로 하여금 착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RF부(21)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처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부(23)는 통상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키패드(24)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문자 메시지 작성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 # 등; 미도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착신 신호 송신부(25)는 ISM(산업ㆍ과학ㆍ의료(Indu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에서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 등의 변조 기술을 이용, 착신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전송변조 방식으로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30)의 착신 신호 수신부(31)에서 적은 전력과 단순한 구조로써 복조를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은, 예를 들어 비동기(Noncoherent) 방식 의 복조가 가능한 ASK, FSK 등이 가능하며 저 전력 통신이 가능한 초광대역 통신시스템(Ultra Wide Band; UWB)도 좋은 방식이 될 수 있다.
인체에 부착되어 있는 액세서리(반지, 팔찌, 목걸이 등; 30)의 착신 신호 수신부(3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착신 신호 송신부(25)로부터 송신된 착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착신 신호 송신부(25)에서의 변조 방식에 상응하는 복조를 취함으로써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되는 착신 신호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교부(32)를 통해 수신된 착신 신호를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고유 비트패턴 등과 비교하여 그 비트패턴 등이 상호 일치할 경우에 이를 제2 표시부(33)로 전송하도록 하게 된다.
제2 표시부(33)는 착신 신호 송신부(25)로부터 송신되는 착신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착신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미도시)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또는 빛을 점멸시켜 방사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로 하여금 특정 음, 진동, 발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알리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대방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화를 걸면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착신 신호가 전송된다(S10). 여기 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환경 설정 메뉴(미도시) 등에 착신 확인 알림장치(30)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모드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안테나(ANT)를 통해 착신 신호가 수신되게 되면(S10), 제어부(20)는 착신 확인 알림메뉴 모드(미도시)가 활성화 되어있는지를 확인한 다음(S20), 해당 모드에 따라 착신 신호 송신부(25)로 하여금 착신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게 한다(S30). 여기서, 착신 신호 송신부(25)에 의해 출력되는 착신 신호의 전송거리는 반경 5m 내로 제한하여 단말기(10) 사용자의 구분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서리(30)에 부착 또는 내장되어 있는 착신 신호 수신부(3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착신 신호 송신부(25)로부터 송신된 착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S40), 비교부(32)에서 수신된 착신 신호를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고유 비트패턴 등과 비교하여(S50) 그 비트패턴 등이 상호 일치할 경우에 이를 제2 표시부(33)로 전송하도록 하게 된다.
예를 들어, 4비트로 가능한 16가지 패턴 중 0000과 1111을 제외한 14가지 패턴으로 좁은 공간에서 14명까지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0001, 0010, 0100, 1000 등).
그리고 제2 표시부(33)는 전송되는 착신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착신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미도시)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또는 빛을 점멸시켜 방사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로 하여금 특정 음, 진동, 발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알리게 되는 것이다(S60).
이렇게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30)를 통해 단말기(10)에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cellular phone), PDA폰, DMB 단말기, 휴대인터넷 단말기 등의 범주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액세서리는 반지, 팔지, 귀걸이, 목걸이, 배꼽링, 시계 등의 범주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메뉴 모드 중 키패드를 이용하여 착신 신호를 착신 신호 수신부로 송신하여 제2 표시부로 하여금 착신 신호의 수신 여부를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모드를 추가로 마련하여 사용자가 제2 표시부로 하여금 착신 신호의 수신 여부를 표시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액세서리에 착신 신호 알림장치가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액세서리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자의 몸에 지니게 되어 착신 신호의 수신여부를 특정 음이나 진동 또는 램프의 점멸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있든, 사용자와 떨어진 곳에 놓은 상태에서든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착신 신호를 놓치지 않기 위해 착신 벨소리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개적인 장소에서 일어나는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충전지의 전체 소비 전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걸려온 착신 신호에 따라서만 착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서, 주위의 타 단말기에 걸려온 착신 신호에 동작하는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착신 신호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알리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 알림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착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변조 방식 또는 비트패턴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상기 변조 방식 또는 비트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착신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2 표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착신 신호 송신부 및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상기 변조 신호 또는 비트패턴이 동일한 경우 제2 표시부로 하여금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 알림장치는 반지, 시계, 팔지, 벨트 등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고 착신 신호를 알림할 수 있는 액세서리에 부가 또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신호 알림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은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및 초광대역 통신시스템(Ultra Wide Band; UW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점멸 또는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또는 특정 음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98279A 2004-11-26 2004-11-26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59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279A KR20060059105A (ko) 2004-11-26 2004-11-26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279A KR20060059105A (ko) 2004-11-26 2004-11-26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105A true KR20060059105A (ko) 2006-06-01

Family

ID=3715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279A KR20060059105A (ko) 2004-11-26 2004-11-26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91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471A (ko) * 2016-11-30 2018-06-11 (주)이코모스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1983595B1 (ko) * 2017-12-29 2019-05-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진동 알림 장치 및 진동 알림 장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471A (ko) * 2016-11-30 2018-06-11 (주)이코모스 단말 연동을 통한 휴대용 조명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1983595B1 (ko) * 2017-12-29 2019-05-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진동 알림 장치 및 진동 알림 장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184B1 (ko) 입호출 시스템
US6650231B1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system
JPH09331577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またはその着信報知装置
US20080268780A1 (en) Wireless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3224626A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で用いられる着信通知制御方法、及び着信通知制御プログラム
JPH1051527A (ja) 携帯電話装置
KR20060059105A (ko) 착신 신호 알림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H11346389A (ja) 忘れ物防止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H08149183A (ja) 振動呼び出し装置
KR20030041567A (ko) 휴대폰의 스누즈 알람방법
JP2004260540A (ja) 携帯電話装置
JP2003333130A (ja) 着信報知装置
KR200172765Y1 (ko) 휴대용 전화 벨소리 알림 진동 장치
JP2000032092A (ja) 着信報知装置及び着信報知機能付時計
KR20000020848U (ko) 반지형태를 갖는 무선호출 수신기
JPH08280067A (ja) 携帯電話機用呼出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3038786U (ja) 着信報知機能付き装身具
JP2000295321A (ja) 着信報知呼出装置
JPH08331652A (ja) 無線通信機器
JP2005223889A (ja) 報知装置、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0244612A (ja) 着信自動切換機能を備えた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200323771Y1 (ko) 이동통신 휴대폰의 무선 착신 장치
KR200402242Y1 (ko) 휴대폰 착신신호 인식 및 송 수신장치
JPH09270844A (ja) 自動ダイヤル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ダイヤル方法
JP3045687U (ja) 携帯電話の利用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