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910Y1 -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 Google Patents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910Y1
KR200164910Y1 KR2019990015158U KR19990015158U KR200164910Y1 KR 200164910 Y1 KR200164910 Y1 KR 200164910Y1 KR 2019990015158 U KR2019990015158 U KR 2019990015158U KR 19990015158 U KR19990015158 U KR 19990015158U KR 200164910 Y1 KR200164910 Y1 KR 200164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lephone
microcontroller
keypad
light
flash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5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정면에 배치되고, 데이터 입력을 위한 다수 개의 키들을 구비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는 전구를 구비하여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손전등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야간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위급함을 알릴 수 있는 도구 또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PORTABLE TELEPHONE WITH FLASHLIGHT}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집적 회로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은 휴대용 전화기(portable telephone)를 탄생시켰고, 최근에는 소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용 전화기의 부가 기능으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이 되면 벨이 울리는 알람(alarm) 기능, 음성 다이얼 기능, 단축 다이얼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들은 모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 것들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전화기(1)의 본체(2)에는 스피커(3), LCD 패널(4), 키 패드(5), 마이크로 폰(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전화기(1)는 상기 본체(2)와 힌지(hinge) 결합된 플립(flip; 7), 그리고 안테나(8)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로부터 상기 플립(7)이 분리되면, 상기 LCD 패널(4)에 구비되 소형 전구(미 도시)가 발광하여 야간에도 LCD 패널(4)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손전등은 지하 주차장, 극장과 같은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손전등을 항상 휴대하고 다니기는 매우 번거러운 일이다.
최근에는 성인의 대부분이 개인용 휴대 전화기(핸드폰)를 가지고 다닌다. 하지만, 상기 LCD 패널(4)에 구비된 소형 전구의 불빛은 매우 약하여 LCD 패널(4)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와 숫자를 겨우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이므로, 손전등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전등처럼 밝게 발광하는 전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전화기 12 : 휴대용 전화기 본체
13 : 이어폰 14 : LCD 패널
15 : 키 패드 16 : 마이크로 폰
17 : 플립 18 : 안테나
19 : 전구 21 : 정면
22 : 상부면 23 : 옆면
24 : 하부면 100 : 마이크로 컨트롤러
110 : 인에이블 회로 120 : 배터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정면, 후면, 상부면, 하부면, 그리고 두 개의 옆면들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정면에 배치되고, 데이터 입력을 위한 다수 개의 키들을 구비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발광 수단이 발광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동작을 중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수단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깜박이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전구를 구비하여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손전등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야간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위급함을 알릴 수 있는 도구 또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전화기(10)의 본체(12)는 정면(21), 후면(미 도시), 상부면(22), 하부면(24), 그리고 두 개의 옆면들(23)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전화기(10)의 정면(21)에는 이어폰(earphone; 13),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패널(14), 데이터 입력을 위한 다수 개의 키들을 구비한 키 패드(15), 및 음성 신호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로 폰(16)이 차례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화기(10)는 본체(12)와 힌지 결합된 플립(17), 안테나(18), 그리고 손전등에 구비되는 전구와 동일한 소형 전구(19)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전화기(10)는 상기 키패드(1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상기 키 패드(15)로부터입력되는 전화 번호,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폰(16)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무선 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조한 후 상기 안테나(18)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상기 안테나(18)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13)로 출력한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10)는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상기 키 패드(15)로부터 상기 전구(19)를 발광시키기 위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두 개의 제어 신호들(A, B)을 발생한다. 인에이블 회로(110)는 앤드 게이트(AND gate; 112)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신호들(A, B)에 응답하여 상기 전구(19)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C)를 발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5)에 구비된 메뉴 선택 키를 이용하여 '손전등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하이 레벨(논리 '1')의 제어 신호들(A, B)을 발생한다. 상기 인에이블 회로(110)는 상기 제어 신호들(A, B)이 모두 하이 레벨일 때 상기 전구(19)을 발광시키기 위한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C)를 발생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상기 제어 신호들(A, B)이 모두 하이 레벨인 상태(상기 전구가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흐르면 상기 제어 신호들(A, B)을 로우 레벨(논리 '0')로 천이시킨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100)는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데, 장시간 전구(19)를 발광시키면, 배터리(120)의 전력 소모가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5)에 구비된 메뉴 선택 키를 이용하여 '비상등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하이 레벨(논리 '1')의 제어 신호들(A, B)을 발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 신호(B)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와 같이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로 번갈아 천이된다. 그 결과, 상기 인에이블 회로(110)로부터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C)는 상기 제어 신호(B)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로 번갈아 천이된다. 상기 전구(19)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C)에 응답하여 일정 시간마다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는 야간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위급함을 알릴 수 있는 도구 또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구(19)를 발광시키기 위해 메뉴 선택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였으나, 휴대용 전화기의 정면(21) 또는 옆면(23)에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전구(19)가 온/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패드(15)에 구비된 다수 개의 키들을 조합하여 '손전등 기능', '비상등 기능', '전구 온', 그리고 '전구 오프'와 같은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화 번호 단축 다이얼 기능과 같이 두 개의 번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되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고안의 범위에는 다양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청구 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전화기는 전구를 구비하여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손전등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야간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위급함을 알릴 수 있는 도구 또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정면, 후면, 상부면, 하부면, 그리고 두 개의 옆면들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정면에 배치되고, 데이터 입력을 위한 다수 개의 키들을 구비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발광 수단이 발광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 수단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깜박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KR2019990015158U 1999-07-27 1999-07-27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KR200164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158U KR200164910Y1 (ko) 1999-07-27 1999-07-27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158U KR200164910Y1 (ko) 1999-07-27 1999-07-27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910Y1 true KR200164910Y1 (ko) 2000-02-15

Family

ID=1958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158U KR200164910Y1 (ko) 1999-07-27 1999-07-27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9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760B1 (ko) 조명램프를 가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US6959208B2 (en) Portable terminal
KR101099155B1 (ko)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특정 출력 및 그방법
JP4147016B2 (ja) 携帯端末
US20040012531A1 (en) Mobile terminal device
JPH10215302A (ja) 携帯電話機
KR200164910Y1 (ko) 전구를구비한휴대용전화기
US2004022472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tegral laser pointer
JP2009027713A (ja) 携帯電話装置
KR20000016593U (ko) 랜턴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KR200294808Y1 (ko) 라이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JP4336361B2 (ja) 携帯端末
JPH08186870A (ja) 携帯用通信機
JP4256908B2 (ja) 携帯端末
JP4256907B2 (ja) 携帯端末
KR200185695Y1 (ko) 플래시와 라이터를 구비한 다기능 무선전화기
KR200163680Y1 (ko) 다번호휴대용전화기
KR200318715Y1 (ko) 휴대폰용 외부 착신신호 인식장치
JPH0595395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356200B1 (ko) 휴대폰용 통화상태 표시장치
JP2001186225A (ja) 携帯電話機
KR20040016777A (ko) 라이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KR200241236Y1 (ko) 휴대형 무선전화기 모국
KR200214781Y1 (ko) 조명램프를 가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JP4514815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