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789Y1 -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 Google Patents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789Y1
KR200204789Y1 KR2020000018251U KR20000018251U KR200204789Y1 KR 200204789 Y1 KR200204789 Y1 KR 200204789Y1 KR 2020000018251 U KR2020000018251 U KR 2020000018251U KR 20000018251 U KR20000018251 U KR 20000018251U KR 200204789 Y1 KR200204789 Y1 KR 200204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sub
warp
brake
g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헌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18Coke ra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크스 설비의 서브와프로부터 밸트 콘베이어로 코크스를 낙하이동시키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지역에서 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코크스를 불출함으로서 수송효율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브와프의 하단에 날개형 게이트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게이트 부재의 일측에는 밸트 콘베이어의 과적시 상기 게이트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 1브레이크부가 위치되며, 상기 서브 와프상에 코크스가 없는 경우 상기 게이트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 2브레이크부가 연이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서브와프의 상부측에는 서브와프내의 코크스 상,하한을 검출하는 레벨센서들이 복수개 장착되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COKES IN SUB WHARF}
본 고안은 코크스 설비의 서브와프로부터 밸트 콘베이어로 코크스를 낙하이동시키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지역에서 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코크스를 불출함으로서 수송효율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생산설비에서 서브와프(sub wharf)(100)란 경사진 바닥면을 갖고서 그 상부에 코크스(C)를 적치하고, 사용시마다 이를 하부측의 밸트 콘베이어(110)로 불출하여 사용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서브 와프(100)는 코크스 생산설비의 메인 와프(미도시)로부터 코크스 공급이 중단되는 돌발사고시나, 또는 정기적인 수리작업시 이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와프(100)의 하단 게이트를 구성하는 차단판(112)과, 상기 차단판(112)을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웨이트(115)들을 갖추고, 상기 차단판(112)과 웨이트(115)들은 각각 중간부분이 힌지축(120)을 구성하는 연결대(122)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웨이트(115)부분을 하부로 누르면 상기 차단판(112)이 상승되어 서브 와프(100)의 하단이 열리게 됨으로서 경사면상의 코크스(C)는 그 하부측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밸트 콘베이어(110)상에 낙하되어 사용개소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서브 와프(100)는 차량에 적재된 코크스(C)가 상기 경사면으로 낙하되는 경우, 그 충격력에 의해서 작업장 주위에는 다량의 코크스(C) 분진이 발생되고, 이러한 상황은 상기 서브 와프(100)내의 경사면을 따라서 코크스(C)가 하강하는 경우에도 발생되어 작업장에는 항상 다량의 분진이 존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서브 와프(100)는 그 게이트를 열기 위하여 작업자가 웨이트(115)를 눌러서 차단판(112)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러한 게이트 개방작동은 여러번 반복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자에게는 많은 작업부하를 주게 되고, 분진에 의한 산업재해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 와프(100)는 비교적 높은 장소에 위치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재해와도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으며, 서브와프(100)의 게이트 위치가 코크스(C)를 이송시키는 밸트 콘베이어(110)의 상부측에 위치됨으로써 설비의 작동 및 점검, 수리에 더욱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 와프(100)는 작업자의 수조작에 의해서 게이트가 열림으로써 코크스(C)의 불출중에 코크스(C)를 다량으로 과불출하게 되어 그로 인하여 밸트 콘베이어(110)에 코크스(C)를 과적시키고, 그로 인하여 과적에 의한 설비트러블을 많이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트의 개폐작동을 자동으로 이룸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산업재해의 발생을 방지하고, 밸트 콘베이어상의 과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서브와프로부터 코크스를 불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크스 자동불출장치가 서브 와프에 장착된 구성도;
도 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갖춰진 날개형 게이트의 외관 사시도;
b)는 날개형 게이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의 베어링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의 초음파 레벨센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갖춰진 브레이크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갖춰진 브레이크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게이트부재 7..... 중심축
12.... 베어링부재 30.... 제 1브레이크부
32.... 브레이크 드럼 36.... 브레이크 레버
38.... 지지 프레임 40.... 힌지축
42.... 스프링 45.... 와이어 로프
50.... 작동레버 60.... 제 2브레이크부
63.... 구동 실린더 65.... 로드
75a,75b... 센서 80.... 제어부
100... 서브 와프 110... 밸트 콘베이어
C..... 코크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크스 설비의 서브와프로부터 밸트 콘베이어로 코크스를 낙하이동시키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와프의 하단에는 날개형 게이트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게이트 부재의 일측에는 밸트 콘베이어의 과적시 상기 게이트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 1브레이크부가 위치되며, 상기 서브 와프상에 코크스가 없는 경우 상기 게이트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 2브레이크부가 연이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서브와프의 상부측에는 서브와프내의 코크스 상,하한을 검출하는 레벨센서들이 복수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1)는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설비의 서브와프(100)로부터 밸트 콘베이어(110)로 코크스(C)를 낙하이동시키도록 서브와프(100)의 하단에 날개형 게이트부재(5)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날개형 게이트부재(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중심축(7)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날개(9)들을 장착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6개의 날개(9)를 가진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4개 또는 8개등 상기 날개(9)의 숫자와는 무관하게 상기 게이트부재(5)가 회전하여 그 하부측으로 코크스(C)를 불출하는 것이면, 그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기 게이트부재(5)는 그 중심축(7)이 서브와프(100)의 하단에 위치되고 그 양단이 베어링(1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일측단부에는 제 1 및 제 2브레이크부(30)(60)가 위치된다.
상기 제 1브레이크부(30)는 상기 게이트부재(5)의 일측에 밸트 콘베이어(110)의 과적시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7)의 단부에 브레이크 드럼(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7)의 양외측으로 브레이크 라이너(34)를 표면에 장착한 브레이크 레버(36)들이 위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36)들은 그 하단 중앙이 서브 와프(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38)상에서 힌지(40)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레버(36)의 상단에는 그 사이에 스프링(42)이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42)을 관통하도록 와이어 로프(45)가 끼워지며, 상기 와이어 로프(45)의 끝단은 일측 브레이크 레버(36)에 연결되고, 타측 브레이크 레버(36)는 관통되며, 다수의 풀리(47)들을 통하여 연장되어 작동레버(5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작동레버(50)는 그 중앙이 힌지(52)로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하단은 밸트 콘베이어(110)의 상부측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밸트 콘베이어(110)의 상부측에 일정 높이로 적재된 코크스(C)에 의해서 작동레버(50)가 회전되면 상기 작동레버(50) 상단의 와이어로프(45)를 당기게 된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레버(36)의 상단 일측에는 와이어 로프(45)가 관통되는 지지대(55)가 갖춰지고, 상기 지지대(55)와 풀리(47)들은 프레임(38)에 연결된 고정대(58)상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레버(50)의 중간 회전축(52)도 고정대(58)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브레이크부(30)는 상기 작동레버(50)가 회동되면 이는 와이어 로프(45)를 당겨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36)들이 서로 근접되도록 오므리게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라이너(34)들이 브레이크 드럼(32)을 견고히 밀착하여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작동레버(50)의 하단이 밀리도록 하는 작용력이 제거되면, 상기 브레이크 레버(36)사이의 스프링(42)으로 인하여 브레이크 레버(36)의 상단은 최초의 위치로 분리 이격되고, 그에 따라서 브레이크 드럼(32)으로부터 브레이크 라이너(34)가 분리되어 브레이크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게이트부재(5)의 중심축(7)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브레이크부(30)에 인접하여서는 서브 와프(100)상에 코크스(C)가 없는 경우,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 2브레이크부(60)가 연이어 배치되는 바, 상기 제 2브레이크부(60)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63)의 로드(65)에 와이어 로프(45)가 연결되어 브레이크 작동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는 제 1브레이크부(30)와 동일하게 상기 중심축(7)의 중간부분에 브레이크 드럼(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7)의 양외측으로 브레이크 라이너(34)를 표면에 장착한 브레이크 레버(36)들이 위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36)들은 그 하단 중앙이 상기 지지 프레임(38)상에서 힌지(40)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36)의 상단에는 그 사이에 스프링(42)이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42)을 관통하도록 와이어 로프(45)가 끼워지며, 상기 와이어 로프(45)의 끝단은 일측 브레이크 레버(36)에 연결되고, 타측 브레이크 레버(36)는 관통되며, 상기 구동실린더(63)의 작동로드(6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63)의 작동은 와이어 로프(45)를 당기는 경우, 브레이크 레버(36)의 간격을 줄여서 브레이크 작동을 이루고, 상기 구동실린더(63)의 작동이 해제되면, 스프링(42)의 작용력으로서 브레이크 작동이 해제되어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와프(100)의 상부측에는 서브와프(100)내의 코크스(C) 상,하한을 검출하는 레벨센서(75a)(75b)들이 복수개 장착되고, 이들은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상기 상한 레벨센서(75a)(75b)는 서브 와프(100)내에 코크스(C)가 장입되어 서브와프(100) 상단의 상기 센서(75b)로부터 이와 같은 상황이 검출되면, 이는 제어부(80)에서 메인와프(100)(미도시)의 코크스(C) 불출작동을 멈추도록 하고, 구동실린더(63)에 의해서 브레이크 작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게이트부재(5)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한레벨센서(75a)에 의해서 서브와프(100)의 경사면상에 코크스(C)가 없음이 검출되면, 상기 구동실린더(63)를 작동시켜서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메인 와프(미도시)를 작동시키고, 게이트부재(5)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서브와프(100)로부터 코크스(C)의 불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상,하한 레벨센서(75a)(75b)는 각각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초음파를 각각 반복적으로 발사하여 그 되돌아오는 시간을 검출하여 코크스(C)의 존재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1)는 서브와프(100)의 경사면에 코크스(C)가 장입되는 경우, 경사면을 따라서 코크스(C)가 흘러 내리면서 게이트부재(5)의 날개(9)에 부딪치면서 회전된다. 그리고 그 하부측의 밸트 콘베이어(110)에 실려 수송된다. 그러나, 경사면을 따라서 낙하되는 코크스(C)가 과불출될 수 있으므로, 밸트 콘베이어(110)의 상부에 코크스(C)가 과불출되어 높게 쌓이면 이는 이동하면서 작동레버(50)의 하단에 접촉되어 작동레버(50)를 도 7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킨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작동레버(50)의 회전은 그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로프(45)를 당기게 되어 제 1브레이크부(30)의 브레이크 레버(36)들은 그 사이 간격이 좁아들면서 그 중앙의 브레이크 드럼에 라이너(34)들이 마찰되도록 하여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은 정지되어 코크스(C)의 불출은 정지되고, 이러한 과적부가 상기 작동레버(5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제 1브레이크부(30)는 스프링(42)의 작용력으로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게이트부재(5)를 정지시켰던 브레이크 작용력이 해제되어 다시 게이트부재(5)는 회전되면서 코크스(C)를 하부로 낙하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부재(5)는 일시 정지하게 됨으로서 그 하부로 낙하하는 코크스(C)의 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밸트 콘베이어(110)상에는 코크스(C) 량이 과적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은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밸트 콘베이어(110)의 과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코크스(C)의 불출이 완료되면, 서브 와프(100)의 하한레벨 검출센서(75a)가 이와 같이 코크스(C) 불출이 완료된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하한레벨센서(75a)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80)에 송출하고, 상기 제어부(80)는 구동실린더(63)를 작동시켜서 제 2브레이크부(60)가 게이트부재(5)의 중심축(7)을 브레이크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와프(100)내에 코크스(C)가 모두 불출되어 없는 경우는, 상기 게이트부재(5)는 브레이크 감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와프(100)내에 차량에 의해서 코크스(C)를 장입하는 경우, 상기 상한 레벨센서(75b)는 서브와프(100)의 전체 레벨 2/3의 지점에서 코크스(C)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한 레벨센서(75b)가 코크스(C)의 존재를 검출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80)는 구동실린더(63)를 동작시켜서 제 2브레이크부(60)가 열리도록 하여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허용하고 코크스(C)의 불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트(115)의 개폐작동을 작업자의 수동조작이 아닌 자동으로 이룸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산업재해의 발생을 방지하고, 밸트 콘베이어(110)상의 과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3)

  1. 코크스 설비의 서브와프(100)로부터 밸트 콘베이어(110)로 코크스(C)를 낙하이동시키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와프(100)의 하단에는 날개형 게이트부재(5)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게이트부재(5)의 일측에는 밸트 콘베이어(110)의 과적시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 1브레이크부(30)가 위치되며, 상기 서브 와프(100)상에 코크스(C)가 없는 경우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 2브레이크부(60)가 연이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서브와프(100)의 상부측에는 서브와프(100)내의 코크스(C) 상,하한을 검출하는 레벨센서(75a)(75b)들이 복수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레이크부(30)는 상기 게이트부재(5)의 중심축(7) 단부에 브레이크 드럼(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7)의 양외측으로 브레이크 라이너(34)를 표면에 장착한 브레이크 레버(36)들이 위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36)들은 그 하단 중앙이 서브 와프(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38)상에서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브레이크 레버(36)의 상단에는 그 사이에 스프링(42)이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42)을 관통하도록 와이어 로프(45)가 끼워지며, 상기 와이어 로프(45)의 끝단은 일측 브레이크 레버(36)에 연결되고, 타측 브레이크 레버(36)는 관통되며, 다수의 풀리(47)들을 통하여 연장되어 작동레버(5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레버(50)는 그 중앙이 힌지(52)로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하단은 밸트 콘베이어(110)의 상부측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밸트 콘베이어(110)의 상부측에 일정 높이로 적재된 코크스(C)에 의해서 작동레버(50)가 회전되면 상기 작동레버(50) 상단의 와이어로프(45)를 당기게 됨으로써 상기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브레이크부(60)는 구동실린더(63)의 로드(65)에 와이어 로프(45)가 연결되어 브레이크 작동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는 제 1브레이크부(30)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와이어 로프(45)의 끝단은 상기 구동실린더(63)의 작동로드(65)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실린더(63)의 작동은 와이어 로프(45)를 당기는 경우, 브레이크 레버(36)의 간격을 줄여서 브레이크 작동을 이루고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상기 구동실린더(63)의 작동이 해제되면, 스프링(42)의 작용력으로서 브레이크 작동이 해제되어 게이트부재(5)의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KR2020000018251U 2000-06-27 2000-06-27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KR200204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251U KR200204789Y1 (ko) 2000-06-27 2000-06-27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251U KR200204789Y1 (ko) 2000-06-27 2000-06-27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789Y1 true KR200204789Y1 (ko) 2000-12-01

Family

ID=1966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251U KR200204789Y1 (ko) 2000-06-27 2000-06-27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7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269B1 (ko) 2014-04-29 2015-08-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감지 장치
KR101962378B1 (ko) * 2017-10-18 2019-03-26 주식회사 포스코 연료 처리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269B1 (ko) 2014-04-29 2015-08-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감지 장치
KR101962378B1 (ko) * 2017-10-18 2019-03-26 주식회사 포스코 연료 처리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53752B (zh) 用于驱动电梯的方法
US5183979A (en) Elevator governor rope restraint when elevator car moves with car doors open
KR200204789Y1 (ko)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KR101092861B1 (ko)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JPH0832542B2 (ja) 無蓋貨車の荷役装置
KR20190058887A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CN201352198Y (zh) 一种皮带撕裂检测装置
KR20190112952A (ko) 주행휠 고임장치
CN106081951B (zh) 一种高效带斗门机
US1890679A (en) Traversing hoist
JP417029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0063925A (ko) 벨트 콘베이어 과부하 방지장치
KR100306460B1 (ko) 볼밀용강구투입기
KR100744415B1 (ko) 원료 높이 감지스위치의 상승 및 하강장치
KR101196149B1 (ko) 회동에 의한 과부하 차단 기능을 구비한 수문 권양기
KR100812059B1 (ko) 언로드피더의 원료분산장치
KR100812006B1 (ko) 리클레이머 바닥 충돌 방지 장치
CN111960215A (zh) 一种电梯安全补偿系统
KR200203065Y1 (ko) 루핑드럼의 이중로킹장치
KR200243959Y1 (ko) 텐션카보호장치
KR200177197Y1 (ko) 천장 기중기의 권상 안전 장치
SU106418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ловителей подъемника
KR19990040343U (ko) 벨트콘베어의 철편위치 검출장치
CN217648667U (zh) 一种提升机监测装置及搅拌站
JP2017202903A (ja) 大塊検出装置及びアンロ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