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861B1 -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861B1
KR101092861B1 KR1020100004166A KR20100004166A KR101092861B1 KR 101092861 B1 KR101092861 B1 KR 101092861B1 KR 1020100004166 A KR1020100004166 A KR 1020100004166A KR 20100004166 A KR20100004166 A KR 20100004166A KR 101092861 B1 KR101092861 B1 KR 10109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auto
prevent
automatic
f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566A (ko
Inventor
장영태
Original Assignee
(유)금강환경
장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강환경, 장영태 filed Critical (유)금강환경
Priority to KR102010000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8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65G11/146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물체를 받아 하부로 배출시키며,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슈트의 길이가 조정되는 자동슈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슈트장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오토슈트와; 상기 오토슈트를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오토슈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호이스트장치와;상기 컨베이어벨트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받아들이고 상기 오토슈트로 보내는 호퍼와; 상기 오토슈트의 하부와 낙하된 물체의 높이와의 거리 센싱 및 상기 오토슈트의 상승시 상기 오토슈트의 상부와 메인프레임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감지부와; 상기 호이스트 장치와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호이스트 장치와 상기 오토슈트와 상기 호퍼와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토슈트는 내부가 중공이고 4각기둥 형상인 다수 개의 싱글슈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싱글슈트는 위에서부터 크기가 일정하게 커져서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이룰 수 있게 제작되어 상기 오토슈트가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토록 형성되는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슈트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이루어 낙하 되는 물체의 위치 이동 에너지가 감소되도록 하여 물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물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 장치이며, 안전장치를 강화하여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아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Auotmatic Chut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Conveyor Dis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처리장, 세멘트공장, 제철소, 화력발전소 등의 원료처리 설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어벨트에서 이송한 물체를 배출할 때 사용되어지고 배출시 슈트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낙하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하는 친환경적 자동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통형 자동슈트(800)는, 상부 일측에 형성된 모터(821)에 의해 회전연동하는 원통형의 드럼(822)에 와이어 로프(823)를 감아, 도르래(824)를 이용해서 중량물(重量物)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인 윈치(820)가 형성되고, 하부 측으로는, 컨베이어(830)를 통해 이송된 광석 등의 원료를 미끄러져 내려가게 하는 철로 제작된 다수의 원통형 싱글슈트(811)가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수직 조립된 자동슈트(810)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통형 자동슈트(800)는 이동용으로 간단히 사용하는 것으로 안전장치가 없고, 대규모 물체를 이송하는 곳에서는 실제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았으며, 컨베이어벨트에서 이송되는 물체를 받아주는 고정식 받이슈트(호퍼)가 없기 때문에 물체가 차 올라 오는 것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윈치(820)는 로프(823)를 감는 드럼(822)을 하나로 구성하기 때문에 드럼(822)의 길이가 길고 무거울 뿐만 아니라, 높이가 높을 경우 드럼(822)에 감긴 로프(823)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슈트의 길이가 조정되고, 낙하하는 물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막으며, 안전장치를 강화하여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환경보호용 자동슈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물체를 받아 하부로 배출시키며,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슈트의 길이가 조정되는 자동슈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슈트장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오토슈트와; 상기 오토슈트를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오토슈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호이스트장치와;상기 컨베이어벨트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받아들이고 상기 오토슈트로 보내는 호퍼와; 상기 오토슈트의 하부와 낙하된 물체의 높이와의 거리 센싱 및 상기 오토슈트의 상승시 상기 오토슈트의 상부와 메인프레임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감지부와; 상기 호이스트 장치와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호이스트 장치와 상기 오토슈트와 상기 호퍼와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토슈트는 내부가 중공이고 4각기둥 형상인 다수 개의 싱글슈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싱글슈트는 위에서부터 크기가 일정하게 커져서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이룰 수 있게 제작되어 상기 오토슈트가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토록 형성되는 컨베이어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이다.
최상층 싱글슈트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4변이 고정되며,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고정판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호이스팅 와이어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리브와, 상기 최상층 싱글슈트에 삽입된 하부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4면에 형성되는 4각스토퍼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는 하부 보강판으로 구성된다.
중간층 싱글슈트는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호이스팅 와이어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와, 하부에 삽입된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4면에 형성되는 4각스토퍼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는 하부 보강판으로 구성된다.
최하층 싱글슈트는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호이스팅 와이어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며 상부에 와이어 가이드 풀리가 설치되고 하부에 센서가 설치되는 하부 보강리브와, 낙하하는 물체의 비산을 막고 상기 센서를 보호하는 하부 보호스커트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슈트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이루어 낙하 되는 물체의 위치 이동 에너지가 감소되도록 하여 물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물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 장치이며, 안전장치를 강화하여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아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를 완전히 내렸을 때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를 완전히 올렸을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를 완전히 올렸을 때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호이스트장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 전체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최상층 싱글슈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중간층 싱글슈트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최하층 싱글슈트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호파 및 메인프레임 상세도
도 11에 종래의 원통형 자동슈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를 완전히 내렸을 때의 전체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전체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를 완전히 올렸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를 완전히 올렸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호이스트장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오토슈트 전체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최상층 싱글슈트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중간층 싱글슈트 상세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최하층 싱글슈트 상세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의 호파 및 메인프레임 상세도이며, 도 11에 종래의 원통형 자동슈트이다.
도 1 내지 도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오토슈트(1)와; 상기 오토슈트(1)를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오토슈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호이스트장치(2)와; 상기 컨베이어벨트(A)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받아들이고 상기 오토슈트(1)로 보내는 호퍼(3)와;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와 낙하된 물체의 높이와의 거리 센싱 및 상기 오토슈트(1)의 상승시 상기 오토슈트(1)의 상부와 메인프레임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감지부와; 상기 호이스트장치(2)와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상기 호이스트장치(2)와 상기 오토슈트(1)와 상기 호퍼(3)와 상기 제어부(5)가 설치되고 상기 호이스트장치(2)를 정비하고 상기 제어부(5)를 조작하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메인프레임(6)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오토슈트(1)는 내부가 중공이고 4각기둥 형상인 다수 개의 싱글슈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싱글슈트는 위에서부터 크기가 일정하게 커져서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이룰 수 있게 제작되어 상기 오토슈트(1)가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토록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토슈트(1)와 하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오토슈트(1)의 길이를 제어하는 다수 개의 포토센서(41)와, 상기 오토슈트(1)가 상승시 상기 메인프레임(6)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오토슈트(1)가 과도한 상승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4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메인프레임(6)에 설치되며 상기 호이스트장치(2)와 감지부를 제어하며, 제어방법 등의 상세한 내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생략한다.
상기 메인프레임(6)에는 작업공간 및 기기설치 공간에 작업공간용 플레이트(62)가 설치되며, 안전을 위하여 메인프레임(6)의 가장자리는 가이드레일(61)을 설치하며, 컨베이어벨트 프레임(A1)에 상기 메인프레임(6)을 결합시켜 상부에 매달리게 하며 작업자의 접근은 상기 컨베이어벨트(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워크웨이를 통한다.
상기 포토센서(41)은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 4면에 각 1개씩 총 4개를 설치하여 어느 하나의 상기 포토센서(41)가 설정값에 들어가면 설정된 높이만큼 상기 오토슈트(1)의 높이를 높이게 작동한다. 즉 상기 오토슈트(1)의 총 길이를 짧게 하여 상기 오토슈트(1) 내에 물체가 쌓이지 않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42)는 상기 오토슈트(1)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오토슈트(1)가 상승시 상기 메인프레임(6)과의 거리를 감지하거나 롤러 레버를 작동시켜, 상기 오토슈트(1)가 과도한 상승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설치 수량은 오작동을 오려하여 2개소 이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42)는 근접스위치 타입을 사용하거나 레버를 작동하여 신호를 보내는 기계식 타입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동슈트를 부연해서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A)에서 이송되는 물체는 상기 컨베이어벨트(A)의 말단에서 상기 호퍼(3)으로 떨어져 상기 오토슈트(1)을 타고 하부로 떨어지면 지면에 쌓여서 점점 높이가 높아지게 되며, 점점 높아진 높이를 상기 포토센서(41)에서 감지하여 설정된 높이만큼 상기 오토슈트(1)의 높이를 높이게 작동하도록 즉 상기 오토슈트(1)의 총 길이를 짧게 하여 상기 오토슈트(1) 내에 물체가 쌓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호이스트장치(2)는 동력을 제공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기어드모터(21)와, 상기 기어드모터(21)의 정역회전에 의해 와이어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와인딩 휠 드럼(22)과,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에 감기고 풀리면서 상기 오토슈트(1)의 높이를 조정하는 호이스팅 와이어(23)와,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가 수직으로 하부로 내려가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상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4a, 24b)와,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를 권취하거나 권출할 때 상기 오토슈트(1)가 상승 혹은 하강되게 하는 하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5)와, 상기 오토슈트(1)가 갑자기 상승 또는 하강되지 않게 하는 안전 보호용 언드라이빙 브레이크(26)와, 상기 제어부(5) 내에 설치되어 상기 호이스트 장치(2)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27)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패널(27)은 상기 제어부(5) 내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드모터(21)에서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으로의 동력 전달과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과 상기 언드라이빙 브레이크(26)와의 동력 전달은 상기 기어드모터(21)와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과 상기 언드라이빙 브레이크(26)에 형성된 스프로켓 휠(29)에 감긴 체인(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에서 풀린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2개의 상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4a, 24b)를 거치면서 수직으로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상기 최하층 싱글슈트(13)의 하부보강리브(133)에 설치된 하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5)를 통과해서 다시 위로 올라와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63)을 통과하여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의 일측이 고정된다.
상기 기어드모터(21)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이 회전하면서 호이스팅 와이어(23)를 감거나 풀리게 하여 상기 오토슈트(1)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포토센서(41)과 상기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42)의 센싱에 의해 길이가 조정되고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은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1개의 축으로 되어 있으나 2개로 분리하여 좌·우측의 호이스팅 와이어(23)가 평형되고 같은 속도로 권취 권출되도록 하여 상기 오토슈트(1)이 평형되게 오르내리도록 한다.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은 4개소의 베어링(221)으로 고정되어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4a, 24b)는 좌우 2개씩이며 총 4개가 설치되고 하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5)도 좌우로 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된다.
언드라이빙 브레이크(26)는 상기 오토슈트(1)가 갑자기 상승 또는 하강되지 않게 하는 안전 보호용으로 설치되어 상기 기어드모터(21)을 브레이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오토슈트(1)는 내부가 중공이고 4각기둥 형상인 다수 개의 싱글슈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싱글슈트는 위에서부터 크기가 일정하게 커져서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이룰 수 있게 제작되어 상기 오토슈트(1)가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토록 형성되며 상기 싱글슈트가 조립된 것을 보여주며, 중간층의 상기 싱글슈트는 크기만 다르지 동일한 형상이며, 2번째 싱글슈트에 상승시 상기 메인프레임(6)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오토슈트(1)가 과도한 상승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 이상의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42)가 설치된다.
상기 싱글슈트의 상세한 설명은 도 7,8 9에서 다시 서술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최상층 싱글슈트(11)는 상기 메인프레임(6)에 4변이 고정되며,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111)와, 상기 메인프레임(6)에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고정판(112)과, 상기 몸체(1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113)와, 상기 최상층 싱글슈트(11)에 삽입된 하부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11)의 4면에 형성되는 4각스토퍼(114)와, 상기 몸체(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1)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는 하부 보강판(11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12)에는 상기 메인프레임(6)에 형성된 고정판(64)의 결합홀(641)과 연결볼트(1122)로 볼트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홀(1121)이 형성된다.
상기 슈트 리브(113)에는 호이스팅 와이어(23)이 통과하기 위한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116)이 좌우 2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층 싱글슈트(11)에 삽입된 하부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11)의 4면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4각스토퍼(114)에 2번째 싱글슈트의 돌출부(126)가 닿아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중간층 싱글슈트(12)는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122)와, 하부에 삽입된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4면 둘레에 형성되는 4각스토퍼(123)와, 상기 몸체(1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는 하부 보강판(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슈트 리브(122)에는 호이스팅 와이어(23)이 통과하기 위한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125)이 좌우 2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층 싱글슈트(12)에 삽입된 또 다른 중간층 하부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21)의 4면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4각스토퍼(123)에 중간층 중 제일 위에 있는 싱글슈트의 돌출부(126)가 닿아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최하층 싱글슈트(13)는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상부에 결합되어 호이스팅 와이어(23)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132)와, 상기 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31)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며 상부에 상기 와이어 가이드 풀리(25)가 설치되고 하부에 센서가 설치되는 하부 보강리브(133)와, 낙하하는 물체의 비산을 막고 센서를 보호하는 하부 보호스커트(134)로 구성된다.
상기 슈트 리브(132)에는 호이스팅 와이어(23)이 통과하기 위한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155)이 좌우 2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상기 최하층 싱글슈트(13)가 상층의 싱글슈트에서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의 방지는 상기 중간층 싱글슈트(12)의 상기 몸체(121)의 4면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4각스토퍼(123)에 상기 최상층 싱글슈트(13)의 돌출부(136)가 닿아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한다.
상기 포토센서(41)을 보호하고 낙하된 물체와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와의 틈새를 막아주는 하부 보호스커트(134)는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두꺼운 비닐류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 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A)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받아들이고 상기 오토슈트(1)로 보내는 호퍼(3)는 상기 메인프레임(6)의 상기 컨베이어벨트(A) 쪽으로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A)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받아들이기 쉽게 한다.
노란색 부분이 상기 호퍼(3)의 상부 면적을 나타내며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며 상기 오토슈트(1)과 결합되는 부분의 호퍼슈트(31)는 상기 오토슈트(1)과 동일한 형태의 4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호퍼(1)의 경사진 안식각(α)은 이송물체가 쌓이지 않게 45°이상을 이루어야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6)은 컨베이어벨트 프레임(A1)에 결합되어 지지되어 매달리게 되며, 상기 메인프레임(6)에는 작업공간 및 기기설치 공간에는 작업공간용 플레이트(62)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62)에는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이 아래로 내려가는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63)이 형성되며, 안전을 위하여 메인프레임(6)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레일(61)을 설치하며, 작업자의 접근은 상기 컨베이어벨트(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워크웨이를 통한다.
상기 메인프레임(6)에는 상기 최상층 싱글슈트(11)의 고정판(112)와 볼트로 결합하는 고정판(6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64)에는 결합홀(611)이 형성된다.
상술한 것 같이 본 발명은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슈트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이루어 낙하 되는 물체의 위치 이동 에너지가 감소되도록 하여 물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물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 장치이며, 안전장치를 강화하여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아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 컨베이어벨트 A1 : 컨베이어벨트 프레임
B : 자동슈트장치
1 : 오토슈트 11 : 최상층 싱글슈트
111 : 몸체 112 : 고정판
1121 : 결합볼트홀 1122 : 연결볼트
113 : 슈트 리브 114 : 4각스토퍼
115 : 하부 보강판 116 :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
12 : 중간층 싱글슈트 121 : 몸체
122 : 슈트 리브 123 : 4각스토퍼
124 : 하부 보강판 125 :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
126 : 돌출부 13 : 최하층 싱글슈트
131 : 몸체 132 : 슈트 리브
133 : 하부 보강리브
134 : 하부 보호스커트 135 :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
136 : 돌출부 14 : 호이스팅 와이어 보호판
2 : 호이스트장치 21 : 기어드모터
22 : 와인딩 휠 드럼 221 : 베어링
23 : 호이스팅 와이어 24 : 상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
25 : 하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 26 : 언드라이빙 브레이크
27 : 컨트롤패널 28 : 체인
29 : 스프로켓 휠 3 : 호퍼
31 : 호퍼슈트 41 : 포토센서
42 :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 5 : 제어부
6 : 메인프레임 61 : 가이드레일
62 : 작업공간용 플레이트 63 : 호이스팅 와이어 통과홀
64 : 고정판 641 : 결합홀

Claims (4)

  1. 컨베이어벨트(A)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A)로 이송되는 물체를 받아 하부로 배출시키며,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슈트의 길이가 조정되는 자동슈트장치(B)에 있어서,
    상기 자동슈트장치(B)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오토슈트(1)와;
    상기 오토슈트(1)를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오토슈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호이스트장치(2)와;
    상기 컨베이어벨트(A)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받아들이고 상기 오토슈트(1)로 보내는 호퍼(3)와;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와 낙하된 물체의 높이와의 거리 센싱 및 상기 오토슈트(1)의 상승시 상기 오토슈트(1)의 상부와 메인프레임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감지부와;
    상기 호이스트장치(2)와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상기 호이스트장치(2)와 상기 오토슈트(1)와 상기 호퍼(3)와 상기 제어부(5)가 설치되고 상기 호이스트장치(2)를 정비하고 상기 제어부(5)를 조작하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메인프레임(6)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토슈트(1)는 내부가 중공이고 4각기둥 형상인 다수 개의 싱글슈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싱글슈트는 위에서부터 크기가 일정하게 커져서 수직방향으로 다층을 이룰 수 있게 제작되어 상기 오토슈트(1)가 텔레스코퍼 형식으로 동작 가능토록 형성되며,
    최상층 싱글슈트(11)는 상기 메인프레임(6)에 4변이 고정되며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111)와, 상기 메인프레임(6)에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고정판(112)과, 상기 몸체(111)의 상부에 결합되어 호이스팅 와이어(23)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113)와, 상기 최상층 싱글슈트(11)에 삽입된 하부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11)의 4면에 형성되는 4각스토퍼(114)와, 상기 몸체(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1)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는 하부 보강판(115)으로 구성되고,
    중간층 싱글슈트(12)는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122)와, 하부에 삽입된 싱글슈트의 이탈과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4면에 형성되는 4각스토퍼(123)와, 상기 몸체(1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는 하부 보강판(124)으로 구성되며,
    최하층 싱글슈트(13)는 형상을 이루는 4각형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상부에 결합되어 호이스팅 와이어(23)가 통과되고 슈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는 슈트 리브(132)와, 상기 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31)의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을 막아주며 상부에 와이어 가이드 풀리(25)가 설치되고 하부에 센서가 설치되는 하부 보강리브(133)와, 낙하하는 물체의 비산을 막고 센서를 보호하는 하부 보호스커트(134)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장치(2)는 동력을 제공하는 기어드모터(21)와, 와이어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와인딩 휠 드럼(22)과,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에 감기고 풀리면서 상기 오토슈트(1)의 높이를 조정하는 호이스팅 와이어(23)와,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가 수직으로 하부로 내려가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상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4)와,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23)를 권취하거나 권출할 때 상기 오토슈트(1)가 상승 혹은 하강되게 하는 하부 와이어 가이드 풀리(25)와, 상기 오토슈트(1)가 갑자기 상승 또는 하강되지 않게 하는 안전 보호용 언드라이빙 브레이크(26)와, 상기 제어부(5) 내에 설치되어 상기 호이스트 장치(2)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오토슈트(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토슈트(1)와 하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낙하된 물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오토슈트(1)의 길이를 제어하는 다수 개의 포토센서(41)와, 상기 오토슈트(1)가 상승시 상기 메인프레임(6)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오토슈트(1)가 과도한 상승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모터(21)에서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으로의 동력 전달과 상기 와인딩 휠 드럼(22)과 상기 언드라이빙 브레이크(26)와의 동력 전달은 체인(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KR1020100004166A 2010-01-18 2010-01-18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KR10109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166A KR101092861B1 (ko) 2010-01-18 2010-01-18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166A KR101092861B1 (ko) 2010-01-18 2010-01-18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566A KR20110084566A (ko) 2011-07-26
KR101092861B1 true KR101092861B1 (ko) 2011-12-14

Family

ID=4492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166A KR101092861B1 (ko) 2010-01-18 2010-01-18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83A (ko)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40B1 (ko) * 2012-01-31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
CN109132244A (zh) * 2017-06-16 2019-01-04 江苏万华液压机电有限公司 一种电动伸缩落煤管
KR102043556B1 (ko) * 2018-04-24 2019-1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CN110294258A (zh) * 2019-07-25 2019-10-01 张博 一种用于散料的多点卸料装置及带式输送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877A (en) 1978-07-24 1980-02-05 Tsukasa Kogyo Kk Unloader chute
JP2002173209A (ja) 2000-12-07 2002-06-21 Osuka Engineering:Kk 粉粒体の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877A (en) 1978-07-24 1980-02-05 Tsukasa Kogyo Kk Unloader chute
JP2002173209A (ja) 2000-12-07 2002-06-21 Osuka Engineering:Kk 粉粒体の充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83A (ko)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566A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861B1 (ko)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CN109415186B (zh) 电梯设备
JP4856750B2 (ja) 荷搬出入制御方法および荷昇降搬送設備
CN109476455B (zh) 具有特殊构造的保护顶盖的电梯设备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US11524838B2 (en) Method for discharging granular powder brought into fixed state inside hollow structure
CN101734494A (zh) 柔性可伸缩式块煤防破碎装置
CN201580821U (zh) 柔性可伸缩式块煤防破碎装置
TW201326021A (zh) 一種升降式物料平台及其使用方法
JP6626695B2 (ja) エレベーター
KR101167931B1 (ko) 건축물용 리프트
CN105712157A (zh) 一种电梯坠地缓冲设备
CN215159405U (zh) 井下煤仓放煤控制煤位防破碎装置
JP5528206B2 (ja) ボイラーの燃料供給装置
CN212315476U (zh) 链式升降机倒垛预警装置
JP718835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6249668A (zh) 升降机设备
KR20200022282A (ko) 이동형 중첩식 저장물 밀폐장치
CN108910413B (zh) 矿物运输及乘人一体化系统
JP6528746B2 (ja) マンコンベア
JP6174436B2 (ja) 高層建物の解体物搬送方法、及び搬送設備
KR101388429B1 (ko) 완충수단을 구비한 활송장치
CN221031191U (zh) 一种建筑垃圾垂直运输装置
CN109095160B (zh) 货物安全输送装置及具有安全机制的货物输送系统
WO2019028505A1 (en) RELOCATIBLE MODULAR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