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22Y1 - 호이스트용 트롤리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22Y1
KR200204522Y1 KR2020000019106U KR20000019106U KR200204522Y1 KR 200204522 Y1 KR200204522 Y1 KR 200204522Y1 KR 2020000019106 U KR2020000019106 U KR 2020000019106U KR 20000019106 U KR20000019106 U KR 20000019106U KR 200204522 Y1 KR200204522 Y1 KR 200204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hoist
groove
trolley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성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성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성산기
Priority to KR2020000019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반송용레일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고정대상물과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위치되며, 몸체 외측부와 하측 소정 위치로는 접합수단(14)이 형성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과;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서 힌지축(21)에 의해 설치되어 레일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20)와;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의 구동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0)는 몸체하우징(10)에 설치홈(12)을 형성한 후 볼베어링(31)이 설치되므로,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은 이송롤러(20)의 하부에서 이송롤러(20)를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볼베어링(31)을 사용하므로 써, 제품의 작동성 및 제품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호이스트용 트롤리 {Trolley for hoist}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중량물의 운반 및 조립작업의 반송용으로 사용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몸체 중앙부에 볼베어링을 장착하여 제품의 내마모성 및 이로 인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용 트롤리는 모노레일 및 브리지레일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반송시키는 장치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구성은 천장면과 고정된 H-BEAM(140)에 설치된 모노레일 및 브리지레일(15)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구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0)이 형성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0)이 구비되며, 몸체 하부로는 고정부(130)가 구비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0)과,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축지홈(110)에 힌지축(210)에 의해 설치되는 이송롤러(200)와,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설치홈(120)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0)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핀롤러(9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몸체하우징(100)의 접합은 통상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이스트용 트롤리는 반송용 레일인 모노레일 및 브리지레일의 내부에서 이송롤러와 핀롤러에 의해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몸체 중앙부에 설치되는 핀로러는 고정핀에 의해 축지시켜 사용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보조롤러의 재질이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므로,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금속재질의 레일과 접지 마찰력에 의해 마모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중량물의 운반 및 조립작업의 반송용으로 사용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몸체 중앙부에 볼베어링을 장착하여 제품의 내마모성 및 이로 인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가 반송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하우징 11 - 축지홈
12 - 설치홈 13 - 고정부
14 - 접합수단 16 - 단속부
20 - 이송롤러 21 - 힌지축
30 - 안내부재 31 - 볼베어링
40 - 반송용 레일 50 - 핀롤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반송용레일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고정대상물과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위치되며, 몸체 외측부와 하측 소정 위치로는 접합수단(14)이 형성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과;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서 힌지축(21)에 의해 설치되어 레일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20)와;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의 구동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0)는 몸체하우징(10)에 설치홈(12)을 형성한 후 볼베어링(31)이 설치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는 이송롤러(20)를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볼베어링(31)을 사용하므로 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가 반송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설치상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몸체하우징(10)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된다.
상기 축지홈(11)은 반송용 레일(40)의 내측부에서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 이송롤러(20)를 힌지축(21)에 의해 고정시켜 반송용 레일(40)의 내부에서 작업방향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2)은 후술될 안내부재(30)를 장착하여 이송롤러(20)에 의해 이동되는 몸체하우징(10)의 하부에서 원할한 이동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12)은 안내부재(30)인 볼베어링(31)을 장착할 수 있도록, 펀칭작업에 의해 설치홈(12)을 천공한 후 외측으로 밴딩시켜 단속부(16)를 형성한다.
이는, 상기 안내부재(30)인 볼베어링(31)을 설치홈(12) 내에 위치시킨 후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홈(12)의 외측부를 밴딩시켜 단속부(16)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12)은 안내부재(30)이 볼베어링(31)이 설치된 후 원할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볼베어링(31)의 직경보다 다소 큰 공차를 두고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단속부(16) 역시 볼베어링(31)의 외경과 동일한 원주율을 갖도록 밴딩처리하는 것일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설치홈(12)에 안내부재(30)로 볼베어링(31)을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써, 종래 핀롤러(50)보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내부재(30)인 볼베어링(31)은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30)인 볼베어링(31)외에 다른 재질 및 형상의 안내부재 역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몸체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20)의 하부에서 반송용 레일(40) 내에서 이동시 원할한 이동을 보조 및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내부재(30)를 금속재질의 볼베어링(31)을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종래의 핀롤러(50)에 비해 반송용 레일(40)과 접촉되는 부위가 최소화되어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생산성 및 제품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는 안내부재(30)로 볼베어링(31)을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종래 트롤리에 비해 작동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이송롤러의 하부로 위치되는 안내부재를 핀롤러방식이 아닌 볼베어링 방식으로 사용하므로, 작동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반송용레일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고정대상물과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위치되며, 몸체 외측부와 하측 소정 위치로는 접합수단(14)이 형성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과;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서 힌지축(21)에 의해 설치되어 레일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20)와;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의 구동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0)는 몸체하우징(10)에 설치홈(12)을 형성한 후 볼베어링(3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2)의 외측으로는 안내부재(30)인 볼베어링(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속부(1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20000019106U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0204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06U KR200204522Y1 (ko)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06U KR200204522Y1 (ko)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522Y1 true KR200204522Y1 (ko) 2000-11-15

Family

ID=1966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106U KR200204522Y1 (ko)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45B1 (ko) 2006-06-26 2008-03-07 백명령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KR20190033099A (ko) * 2017-09-20 2019-03-29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20200049730A (ko) * 2017-09-20 2020-05-08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45B1 (ko) 2006-06-26 2008-03-07 백명령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
KR20190033099A (ko) * 2017-09-20 2019-03-29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20200049730A (ko) * 2017-09-20 2020-05-08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102285406B1 (ko) * 2017-09-20 2021-08-05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102312692B1 (ko) * 2017-09-20 2021-10-18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2074C (zh) 线性致动器及其处理方法
KR200204522Y1 (ko)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160097644A (ko) 이송용 대차 시스템
JP2005081951A (ja) 摩擦駆動の台車式搬送装置
US20040178047A1 (en) Accumulation-capable curved element for a transfer system
CN113493162A (zh) 悬吊式搬运设备及其导引装置与其方向保持模块
JP2024040507A (ja) 連結機構を備えた搬送装置
KR200204523Y1 (ko) 호이스트용 트롤리
US5141100A (en) Device to convey parts to one or more processing stations and remove them
CN112591400A (zh) 一种用于输送机转向的双工位旋转台
US6311832B1 (en) Indexing beltless magnetic conveyor
JP2009200440A (ja) 基板搬送補助装置および基板搬送補助方法
ZA200407588B (en) System for conveying goods with a self-contained conveyor belt.
JPH0761570A (ja) リニアモータを用いた貨物仕分け装置
JP2000263149A (ja) プレス式孔明け用ハンドリング装置
JP2017088323A (ja) 無端搬送装置およびその接続構造
NL2025369B1 (en) Datum line assembly, conveyor assembly, and method for transporting workpieces towards a working machine
KR200227825Y1 (ko) 벨트 컨베이어의 귀환벨트용 로울러 지지장치
CN211545745U (zh) 一种带导向辊子的伸缩箱型承载梁
JPH07172537A (ja) 搬送装置
CN215796393U (zh) 可连续导向的带式输送机机尾
JPH04201131A (ja) ワークの搬送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の傾斜装置
US6415910B1 (en) Foward feed device
JPH10316061A (ja) 装軌式車両のローラ装置
KR200402420Y1 (ko) 컨베이어용 휠 샤프트의 분해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