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730A - 분리형 트롤리 - Google Patents

분리형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730A
KR20200049730A KR1020200050698A KR20200050698A KR20200049730A KR 20200049730 A KR20200049730 A KR 20200049730A KR 1020200050698 A KR1020200050698 A KR 1020200050698A KR 20200050698 A KR20200050698 A KR 20200050698A KR 20200049730 A KR20200049730 A KR 2020004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pair
bodies
air too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406B1 (ko
Inventor
정희채
김수철
Original Assignee
현덕산기주식회사
김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209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2692B1/ko
Application filed by 현덕산기주식회사, 김수철 filed Critical 현덕산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4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5Hydraulic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2Load-carriers, rollers therefor
    • B65G2812/18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자동차 등을 조립하는 이송컨베이어라인의 에어공구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분리형 트롤리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트롤리는 C레일에 설치되는 분리형 트롤리로서,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하측에 관통형성되고, 분리형성되고 대칭되는 한 쌍의 트롤리본체;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어느 하나의 트롤리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송롤러;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다른 하나의 트롤리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송롤러;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트롤리{a separable trolley}
본 명세서는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 등을 조립하는 이송컨베이어라인의 에어공구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분리형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소형 부품 등을 운반 또는 조립할 경우, 조립라인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에어공구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에어공구가 장착되는 트롤리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 조립라인 등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에어튜브 일체형 에어공구레일(A)은,
상측에 에어(압축공기를 말함)가 공급되는 관(官)형태의 에어튜브(1)와 하측에 수용공간부(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3)이 복수개 형성되는 몸체(4)와,
수용공간부(2)에 롤러(5)가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조립되는 트롤리(6)와,
슬라이딩홈(3)에 결합되는 연결구(7)에 상단이 연통되고, 트롤리(6) 하단에 연결되는 에어공구(미 도시됨)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스프링호스(8)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트롤리(6)는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임의형상을 갖는 플레이트형태의 트롤리바디(9)(도면에 미 도시 되었으나, 트롤리바디(9)가 단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와,
몸체(4)의 수용공간부(2)에 조립되어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트롤리바디(9)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롤러(5)를 구비한다.
이때, 자동차 조립라인(일반적으로, 50 - 100m 길이를 갖도록 설치됨)에 에어공구레일(A)을 초기에 설치하는 경우에, 롤러(5)가 장착된 한 쌍의 트롤리바디(9)를 일체화시킨 트롤리(6)를 몸체(4)의 수용공간부(2)의 일단 또는 타단 개구부를 통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에어공구레일(A)에 트롤리(6)를 조립시 큰 어려움이 없게 된다.
한편, 트롤리(6)가 조립된 에어공구레일(A)을 조립라인에 이미 설치한 상태에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트롤리(6)를 에어공구레일(A)에 추가 설치해야될 상황이 발생되곤 한다.
이때, 에어공구레일(A)의 수용공간부(2) 양단 개구부가 캡(9)이 장착되어 있어 막혀 있는 경우, 또는 수용공간부(2) 양단 개구부에 놓여 있는 장애물의 간섭을 받게 될 경우에, 롤러(5)와 트롤리바디(9)가 일체형으로 조립된 트롤리(6)를 에어공구레일(A)의 양단 개구부를 통하여 수용공간부(2)에 조립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07217호에 에어공구레일 유닛 및 그 유닛을 포함한 에어공구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트롤리가 조립된 에어공구레일이 이송컨베이어라인에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도 추가되는 트롤리를 에어공구레일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실용성을 갖도록 한, 분리형 트롤리와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트롤리는 C레일에 설치되는 분리형 트롤리로서,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하측에 관통형성되고, 분리형성되고 대칭되는 한 쌍의 트롤리본체;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어느 하나의 트롤리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송롤러;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다른 하나의 트롤리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송롤러;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를 분리하여, C레일의 절개부를 통해, 장착 또는 탈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트롤리가 조립된 에어공구레일이 이송컨베이어라인에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공구레일의 양단 개구부가 캡이 장착되어 막혀 있거나, 또는 에어공구레일의 양단 개구부에 장애물이 놓여 있는 경우에도 추가되는 트롤리를 에어공구레일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실용성 및 편리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튜브 일체형 에어공구레일의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트롤리의 도면,
도 3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트롤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트롤리를 에어공구레일에 결합시킨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트롤리를 에어공구레일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트롤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트롤리가 장착되는 에어튜브 일체형 에어공구레일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트롤리에서, 에어공구레일에 결합되는 한 쌍의 트롤리를 가조립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트롤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트롤리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11)이 하측에 관통형성되고, 분리형성되고 대칭되는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 중 어느 하나의 트롤리본체(1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송롤러(14);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 중 다른 하나의 트롤리본체(13)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송롤러(15);
체결공(11)에 결합되어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를 밀착시켜 단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16)(일 예로서,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리형성되는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를 가 조립시킨 후, 체결공(1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6)에 의해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를 단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 중 어느 하나(트롤리본체(12)를 말함)의 임의위치에 하나 이상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9);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 중 다른 하나(트롤리본체(13)를 말함)에 결합공(19)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보스(20)(boss)(바람직하게는, 단부가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트롤리본체(12,13)의 상부판(27,28) 및 하부판(22,23)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트롤리본체(12,13)의 뒤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강도보강용 제1엠보싱부(29,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롤리본체(12,13)의 하부판(22,2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행거(26)에 장착되는 에어공구(미 도시됨) 등의 하중으로 인한 트롤리본체(12,13)의 뒤틀림 변형되는 것을 제1엠보싱부(29,3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공구레일(A)의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부(10)를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조립된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트롤리본체(12,13)에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를 고정시키는 고정핀(31)이 결합되는 관통공(32)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강도보강용 제2엠보싱부(33,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가 고정핀(31)에 의해 고정된 관통공(32) 주변의 강도를 제2엠보싱부(33,34)에 의해 보강함에 따라 트롤리본체(12,13)의 상부판(27,2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가 수용공간부(10)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는 트롤리본체(12,13)의 상부판(27,28)에 좌우 대칭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롤러(14,15)가 수용공간부(10)를 따라 이동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수용공간부(10)를 따라 안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트롤리의 사용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트롤리(18)가 수용공간부(10)에 조립된 에어공구레일(A)을 자동차 등을 조립하는 이송컨베이어라인에 설치한 후에도 수용공간부(10)에 추가되는 트롤리(18)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트롤리(18)의 분리 형성된 트롤리본체(12,13)를 에어공구레일(A)의 수용공간부(10)에 분리시킨 상태로 삽입시킨 후, 수용공간부(10)에 끼워진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를 단일체로 조립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핀(31)에 결합된 베어링(35)에 의해 제1이송롤러(14)가 상부판(27)에 장착된 일측 트롤리본체(12) 상부를 에어공구레일(A)의 하단에 형성된 절개부(17)를 통해 수용공간부(10)에 삽입시킨다(도 5에 도시된 첫번째 조립단계를 참조).
다음, 고정핀(31)에 결합된 베어링(35)에 의해 제2이송롤러(15)가 상부판(28)에 장착된 타측 트롤리본체(13) 상부를 에어공구레일(A)의 하단에 형성된 절개부(17)를 통해 수용공간부(10)에 삽입시킨다(도 5에 도시된 두번째 조립단계를 참조).
즉, 트롤리본체(12 또는 13)와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또는 제2이송롤러(15)]를 더한 두께가 수용공간부(10)의 절개부(17) 폭보다 작게 된다. 이로 인해 분리 형성된 트롤리본체(12,13)는 낱개로 절개부(17)를 통해 수용공간부(1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트롤리본체(12,13)의 이송롤러(14,15)가 수용공간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롤리본체(12,13)의 외곽이 일치되도록 밀착시킬 경우 트롤리본체(12,13)의 상부판(27,28)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보스(20) 및 관통공(19)이 요철결합된다.
즉, 보스(20) 및 관통공(19)이 요철결합됨에 따라 수용공간부(10)에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가 삽입된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를 밀착시켜 가 조립시킬 수 있다(도 5에 도시된 세번째 조립단계를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보스(20) 및 관통공(19)의 요철결합에 의해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를 가 조립시킴에 따라 수용공간부(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트롤리본체(12,13)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어진다.
따라서, 수용공간부(10)의 외측에서 체결공(11)에 체결부재(16)를 결합시켜 체결함에 따라 에어공구레일(A)의 수용공간부(10)에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가 삽입된 한 쌍의 트롤리(18)를 단일체로 조립시킬 수 있다(도 5에 도시된 네번째 조립단계를 참조).
도 8에서와 같이, 트롤리본체(12,13)의 상부판(27,28)에 장착된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를 에어공구레일의 수용공간부(미 도시됨)에 삽입시킨 후, 트롤리본체(12,13)의 외곽이 일치되도록 밀착시킬 경우 트롤리본체(12,13)의 좌측 및 우측 임의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요홈(36) 및 돌출부(37)가 요철결합됨에 따라 트롤리본체(12,13)를 가 조립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롤리본체(12,13)에 형성된 체결공(도면부호 미 표기됨)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므로 수용공간부의 외측에서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6)를 체결함에 따라 수용공간부에 이송롤러[제1이송롤러(14), 제2이송롤러(15)]가 삽입된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를 단일체로 조립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트롤리본체(12,13)의 하부판(22,23)에 형성되는 관통공(21)에 고정핀(24)을 결합시킬 경우, 에어공구(미도시됨)가 연결되는 클램프(26a)와, 클램프(26a) 상단에 연결되는 요크(26b)로 이루어지는 행거(26)를 하부판(22,23)사이의 고정핀(2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24)에 고정되는 행거(26)의 클램프(26a)에 에어공구(미 도시됨)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에어공구레일(A)의 외측면 상부에 형성된 도브테일(dovetail) 형태의 돌출부(38)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터(39)에 선풍기(미 도시됨) 등을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어공구레일(A)의 상측에 형성된 관 형태의 에어튜브(1)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조립라인에서 사용하는 에어공구에 공급하는 구성과, 에어공구레일(A)의 돌출부(38)에 결합되는 서포터(39)에 선풍기를 장착시켜 사용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트롤리에 의하면, 이송컨베이어라인에 설치된 에어공구레일의 수용공간부에 트롤리가 조립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분리된 한 쌍의 트롤리본체(12,13)로 이루어진 트롤리(18)를 에어공구레일(A)의 하단에 형성된 절개부(17)를 통해 낱개로 삽입시켜 가 조립시킨 후, 트롤리본체(12,13)를 체결부재(16)에 의해 단일체로 고정시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공구레일(A)의 수용공간부(10) 양단이 캡(미 도시됨)에 의해 막혀 있거나, 또는 수용공간부(10) 양단에 장애물이 놓여 있는 경우, 에어공구레일 양단의 장애물 등을 철거하지않고도 트롤리(18)를 에어공구레일(A)에 간편하게 추가시켜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실용성 및 편리성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수용공간부
11; 체결공
12,13; 트롤리본체
14; 제1이송롤러
15; 제2이송롤러
16; 체결부재
17; 절개부
18; 트롤리
19; 관통공
20; 보스(boss)
21; 결합공
22,23; 하부판
24; 고정핀
26; 행거
27,28; 상부판
29,30; 제1엠보싱부
31; 고정핀
32; 관통공
33,34; 제2엠보싱부

Claims (3)

  1. C레일에 설치되는 분리형 트롤리로서,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하측에 관통형성되고, 분리형성되고 대칭되는 한 쌍의 트롤리본체;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어느 하나의 트롤리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송롤러;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다른 하나의 트롤리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송롤러;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를 분리하여, C레일의 절개부를 통해, 장착 또는 탈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롤리.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를 가 조립시킨 후,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를 단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어느 하나의 임의위치에 하나 이상 관통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롤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롤리본체 그 각각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방에 연장되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판 형태의 제1엠보싱부 및
    상기 상부판에 형성되는 원 형태의 제2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롤리.

KR1020200050698A 2017-09-20 2020-04-27 분리형 트롤리 KR10228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698A KR102285406B1 (ko) 2017-09-20 2020-04-27 분리형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992A KR102312692B1 (ko) 2017-09-20 2017-09-20 분리형 트롤리
KR1020200050698A KR102285406B1 (ko) 2017-09-20 2020-04-27 분리형 트롤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992A Division KR102312692B1 (ko) 2017-09-20 2017-09-20 분리형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730A true KR20200049730A (ko) 2020-05-08
KR102285406B1 KR102285406B1 (ko) 2021-08-05

Family

ID=7067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698A KR102285406B1 (ko) 2017-09-20 2020-04-27 분리형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4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0A (en) * 1981-01-07 1982-01-06 Hitachi Ltd Motor trolley device
JPH06127883A (ja) * 1992-04-21 1994-05-10 Tama Plastic Ind トロリ装置
KR200204523Y1 (ko) * 2000-07-04 2000-11-15 주식회사동성산기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0204522Y1 (ko) * 2000-07-04 2000-11-15 주식회사동성산기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0368337Y1 (ko) * 2004-08-20 2004-11-20 김재경 트롤리 컨베이어 롤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0A (en) * 1981-01-07 1982-01-06 Hitachi Ltd Motor trolley device
JPH06127883A (ja) * 1992-04-21 1994-05-10 Tama Plastic Ind トロリ装置
KR200204523Y1 (ko) * 2000-07-04 2000-11-15 주식회사동성산기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0204522Y1 (ko) * 2000-07-04 2000-11-15 주식회사동성산기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0368337Y1 (ko) * 2004-08-20 2004-11-20 김재경 트롤리 컨베이어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406B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976B2 (en) Track frame assembly in conveyor system
KR100463352B1 (ko) 너클 구동 링크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US6769727B2 (en) Assemblage of two pieces of bodywork to be joined together edge to edge, and a piece of bodywork belonging to such an assemblage
US8627943B2 (en) Guide arrangement for use with a transport member
EP2704937B1 (en) Drag conveyor system
JPH04213510A (ja) チェーンコンベア
CN106457486A (zh) 待组装部件的紧固装置
US6533108B1 (en) Serpentine clip
KR20200049730A (ko) 분리형 트롤리
US6499408B1 (en) Rail support assembly for monorail crane
KR102312692B1 (ko) 분리형 트롤리
JP5614762B2 (ja) 移送ローラー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移送装置
KR20200139364A (ko) 캐리어 운반용 트랙 구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캐리어
US6193436B1 (en) Locking system for supporting element
KR20120019281A (ko)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JP2009541184A (ja) 組立て易い板鎖
US8382149B1 (en) Baby trailer frame mounting structure
EP0845425A1 (en) Conveyor chain unit and conveyor chain
KR101526709B1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JPH0222494Y2 (ko)
JP2008001398A (ja) 運搬用部材およびパレットの運搬方法
CN212576882U (zh) 一种物流运输小车、车架及交叉带分拣机
JPH0512173Y2 (ko)
JPH05201335A (ja) 物品搬送具
JPH0750296Y2 (ja) 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