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23Y1 - 호이스트용 트롤리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23Y1
KR200204523Y1 KR2020000019107U KR20000019107U KR200204523Y1 KR 200204523 Y1 KR200204523 Y1 KR 200204523Y1 KR 2020000019107 U KR2020000019107 U KR 2020000019107U KR 20000019107 U KR20000019107 U KR 20000019107U KR 200204523 Y1 KR200204523 Y1 KR 200204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rolley
body housing
hois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성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성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성산기
Priority to KR2020000019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반송용레일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고정대상물과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위치되며, 몸체 외측부와 하측 소정 위치로는 접합수단(14)이 형성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과;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서 힌지축(21)에 의해 설치되어 레일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20)와;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의 구동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접합수단(14)은 판절곡 방식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프레스 작업에 의해 고정편(15)이 다수개 형성되므로, 제품의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호이스트용 트롤리 {Trolley for hoist}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중량물의 운반 및 조립작업의 반송용으로 사용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몸체 전,후 하우징 접합을 판절곡 접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제품의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용 트롤리는 모노레일 및 브리지레일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반송시키는 장치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구성은 천장면과 고정된 H-BEAM(140)에 설치된 모노레일 및 브리지레일(15)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구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0)이 형성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0)이 구비되며, 몸체 하부로는 고정부(130)가 구비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0)과,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축지홈(110)에 힌지축(210)에 의해 설치되는 이송롤러(200)와,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설치홈(120)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0)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핀롤러(9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몸체하우징(100)의 접합은 통상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이스트용 트롤리는 반송용 레일인 모노레일 및 브리지레일의 내부에서 이송롤러와 핀롤러에 의해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몸체하우징 접합은 통상 스폿용접에 의해 몸체하우징을 접합하여 사용하므로, 조립작업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폿용접에 의해 몸체하우징을 접합시키므로, 작업공수가 증대되어 생산단가가 증대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중량물의 운반 및 조립작업의 반송용으로 사용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몸체 전,후 하우징 접합을 판절곡 접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제품의 작업 생산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하우징 11 - 축지홈
12 - 설치홈 13 - 고정부
14 - 접합수단 15 - 고정편
20 - 이송롤러 21 - 힌지축
30 - 안내부재 31 - 볼베어링
40 - 반송용 레일 50 - 핀롤러
60 - 보조접합수단 61 - 끼움홈
62 - 엠보싱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반송용레일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고정대상물과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위치되며, 몸체 외측부와 하측 소정 위치로는 접합수단(14)이 형성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과;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서 힌지축(21)에 의해 설치되어 레일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20)와;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의 구동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접합수단(14)은 판절곡 방식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프레스 작업에 의해 고정편(15)이 다수개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은 한쌍의 몸체하우징(10) 접합을 판절곡에 의한 접합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써, 제품의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형상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체하우징(10)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된다.
상기 축지홈(11)은 반송용 레일(40)의 내측부에서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 이송롤러(20)를 힌지축(21)에 의해 고정시켜 반송용 레일(40)의 내부에서 작업방향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2)은 후술될 안내부재(30)를 장착하여 이송롤러(20)에 의해 이동되는 몸체하우징(10)의 하부에서 원할한 이동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재(30)로는 볼베어링(31) 및 핀롤러(50)등 몸체하우징(10)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성품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하우징(10)의 몸체 외측부와 하측 소정 위치로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합수단(14)이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을 상호 고정시키는 접합수단(14)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작업에 의해 고정편(15)을 다수개 형성한 후 판절곡 방식에 의해 몸체하우징(10)을 접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즉,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의 외측 및 하부에 서로 상응되는 위치(고정편을 상호 절곡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로 고정편(15)을 프레스 작업으로 형성한 후 서로 밀착되게 위치시켜 판절곡 방식에 의해 몸체하우징(10)을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써, 종래의 스폿용접 방식보다 작업성 및 생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몸체하우징(10) 전면부 소정 위치에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보조접합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접합수단(60)은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끼움홈(61)을 형성한 후 후측에서 상기 끼움홈(61) 내부에 엠보싱부(62)를 형성시켜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을 상호 형합시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는 즉, 한상의 몸체하우징(10) 전면부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끼움홈(61)을 형성한 후 후측에서 몸체하우징(10)을 가압하여 엠보싱부(62)를 끼움홈(61) 내측에서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축에 직접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전단강도(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호이스트용 트롤리는 1차적으로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을 판절곡 방식에 의해 고정시키며, 또한 보조접합수단(60)에 2차적으로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을 상호 형합시켜 사용하므로 종래 트롤리에 비해 내구성 및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호이스트용 트롤리의 스폿용접에 의한 접합방식이 아닌 판절곡 방식에 의해 몸체하우징을 접합시켜 사용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몸체하우징 전면부 소정위치로 다수개의 보조접합수단이 구비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반송용레일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반대상물 및 작업대상물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축지홈(11)이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에는 설치홈(12)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는 고정대상물과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13)가 위치되며, 몸체 외측부와 하측 소정 위치로는 접합수단(14)이 형성되는 한쌍의 몸체하우징(10)과;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축지홈(11)에서 힌지축(21)에 의해 설치되어 레일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20)와;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이송롤러(20)의 구동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접합수단(14)은 판절곡 방식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프레스 작업에 의해 고정편(15)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합수단(60)은 한쌍의 몸체하우징(10)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끼움홈(61)을 형성한 후 후측에서 상기 끼움홈(61) 내부로 엠보싱부(6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20000019107U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KR200204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07U KR200204523Y1 (ko)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07U KR200204523Y1 (ko)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523Y1 true KR200204523Y1 (ko) 2000-11-15

Family

ID=1966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107U KR200204523Y1 (ko) 2000-07-04 2000-07-04 호이스트용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176A (ko) 2015-09-22 2017-03-30 대구도시철도공사 트롤리
KR20190033099A (ko) * 2017-09-20 2019-03-29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20200049730A (ko) * 2017-09-20 2020-05-08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176A (ko) 2015-09-22 2017-03-30 대구도시철도공사 트롤리
KR20190033099A (ko) * 2017-09-20 2019-03-29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20200049730A (ko) * 2017-09-20 2020-05-08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102285406B1 (ko) * 2017-09-20 2021-08-05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KR102312692B1 (ko) * 2017-09-20 2021-10-18 현덕산기주식회사 분리형 트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446B2 (en) Conveying device for automation production lines
KR100487596B1 (ko) 마찰 교반접합 방법
WO2001087752A3 (en) Orbital motion device for seaming garments
CA2348426A1 (en) Knuckle drive link conveyor belt systems
ES2187821T3 (es) Aparato para soldadura por friccion con agitacion.
KR200204523Y1 (ko) 호이스트용 트롤리
KR960040541A (ko) 두 금속 가공편을 함께 접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E69820426D1 (de) Antriebseinrichtung für die Bewegung einer Plattform in einer Ebene
JP3369652B2 (ja) 突合せ溶接装置
US5276304A (en) Device for guiding and for transfer of at least two sheet metal blanks to be welded
KR100287265B1 (ko) 맞댐 용접용 판재 이송장치 및 그의 용접설비
CN102301154A (zh) 链条导板
KR200204522Y1 (ko) 호이스트용 트롤리
JP2024040507A (ja) 連結機構を備えた搬送装置
JPH11235617A (ja) 板材の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JP2018149584A (ja) ワークの曲げ加工方法及び装置
JP2002137091A (ja) 鋼板の突き合わせ溶接方法および装置
JPH0741415B2 (ja) 変断面溶接h型鋼の組立溶接装置
GR3001930T3 (en) Apparatus for cambering a tool of a bending apparatus
CN215546148U (zh) 一种定位装置和端子焊接机
JP7255724B1 (ja) マンコンベヤの構造体、マンコンベヤ、支持具、及びマンコンベヤの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2053085A (ja) 建設機械用走行体の遊動輪支持装置
CN220862425U (zh) 用于直角折弯机的翻转折弯机构
CA2423287A1 (en) Machine for sealed cover for a set of documents
CN209321961U (zh) 夹持装置及搬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