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454Y1 -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454Y1
KR200204454Y1 KR2020000017001U KR20000017001U KR200204454Y1 KR 200204454 Y1 KR200204454 Y1 KR 200204454Y1 KR 2020000017001 U KR2020000017001 U KR 2020000017001U KR 20000017001 U KR20000017001 U KR 20000017001U KR 200204454 Y1 KR200204454 Y1 KR 200204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locking ba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록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록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록센스
Priority to KR2020000017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7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핸들의 조작에 관계없이 도어의 시건이 가능하도록 개량된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 외측 도어핸들이 구비된 도어의 탄성걸림부재를 수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구조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탄성걸림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밀폐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부를 개폐 고정시켜주는 로킹바아와, 상기 로킹바아의 고정지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바아를 탄성지지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킹바아를 로킹 또는 언로킹 상태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개폐구동캠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을 양방향 위치로 절환 선회시켜주는 절환구동부와, 상기 개폐구동캠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의 절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밋스위치와, 상기 리밋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의 절환상태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절환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electronic door lock}
본 고안은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 내에 전자적으로 시건제어되는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도어핸들의 조작에 관계없이 도어의 시건이 가능하고, 개폐장치의 언로킹 상태에서는 로킹바아가 선회 가능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며, 로킹 상태에서는 외측 도어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한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작동됨과 아울러 내측 도어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서는 전기적인 시스템의 고장여부에 관계없이 개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도모한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자도어록은 방문자의 신원을 인터폰 등으로 확인한 후 로킹된 도어록을 단순히 개방하는 정도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 그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고 키버튼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도어핸들을 조작하면 임의로 개방할 수 있으므로 도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고안의 출원인에 귀속된 출원인은 도어를 유선상으로 원격 개폐조작할 수 있으면서도 전기적인 시스템의 고장시 기구적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된 범용의 전자도어록 개폐장치를 제안하여 특허 제 112195호로 이미 등록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 112195호는 개폐장치 본체의 개구부 내에 호퍼형상의 로킹회동반이 구비되고, 도어의 측면부에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상기 회동반의 홈부와 개폐장치 본체의 상부턱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걸림통이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도어측에도 별도의 걸림통이 마련되어야 하는 구성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프레임 내에 전자적으로 시건제어되는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도어핸들의 조작에 관계없이 도어의 시건이 가능하고, 개폐장치의 언로킹 상태에서는 로킹바아가 선회 가능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며, 로킹 상태에서는 외측 도어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한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작동됨과 아울러 내측 도어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서는 전기적인 시스템의 고장여부에 관계없이 개방할 수 있어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폐장치 본체와 결합되는 별도의 걸림통을 도어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도록 된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는 내, 외측 도어핸들이 구비된 도어의 탄성걸림부재를 수용하여 로킹 또는 언로킹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탄성걸림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밀폐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부를 개폐 고정시켜주는 로킹바아와, 상기 로킹바아의 고정지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바아를 탄성지지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킹바아를 로킹 또는 언로킹 상태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개폐구동캠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을 양방향 위치로 절환 선회시켜주는 절환구동부와, 상기 개폐구동캠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의 절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밋스위치와, 상기 리밋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의 절환상태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절환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킹바아는 그 몸체의 하부가 선회축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선회축의 외주에 상기 수용공간 저면과 몸체 하부측면 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원스프링이 설치되며, 수용공간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로킹바아 몸체 상부의 외측면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도어의 탄성걸림부재가 수용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로킹바아 몸체 내측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구동캠은 그 몸체의 상부가 선회축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그 몸체 하부에는 상기 절환구동부와의 연동을 위한 연결핀을 결합할 수 있는 안내장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안내장공의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에 의한 방향 절환을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절환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환구동부는 상기 제어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순간적인 전류가 공급될 때 일정시간동안 여자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전자석의 여자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여자코어와, 상기 여자코어의 선단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개폐구동캠의 안내장공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여자코어의 승강운동시 상기 개폐구동캠의 선회 위치를 양방향 교호되도록 절환시켜주는 매체로서의 연결핀과, 상기 여자코어가 승강운동 후 복귀될 수 있도록 그 외주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과 연결핀 간을 탄성지지해주는 절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대한 외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로킹바아가 언로킹 및 로킹되었을 때의 각 부품간 유기적인 작동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덮개판 개방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폐장치에 의한 도어 로킹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대한 외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11 ; 도어프레임
12 ; 내측도어핸들 13 ; 외측도어핸들
14 ; 탄성걸림부재 20 ; 케이스
21 ; 덮개판 22 ; 수용공간
23 ; 내부공간 24 ; 걸림턱
25 ; 선회지지돌기 26 ; 나사
27 ; 나사구멍 30 ; 로킹바아
31, 41 ; 선회축 32 ; 안내면
33 ; 캠접촉지지면 34 ; 복원스프링
40 ; 개폐구동캠 42 ; 안내장공
43 ; 절환턱 50 ; 절환구동부
51 ; 전자석 52 ; 여자코어
53 ; 연결핀 54 ; 절환스프링
60 ; 제어기판부 61 ; 리밋스위치
62 ; 전선 70 ; 제어부
71 ; 접속부 72 ; 입, 출력부
73 ; 전압검출부 74 ; 릴레이
81 ; 수동로킹바아 삽입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개폐장치에 대한 외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로킹바아(30)가 언로킹 및 로킹되었을 때의 각 부품간 유기적인 작동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덮개판(21) 개방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폐장치에 의한 도어(10)의 로킹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의 예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는 도어(10)의 측면부에 돌출되어 있는 탄성걸림부재(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0)의 측면과 인접하는 도어프레임(1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구성 부품이 수납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탄성걸림부재(1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2)이 형성되고 이를 개폐할 수 있는 로킹바아(30)가 결합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내, 외측 도어핸들(12)(13)이 구비된 도어(10)의 탄성걸림부재(14)를 수용하여 로킹 또는 언로킹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11)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탄성걸림부재(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22)을 형성하고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23)을 갖는 밀폐 가능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2)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2)의 개방부를 개폐 고정시켜주는 로킹바아(30)와, 상기 로킹바아(30)의 고정지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수용공간(22)을 밀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바아(30)를 탄성지지하는 복원스프링(34)과,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킹바아(30)를 로킹 또는 언로킹 상태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개폐구동캠(40)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개폐구동캠(40)을 양방향 위치로 절환 선회시켜주는 절환구동부(50)와,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절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밋스위치(61)와, 상기 리밋스위치(61)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절환상태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절환구동부(5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공간(23)에 구성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나사(26)로 착탈되는 덮개판(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0) 둘레에는 나사(26)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구멍(2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바아(30)의 상단이 맞닿는 위치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수용공간(22)을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개폐구동캠(40)이 안착되는 내부공간(23)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구동캠(40)이 선회할 때 이를 지지하는 선회지지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킹바아(30)는 그 몸체의 하부가 선회축(31)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2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선회축(31)의 외주에 상기 수용공간(22) 저면과 몸체 하부측면 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원스프링(34)이 설치되며, 수용공간(22)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로킹바아(30) 몸체 상부의 외측면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도어(10)의 탄성걸림부재(14)가 수용공간(22)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안내면(32)을 형성하고, 로킹바아(30) 몸체 내측 상단이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2)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4)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구동캠(40)은 그 몸체의 상부가 선회축(41)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20)에 힌지결합되고, 그 몸체 하부에는 상기 절환구동부(50)와의 연동을 위한 연결핀(53)을 결합할 수 있는 안내장공(4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안내장공(42)의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53)에 의한 방향 절환을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절환턱(4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킹바아(30)는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캠면과 접촉하여 원활히 고정지지될 수 있는 캠접촉지지면(33)을 갖는다.
상기 절환구동부(50)는 상기 제어기판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순간적인 전류가 공급될 때 일정시간동안 여자되는 전자석(51)과, 상기 전자석(51)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전자석(51)의 여자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여자코어(52)와, 상기 여자코어(52)의 선단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안내장공(42)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여자코어(52)의 승강운동시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선회 위치를 양방향 교호되도록 절환시켜주는 매체로서의 연결핀(53)과, 상기 여자코어(52)가 승강운동 후 복귀될 수 있도록 그 외주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51)과 연결핀(53) 간을 탄성지지해주는 절환스프링(54)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내측도어핸들(12)은 파지하여 회전시켰을 때 상기 탄성걸림부재(14)를 도어(10)의 내측으로 수용 조작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외측도어핸들(13)은 파지하여 회전시켰을 때 공회전되거나 또는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상기 탄성걸림부재(14)의 조작과 무관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의 예시도로서, 통상적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등의 메인시스템과의 연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와, 상기 메인시스템과 연결시켜주는 접속부(71)와, 본 고안의 개폐장치를 조작함과 아울러 그 개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입, 출력부(72)와, 개폐장치에 순간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압검출부(73)와, 리밋스위치(61)로부터 개폐 상태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전자석(51)을 순간적으로 구동시켜주기 위한 상기 제어기판부(60)와, 상기 제어부(70)와 제어기판부(60) 간을 연결시켜주는 릴레이(74) 등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제어기판부(60)로부터 전선(62)이 인출되어 릴레이(74)와 연결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의 원격구동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개폐장치가 도 2b와 같은 로킹 상태에서 도 2a와 같은 언로킹 상태로 절환되는 작동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어(10)를 원격개방하기 위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인터폰패널 등에 부착된 키버튼을 조작하면 전자석(51)이 여자되어 절환스프링(54)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자력이 순간적으로 발생됨으로써 여자코어(52)를 당겨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여자코어(52)의 선단부에 결합된 연결핀(53)도 하강하면서 개폐구동캠(40)이 그 선회축(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핀(53)의 일단은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안내장공(42)에 형성된 하측의 원호면과 접촉하면서 절환턱(43)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개폐구동캠(40)의 회동이 충분히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51)에 자력이 차단되면 상기 절환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여자코어(52)를 원위치로 상승시키게 되며,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안내장공(42) 내에 결합된 연결핀(53)의 일단은 상기 절환턱(43)을 넘어서면서 안내장공(42)의 타측단부로 순간 이동한 후 정지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바아(3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언로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구동캠(40)의 회동시 이와 인접 배치된 리밋스위치(61)를 절환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개폐장치의 구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밋스위치(61)에 의해 개폐장치의 현재 구동상태가 감지되어 제어기판부(6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기판부(60)에서는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51)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부 정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로킹바아(30)는 복원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도어(10)의 탄성걸림부재(14)가 상기 로킹바아(30)의 내측면을 복원스프링(34)의 탄성력 이상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상기 로킹바아(30)가 그 선회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도어(10)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22)으로부터 도어(10)의 탄성걸림부재(14)가 완전 이탈되면 상기 로킹바아(30)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수용공간(22)을 밀폐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10)를 닫게 되면 상기 도어(10)의 탄성걸림부재(14)가 소정각도로 형성된 로킹바아(30)의 안내면(32)에 접촉되면서 도어(10) 내측으로 함몰되었다가 수용공간(22) 내에 이르렀을 때 복원되어 걸리게 된다.
이러한 개폐장치의 언로킹 상태에 의하면, 도어(10)의 내측에서는 내측도어핸들(12)을 회전시켜 도어(10)를 개방하거나, 또는 도어(10) 자체를 밀어서 개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도어(10)의 외측에서는 외측도어핸들(13)이 공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는 결합 구조를 이루므로 상기 외측도어핸들(13)을 파지하고 외부에서 단순히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개폐장치가 도 2a와 같은 언로킹 상태에서 도 2b와 같은 로킹 상태로 절환되는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10)를 원격폐쇄하기 위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인터폰패널 등에 부착된 키버튼을 조작하면 전자석(51)이 여자되어 절환스프링(54)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자력이 순간적으로 발생됨으로써 여자코어(52)를 당겨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여자코어(52)의 선단부에 결합된 연결핀(53)도 하강하면서 개폐구동캠(40)이 그 선회축(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핀(53)의 일단은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안내장공(42)에 형성된 하측의 원호면과 접촉하면서 절환턱(43)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개폐구동캠(40)의 회동이 충분히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51)에 자력이 차단되면 상기 절환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여자코어(52)를 원위치로 상승시키게 되며, 상기 개폐구동캠(40)의 안내장공(42) 내에 결합된 연결핀(53)의 일단은 상기 절환턱(43)을 넘어서면서 안내장공(42)의 대향측 단부로 순간 이동한 후 정지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바아(3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로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 정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로킹바아(30)는 개폐구동캠(40)에 의해서 고정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도어(10)의 탄성걸림부재(14)가 상기 로킹바아(30)의 내측면에 견고히 걸려있게 되어 외부에서는 도어(10)를 전혀 개방할 수 없는 반면에, 이와 같이 개폐장치가 로킹된 상태라 하더라도 내부에서는 내측도어핸들(12)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 탄성걸림부재(14)를 도어(10)의 내측으로 함몰시킨 후 수동 개방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인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임의로 개방할 수 있어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개폐장치의 로킹 상태에 의하면, 도어(10)의 내측에서는 내측도어핸들(12)을 회전시켜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는 반면에, 도어(10)의 외측에서는 외측도어핸들(13)이 공회전 되거나 회전되지 않는 결합 구조를 이루므로 상기 외측도어핸들(13)을 파지한 후 잡아당기더라도 외부에서는 도어(10)를 절대로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 원리에 의해 도어(10)의 로킹 및 언로킹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현관까지 가지 않고도 실내에서 정확하게 원격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급되는 전원은 DC 12V ∼ 15V의 저전압으로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감전, 누전 등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저감되고, 전기회로를 도어프레임(11) 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배선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어(10)의 개폐작동시에도 배선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기존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주거환경을 더욱 편리하게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조와 더불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를 제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상부에 수동로킹바아 삽입공(81)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도어(10)에 설치된 열쇠구멍(미도시)을 통해 열쇠를 삽입한 후 수동로킹바아(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수동식으로 시건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프레임 내에 전자적으로 시건제어되는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도어핸들의 조작에 관계없이 도어의 시건이 가능하고, 개폐장치의 언로킹 상태에서는 로킹바아가 선회 가능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며, 로킹 상태에서는 외측 도어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한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작동됨과 아울러 내측 도어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서는 전기적인 시스템의 고장여부에 관계없이 개방할 수 있어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전과 같이 개폐장치 본체와 결합되는 별도의 걸림통을 도어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만 설치되므로 배선작업이 용이하고, 도어의 개폐 작동시 배선의 파손 우려가 없으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등과 연결하여 원격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그 활용성이 매우 높다.

Claims (4)

  1. 내, 외측 도어핸들이 구비된 도어의 탄성걸림부재를 수용하여 로킹 또는 언로킹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탄성걸림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밀폐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부를 개폐 고정시켜주는 로킹바아;
    상기 로킹바아의 고정지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바아를 탄성지지하는 복원스프링;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킹바아를 로킹 또는 언로킹 상태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개폐구동캠;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을 양방향 위치로 절환 선회시켜주는 절환구동부;
    상기 개폐구동캠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의 절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밋스위치; 및
    상기 리밋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구동캠의 절환상태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절환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바아는, 그 몸체의 하부가 선회축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선회축의 외주에 상기 수용공간 저면과 몸체 하부측면 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원스프링이 설치되며, 수용공간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로킹바아 몸체 상부의 외측면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도어의 탄성걸림부재가 수용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안내면을 형성하고, 로킹바아 몸체 내측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캠은, 그 몸체의 상부가 선회축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그 몸체 하부에는 상기 절환구동부와의 연동을 위한 연결핀을 결합할 수 있는 안내장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안내장공의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에 의한 방향 절환을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절환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구동부는,
    상기 제어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순간적인 전류가 공급될 때 일정시간동안 여자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전자석의 여자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여자코어;
    상기 여자코어의 선단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개폐구동캠의 안내장공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여자코어의 승강운동시 상기 개폐구동캠의 선회 위치를 양방향 교호되도록 절환시켜주는 매체로서의 연결핀; 및
    상기 여자코어가 승강운동 후 복귀될 수 있도록 그 외주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과 연결핀 간을 탄성지지해주는 절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KR2020000017001U 2000-06-15 2000-06-15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KR200204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01U KR200204454Y1 (ko) 2000-06-15 2000-06-15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01U KR200204454Y1 (ko) 2000-06-15 2000-06-15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454Y1 true KR200204454Y1 (ko) 2000-11-15

Family

ID=1966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001U KR200204454Y1 (ko) 2000-06-15 2000-06-15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4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983B1 (ko) 2006-09-20 2007-08-08 청 장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983B1 (ko) 2006-09-20 2007-08-08 청 장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KR19990071588A (ko) 차량 도어 잠금 작동기
CN107973201B (zh) 电磁锁和施工升降系统
KR200204454Y1 (ko)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KR100535243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204456Y1 (ko)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FI101734B (fi) Sähkötoimilaite ovia ja ikkunoita varten
JP4064993B2 (ja) 着脱可能な電子錠装置
JP3113541U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200224925Y1 (ko)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JP3653134B2 (ja) 電気錠
KR200166893Y1 (ko) 디지털 도어록
WO2001018333A1 (fr) Dispositif d&#39;auto-verrouillage de porte
JP2944252B2 (ja) 冷蔵庫装置
KR20160004363U (ko) 도어 스토퍼
KR101081444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473888B1 (ko) 도어록 장치
KR100391803B1 (ko) 현관문용 도어록
KR20041894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00008679A (ja) クレセント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KR20030068641A (ko) 출입문용 도어록장치
JPH11293983A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040010414A (ko) 도어잠금장치
KR200326968Y1 (ko) 도어록의 원격 잠금해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