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888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888B1
KR100473888B1 KR10-2002-0052599A KR20020052599A KR100473888B1 KR 100473888 B1 KR100473888 B1 KR 100473888B1 KR 20020052599 A KR20020052599 A KR 20020052599A KR 100473888 B1 KR100473888 B1 KR 10047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control
control means
main body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167A (ko
Inventor
이운영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5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8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46Electric or magnetic means in the striker or on the frame; Operating or controlling the striker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록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는, 외부에서 전화를 통하여 도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의 비밀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무선으로 도어록 장치의 본체에 도어 제어신호를 발생해주거나 유선을 통해 직접 도어록 장치 내에 도어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부 도어 개/폐 제어수단과,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 도어 개/폐 수단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도어 개/폐 제어신호가 송신되면 이를 수신하고, 수시된 도어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에 의해 걸림쇠가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 및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과 대응된 벽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쇠와 대응된 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걸림쇠의 동작에 따라 도어를 록(lock) 또는 언록(unlock)시키는 잠금수단(200)으로 이루어진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내, 외측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 내부에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내에 형성된 축전지에 접속되는 전원선이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걸림쇠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전원선과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200)은 벽체 쪽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삽입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걸림쇠의 끝단에 형성된 외부접속단자와 접속이 되어 상기 걸림홀 내에 형성된 전원선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내부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열릴 때 경첩이 부착된 쪽으로 도어 개/폐 제어수단에 부설된 전원선이 통과하지 않고, 문틀 쪽에서 걸림쇠를 통하여 전원선이 내삽되기 때문에 전원선의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도어 개/폐 제어수단에 부설된 전원 공급용 배터리에 전원 공급이 명확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여부를 제때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evice for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이음부위와 맞닿아 파손의 우려가 높은 전원 공급선을 도어의 개폐장치로부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도어의 잠김 상태에서 잠금 쇠를 통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도어록 장치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록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를 말하며, 또한 외부에서 전화를 통하여 도어록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리모콘을 이용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록 장치가 구비된 도어의 바깥쪽에서 리모컨의 도어 개/폐 조작키를 눌러 무선 신호(통상적으로, RF신호)를 송출하면, 도어록 장치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수신 장치에서 이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조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잠금 장치를 제어한다.
즉, 도어록 장치가 로킹된 상태에서 도어 바깥쪽에서 리모컨의 열림 버튼(오픈 버튼)을 조작하면, 그에 상응하는 RF신호가 송출되며 상기 수신 장치에서 이를 수신하고, 제어장치에서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도어 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도어록 장치가 해제된 상태(Unlock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 바깥쪽에서 리모컨의 클로즈 버튼(잠금 버튼)을 누르면, 그에 상응하는 RF신호가 송출되며 상기 수신 장치에서 이를 수신하고, 제어장치에서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로킹 상태로 만든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일반 전화기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전화를 통하여 도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의 비밀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무선으로 도어록 장치의 본체에 도어 제어신호를 발생해주거나 유선을 통해 직접 도어록 장치 내에 도어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부 도어 개/폐 제어수단(1)이 형성되고, 또한,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도어록 장치에 공급해주는 교류/직류 어댑터(2)가 형성되고, 또한, 도어록 장치가 장착되는 도어(4)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4)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 도어 개/폐 수단(1)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도어 개/폐 제어신호가 송신되면 이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리모컨을 통해 도어 개/폐 제어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무단으로 도어가 열리는 경우 미리 지정된 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도어록 장치가 무단으로 조작되는 것을 알려주는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3)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도어(4)를 록(lock) 또는 언록(unlock)시키는 잠금장치로 형성되었으나,
도어(4)가 열릴 때 경첩이 부착된 쪽으로 도어 개/폐 제어수단(3)에 부설된 전원선이 통과하기 때문에 도어의 잦은 여닫는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전원선의 파손의 우려가 높아 도어 개/폐 제어수단(3)에 부설된 전원 공급용 배터리에 전원 공급이 불명확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대책이 없으며, 이로 인한 물적, 인적 손실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이음부위와 맞닿아 파손의 우려가 높은 전원 공급선을 도어의 개폐장치로부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도어틀에 부착된 잠금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도어의 잠긴 상태에서 걸림쇠를 통한 충전지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전화를 통하여 무선으로 도어록 장치의 본체에 도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외부 도어 개/폐 제어수단(1)과, 상기 수신된 도어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 및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대응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잠금수단(200)으로 이루어진 도어록 장치에 적용되는데,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내, 외측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걸림쇠(140); 상기 걸림쇠(140) 내부에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내에 형성된 축전지에 접속되는 전원선(300)이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홀(141); 및 상기 걸림쇠(14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41)에 삽입되는 전원선(300)과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144)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200)은, 벽체 쪽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삽입홀(245)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45)에 삽입된 걸림쇠(140)의 끝단에 형성된 외부접속단자(144)와 접속이 되어 상기 걸림홈(245)내에 형성된 전원선(30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내부접속단자(2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걸림쇠(140) 끝단에 형성되고, 도어의 잠금 시 걸림쇠(14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외부걸림턱(147)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41)이 연장 형성된 외부돌기(143); 및 상기 잠금수단(200)의 삽입홈(245)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돌기(143)와 대응되도록 내부걸림턱(247)이 형성된 내부돌기(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쇠(140)에 형성된 관통홀(141)이 외부걸림턱(147)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은 상기 전원선(300)과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144)가 형성되고, 도어의 잠금 시 상기 벽체 쪽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외부접속단자(144)에 인가되도록 상기 내부걸림턱(247) 일측에 내부접속단자(24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에 형성된 걸림쇠(140)와 외부돌기(14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41)이 연장 형성되며, 전원 인가 시 걸림쇠(140)로의 도통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외부절연부재(142); 및 상기 잠금수단(200)과 내부돌기(243) 사이에 형성되며, 전원 인가 시 내부돌기(243)로의 도통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절연부재(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잠금수단(200)은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자력 발생수단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은 상기 자력 발생수단과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쇠(140)의 이동에 따라 자력 발생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잠김 상태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어의 잠금 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걸림쇠(160)의 이동에 따라 잠김 상태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좋다.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은 상기 걸림쇠(140)와 외부돌기(143)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속수단이 형성된다. 이 결속수단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어에 부착되며, 외부 도어 개/폐 제어수단(1)과 해당 신호를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 부설된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에는 도어를 닫을 때 인가된 전원에 의해 모터구동부(103)의 구동으로 잠금수단(200)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쇠(101)가 연설되며,
상기 걸림쇠(101)가 잠금수단(200)에 삽입 시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부(102)가 부설된다.
한편, 외벽에 부착되며, 상기 도어에 부착된 잠금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대응된 위치에 잠금수단(200)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수단(10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쇠(101)가 완전히 삽입될 시 걸림쇠(101)가 안착되도록 내부돌기가 부설된 결착편(201)이 형성되고, 상기 결림편(201)과 내부돌기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마주 보고 있는 잠금수단(200)의 일 측에는 걸림쇠(101)의 접근에 따른 도어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부(202)가 추가 부설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200) 내의 감지부(202) 및 걸림쇠(101)를 통한 전원공급을 위해 DC충전회로부(203)가 형성된다.
상기 DC충전회로부(203)는 그 일측에 전원접속단자(300,301)가 형성되어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의 공급에 따른 안정화된 전원공급을 위한 일반적인 구성으로 형성되어진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면 설명에서 다루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과 잠금수단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 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구동부(115)가 부설되며, 상기 모터와 연설된 걸림쇠(110)가 그 일 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돌출 형성되어진다.
상기 돌출 형성된 걸림쇠(110)의 내부에는 축전지와 접속된 전원선이 삽입되도록 삽입홀(111)이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절연 재질의 외부절연부재(112)가 전원선이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절연부재(112)의 타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외부돌기(113)가 부설된다.
한편,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에 대응되게 벽체에 잠금수단(200)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수단(200) 내부에는 상기 걸림쇠(110)의 개수만큼의 삽입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11) 저면에는 벽체 쪽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콘넥터(215)를 통하여 공급하는 전원선이 관통되어 삽입되는 결착편(210)이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전원선이 연장되도록 내부돌기(213)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돌기(213)와 결착편(210) 사이에 절연 재질의 내부절연부재(212)가 전원선이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잠금수단(200)이 마주보는 양측 일단에 도어의 잠김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부(114,220)가 부설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내용에서 덧붙여 설명하는데,
상기 외부돌기(143)에는 걸림턱(147)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관통홀(141)이 연장 형성되어 전원선(300)이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146) 일측에는 상기 전원선(300)의 끝단과 접속된 외부접속단자(144)가 형성된다.
한편, 외부정연부재(142)와 외부돌기(143)를 한 몸체로 하여 외부절연부재(142)와 걸림쇠(140)와 연결부위에는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부(145)가 형성되어 나삽되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일측, 즉 잠금수단(200)과 마주보는 일측에 마그네틱 스위치(146)를 부설하여 도어의 잠김 시 마그네틱 스위치(146)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잠김 상태를 확일 할 수 있는 잠김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 내의 신호처리부에 전달하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잠금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a의 마그네틱 스위치(146)에 대응되어 잠금수단(200)의 일측 즉,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마주보는 일측에 자석(246)이 형성되어 도어의 잠김 시 상기 마그네틱 스위치(146)가 근접됨에 따라 자석(246)의 자력에 따른 마그네틱 스위치(146)의 스위칭 독작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홈(245)에 형성된 내부돌기(243)의 일측에는 내부걸림턱(247)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걸림턱(247) 일측에는 접속단자(244)가 형성되어 DC충전회로부(251)로부터 연장된 전원선(300)이 상기 접속단자(244)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도어록 장치에서 도어의 잠김 시 걸림쇠(140)의 삽입에 따라 상기 외부걸림턱(147)과 내부걸림턱(247)이 서로 맞닿아 양측에 형성된 외부접속단자(144)와 내부접속단자(244)간의 접속이 이루어져 상호 도통되어 벽체 쪽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 내에 형성된 축전지에 공급하여 도어의 잠김 상태에서는 지속적으로 축전지에 전원을 축전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4a의 마그네틱스위치(146) 대신에 적외선 센서(166)를 부착된 것을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흰색으로 표시된 센서는 발광부이고, 검게 칠해진 센서는 수광부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5a에 부설된 적외선 센서(166)에 대응된 위치에 적외선 센서(266)가 부설되며, 상기 도 5a에서 발광되는 빛을 수광한 후, 이에 응답신호를 발생하여 도 5a의 수광부에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적외선 센서(166,266)로 인하여 도어의 잠김 시 적외선 센서(166,266)에 의해 도어의 잠김 상태에 따른 해당 신호를 발생하여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에 부설된 신호처리부에 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가 열릴 때 경첩이 부착된 쪽으로 도어 개/폐 제어수단에 부설된 전원선이 통과하지 않고, 문틀 쪽에서 걸림쇠를 통하여 전원선이 내삽되며, 접지단자를 이용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원선의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도어 개/폐 제어수단에 부설된 전원 공급용 배터리에 전원 공급이 명확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여부를 제때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과 잠금수단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잠금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
110 : 걸림쇠 111 : 삽입홀
112 : 외부절연부재 113 : 외부돌기
114 : 감지부 115 : 모터구동부
200 : 잠금수단 210 : 결착편
211 : 삽입홈 212 : 내부절연부재
213 : 내부돌기 214 : DC충전회로부
215 : 전원단자

Claims (9)

  1. 삭제
  2. 외부에서 전화를 통하여 무선으로 도어록 장치의 본체에 도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외부 도어 개/폐 제어수단(1)과, 상기 수신된 도어 개/폐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 및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대응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잠금수단(200)으로 이루어진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내, 외측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걸림쇠(140);
    상기 걸림쇠(140) 내부에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내에 형성된 축전지에 접속되는 전원선(300)이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홀(141); 및
    상기 걸림쇠(14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41)에 삽입되는 전원선(300)과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144)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200)은
    벽체 쪽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삽입홀(245)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45)에 삽입된 걸림쇠(140)의 끝단에 형성된 외부접속단자(144)와 접속이 되어 상기 걸림홈(245)내에 형성된 전원선(30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내부접속단자(244)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걸림쇠(140) 끝단에 형성되고, 도어의 잠금 시 걸림쇠(14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외부걸림턱(147)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41)이 연장 형성된 외부돌기(143); 및
    상기 잠금수단(200)의 삽입홈(245)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돌기(143)와 대응되도록 내부걸림턱(247)이 형성된 내부돌기(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140)에 형성된 관통홀(141)이 외부걸림턱(147)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은 상기 전원선(300)과 접속되는 외부접속단자(144)가 형성되고, 도어의 잠금 시 상기 벽체 쪽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외부접속단자(144)에 인가되도록 상기 내부걸림턱(247) 일측에 내부접속단자(2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에 형성된 걸림쇠(140)와 외부돌기(14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41)이 연장 형성되며, 전원 인가 시 걸림쇠(140)로의 도통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외부절연부재(142); 및
    상기 잠금수단(200)과 내부돌기(243) 사이에 형성되며, 전원 인가 시 내부돌기(243)로의 도통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절연부재(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00)은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자력 발생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은
    상기 자력 발생수단과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쇠(140)의 이동에 따라 자력 발생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잠김 상태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의 잠금 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과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걸림쇠(160)의 이동에 따라 잠김 상태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도어 개/폐 제어수단(100)은
    상기 걸림쇠(140)와 외부돌기(143)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속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2-0052599A 2002-09-02 2002-09-02 도어록 장치 KR10047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99A KR100473888B1 (ko) 2002-09-02 2002-09-02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99A KR100473888B1 (ko) 2002-09-02 2002-09-02 도어록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244U Division KR200295657Y1 (ko) 2002-09-02 2002-09-02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167A KR20020081167A (ko) 2002-10-26
KR100473888B1 true KR100473888B1 (ko) 2005-03-10

Family

ID=2772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599A KR100473888B1 (ko) 2002-09-02 2002-09-02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33B1 (ko) * 2014-02-18 2015-01-29 주식회사 경신 도어의 점등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5318A1 (de) * 2016-12-16 2018-06-21 Geze Gmbh Energieversorgung für eine Türanlage und korrespondierende Türanlage
KR102552880B1 (ko) * 2021-10-07 2023-07-07 고경채 스마트 도어락용 전원 공급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036A (ja) * 1992-07-28 1994-02-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
JPH1025935A (ja) * 1996-07-10 1998-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システム
KR200212695Y1 (ko) * 2000-08-22 2001-02-15 장신준 전자 도어락
KR20010099569A (ko) * 2000-04-28 2001-11-09 박희수 무선 원격제어 출입문 개폐장치
KR20020033234A (ko) * 2000-10-30 2002-05-06 구자홍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KR20020035201A (ko) * 2000-11-04 2002-05-11 신승중 전자식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200295657Y1 (ko) * 2002-09-02 2002-11-21 이운영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036A (ja) * 1992-07-28 1994-02-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
JPH1025935A (ja) * 1996-07-10 1998-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システム
KR20010099569A (ko) * 2000-04-28 2001-11-09 박희수 무선 원격제어 출입문 개폐장치
KR200212695Y1 (ko) * 2000-08-22 2001-02-15 장신준 전자 도어락
KR20020033234A (ko) * 2000-10-30 2002-05-06 구자홍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KR20020035201A (ko) * 2000-11-04 2002-05-11 신승중 전자식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200295657Y1 (ko) * 2002-09-02 2002-11-21 이운영 도어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33B1 (ko) * 2014-02-18 2015-01-29 주식회사 경신 도어의 점등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167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913B2 (en) Locking apparatus
CN104832010A (zh) 门锁系统
JP3694883B2 (ja) 施解錠制御装置
KR100473888B1 (ko) 도어록 장치
KR200295657Y1 (ko) 도어록 장치
CN110242113A (zh) 多安装方式的全自动智能锁
GB2563836A (en) Electrical plug security cover
JP2019102385A (ja) 近接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CN110080614A (zh) 改良型机柜锁具及控制方法
KR100953227B1 (ko) 자물쇠 개폐관리시스템
KR200329242Y1 (ko) 디지털 도어록용 도어개폐 감지장치
KR100473858B1 (ko) 콜러아이디를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TW201812160A (zh) 鎖控制單元、附電鎖之門及電源控制系統
KR200257592Y1 (ko)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
TW201812151A (zh) 門開閉狀態之檢測單元、及附開閉檢測功能之門
KR20020035201A (ko) 전자식 출입문 제어 시스템
KR200353557Y1 (ko) 자동 도어록장치의 외부전원공급장치
KR10034111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20068641A (ko)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CN213807064U (zh) 一种电气锁
JP4390294B2 (ja) 非接触型扉用錠前制御装置
KR102552880B1 (ko) 스마트 도어락용 전원 공급 시스템
CN210598457U (zh) 改良型机柜锁具
KR200300160Y1 (ko)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KR200300211Y1 (ko) 콜러아이디를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