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0Y1 -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0Y1
KR200300160Y1 KR20-2002-0029634U KR20020029634U KR200300160Y1 KR 200300160 Y1 KR200300160 Y1 KR 200300160Y1 KR 20020029634 U KR20020029634 U KR 20020029634U KR 200300160 Y1 KR200300160 Y1 KR 200300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ngerprint
door lock
do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Original Assignee
윤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호 filed Critical 윤경호
Priority to KR20-2002-0029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에 잠금장치제어를 위한 지문인식부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키이부에 지문인식부를 설치함으로서 외부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고의나 실수로 인한 지문인식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지문데이터에 따라서 잠금장치부(102)를 제어하여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내장되며 스위치(108)가 연결된 제어부(101)와, 상기 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도어의 회동상태를 제한하도록 제어되는 잠금장치부(102)와, 키이부(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송하는 신호수신부(103)와, 도어록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7)와, 제어부(101)를 통하여 입력된 지문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등록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지문데이터저장부(104)를 포함하며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10)과;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스캔부(201)와, 상기 지문스캔부(201)를 통하여 인식된 지문을 상기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202)를 포함하는 키이부(2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Door Locking Device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본 고안은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에 잠금장치제어를 위한 지문인식부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키이부에 지문인식부를 설치함으로서 외부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고의나 실수로 인한 지문인식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를 잠그기 위한 다양한 잠금장치(도어록)가 사용되고 있으며,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잠금장치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생체인식은 사람의 신체중에서 타인의 것과는 명확하게 구별되는 지문, 장문, 홍채,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인식된 생체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와 전자적으로 비교되어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
종래 생체인식기능을 이용한 잠금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중의 하나가 지문인식기능을 이용한 도어록이다. 지문인식형 도어록은 통상의 도어록 표면에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창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어를 열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지문을 지문인식창에 대고 스캐닝하면, 내장된 지문인증부에 의하여 입력된 지문과 미리 저장된 사용자 지문과 비교하여,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문인식형 도어록은 지문인식창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하여 지문인식창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표면에 생성된 흠집에 의하여 지문인식시 정확한 지문데이터의 인식이 불가능하므로 오동작이 자주 발생된다.
더욱이 고의로 지문인식창 표면을 파손하는 경우에도 지문인식이 불가능하며, 지문인식창 뿐만 아니라, 내부의 스캐닝 및 인증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내장회로도 파손되면 고비용을 들여 수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에 잠금장치제어를 위한 지문인식부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키이부에 지문인식부를 설치함으로서 외부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고의나 실수로 인한 지문인식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블럭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키이부의 일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키이부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해제시 작동상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록 20: 키이부
101: 제어부 102: 잠금장치부
103: 신호수신부 104: 지문데이터 저장부
105: 기능설정부 106: 내장스캔부
107: 전원부 108: 온/오프 스위치
110: 키패드부 201: 지문스캔부
202: 신호전송부 203: 지문인식창
204: 신호전송단자 205: 활주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지문데이터에 따라서 잠금장치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내장되며 스위치가 연결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도어의 회동상태를 제한하도록 제어되는 잠금장치부와, 키이부로부터 전송되는 지문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수신부와, 도어록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된 지문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등록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지문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며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과;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스캔부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하여 인식된 지문을 상기 도어록의 신호수신부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키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10)의 정면도이다. 도어록(10)은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어에 장착되며, 측면으로 돌출된 잠금로드(102a)가 외부로 완전히 돌출되면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구(미도시됨)에 안착되어서 도어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서 도어는 잠금상태가 된다. 잠금로드(102a)는 잠금장치부(102)에 포함되며 잠금장치부(102)에는 전기구동모터(또는 다른 구동수단)와 기구 메카니즘이 내장되어서 잠금로드(102a)를 전후이동시킨다. 도어록(10)에는 또한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잠금장치부(102)에 의하여 작동되지 않고 도어손잡이(1)에 의하여 작동되는 별도의 잠금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부(102)는 종래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록(10)의 표면에는 종래 지문입력창 대신에 삽입구(10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103a)는 본 고안에 의하여 분리된 키이부(20)의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구(103a)의 형상은 키이부(20)의 단부형상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이것이 후에 상술된다.
또한 도어록(10)의 상부표면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키패드부(110)가 은닉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부(110)는 도어록(1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키이부(20)를 분실하거나 훼손된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숫자(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평상시에 키패드부(110)는 커버에 의하여 감추어져 있다가, 비상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커버가 제거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잠금장치가 해제되면 사용자는 도어손잡이(1)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어준다.
도 2는 본 고안의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의 블럭회로도로서, 도면을 참고하면, 도어록(10)과 키이부(20)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키이부(20)는 사용자가 휴대하도록 소형케이스로 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키이부(20)의 실시예들이 표시되어 있다.
도어록(1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지문데이터에 따라서 잠금장치부(102)를 제어하여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내장되고 스위치(108)가 연결된 제어부(101)와, 상기 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도어의 회동상태를 제한하도록 제어되는 잠금장치부(102)와, 키이부(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송하는 신호수신부(103)와, 도어록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7)와, 제어부(101)를 통하여 입력된 지문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등록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지문데이터저장부(10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키이부(20)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스캔부(201)와, 상기 지문스캔부(201)를 통하여 인식된 지문을 상기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20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문스캔부(201)는 종래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지문스캔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후에 설명되는 내장스캔부(106)도 동일하다.
상기 제어부(101)는 도어록(1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키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지문데이터를 검출하여 입력된 지문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등록 지문데이터와 일치하면 도어록(10)의 잠금상태를 제어한다. 다시말하여 제어부(101)는 도어록의 잠금장치부(102)가 잠금상태이면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잠금장치부(102)가 해제상태이면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지문등록과 비상용 비밀번호의 설정등에 사용되며 이것이 후에 설명된다.
상기 제어부(101)에는 또한 온/오프 스위치(10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108)는 실내에서 도어록(10)을 열고 닫기 위한 것이다. 즉, 스위치(108)를 한 번 작동시키면 도어록(10)이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것은 도어록(10)과 분리된 키이부(2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실내에서 편리하게 도어록(10)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위치(108)에는 키이부(20)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도어록(10)을 잠그는 대신에 특정 잠금기능키를 더 추가하여 해당 잠금기능키가 눌려지면 소정시간 후, 예를 들어서 약 3~5초 후에 잠금장치부(102)가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외출시에 키이부(20)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해당 잠금기능키를 누른 후에 도어를 닫아주면 소정시간 후에 잠금장치(102)가 작동되어서 도어록(10)을 잠금상태로 전환시키는 편리한 기능이다.
상기 신호수신부(103)는 키이부(20)에 의하여 스캔된 지문데이터를 입력받기위한 것이다. 키이부(20)로부터 지문데이터를 입력받은 신호수신부(103)는 제어부(101)로 지문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부(101)에서는 지문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지문데이터와 비교하도록 지문데이터 저장부(104)로 전송한다. 상기 지문데이터 저장부(104)는 데이터의 저장뿐만 아니라, 저장된 등록 지문데이터와 입력된 지문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성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지문비교에 의한 인증기능은 제어부(101)에 의하여서도 수행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다시말하여, 지문데이터 저장부(104)에는 등록지문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제어부(101)에서 입력되는 지문데이터의 양자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지문데이터 저장부(104)에 지문데이터를 등록, 저장하는 것은 내장스캔부(106)를 통하여 수행하거나 또는 키이부(20)에 있는 지문스캔부(201)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내장스캔부(10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설정부(105)를 이용하여 지문등록모드로 설정후에 입력시킬 지문을 스캔한다. 또한 기능설정부(105)에서는 키패드(별도로 추가됨)를 이용하여 비상시에 사용하는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다.
지문등록을 위하여 기능설정부(105)는 3가지의 상태선택이 가능한 슬라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상태는 "등록", 제2상태는 "중립", 제3상태는 "삭제"로 각 슬라이드 스위치의 로드위치에 따라서 작동상태를 설정하고 내장스캔부(106)를 통하여 입력되는 지문데이터를 저장한다. 평상시에는 "중립"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기능설정부(105)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갯수를 증가시키거나 딥스위치 또는 키패드의 숫자조합등을 이용한 어드레스지정방식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지문데이터의 갯수를 조정한다. 기능설정부(105)에 구비된 키패드는 또한 비상용 비밀번호입력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장스캔부(106)와 기능설정부(105)는 도어록(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키패드부(110)를 이용하는 비밀번호설정도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작동모드와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시킬 수 있다. 즉, "등록"모드 설정후에 지문데이터가 입력되면 지문데이터를 저장하고, 숫자가 입력되면 비밀번호로 등록한다.
또한 지문데이터의 등록을 위하여 키이부(20)의 지문스캔부(20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설정부(105)의 기능설정상태를 등록으로 설정하고, 키이부(20)의 지문스캔부(201)를 이용하여 스캔한 지문을 입력하면 지문데이터로 등록되도록 함으로서 내장스캔부(106)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지문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삭제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또한 기능설정부(105)와 내장스캔부(106)를 이용하지 않고 지문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하여 키이부(20)를 삽입구(103a)에 삽입하고 소정시간 이상 삽입상태를 유지하면 제어부(101)에 의하여 등록기능이 작동되어 지문데이터를 등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삽입상태의 검출은 키이부(20)를 삽입구(103a)에 삽입하면 신호수신부(103)와의 접속에 의하여 전기적신호가 발생되고 제어부(101)에서는 이 때 발생된 전기적신호의 접속시간을 계산하여 등록상태로 확인한다. 이러한 등록방식을이용하면 내장스캔부(106)와 기능설정부(105)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지문데이터의 등록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지문데이터의 삭제는 별도의 삭제키를 구비하거나 또는 먼저 입력된 지문데이터가 삭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등록, 삭제는 제어부(101)에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도어록(10)의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키이부(20)가 사용된다. 키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사용자의 지문을 스캐닝하기 위한 지문스캔부(201)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위하여(또는 닫기 위하여) 도어록(10)의 삽입구(103a)에 키이부(20)를 삽입하고, 지문스캔부(201)를 이용하여 지문을 스캐닝하면 스캐닝된 지문데이터가 신호전송부(202)를 통하여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로 전송된다. 전송된 지문데이터가 등록된 지문데이터와 일치하면 도어록(10)의 잠금장치부(102)가 작동되어서 잠금상태가 해제(해제상태에서는 잠금)되어서 도어가 열린(또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 때 도어록(10)과 키이부(20)의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어록(10)과 키이부(20)에는 각각 고유의 식별부호가 할당되며, 키이부(2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시에 해당 식별부호가 지문데이터와 동시에 전송되어서 도어록(10)에서 식별부호가 정확하게 인식하는 경우에만 잠금장치를 제어한다.
상기한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와 키이부(20)의 신호전송부(202)의 데이터전송은 유선접촉 및 무선의 두 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3 및도 4를 참고하여 유선접촉방식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사각형 형태를 가진 키이부(20)의 외관사시도로서, 표면에는 지문인식을 위한 지문인식창(203)이 구성되어 있으며, 외측단부에는 다수의 신호전송단자(204)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어록(10)의 표면에 형성된 삽입구(103a)에 신호전송단자(204)를 삽입한 상태에서 활주커버(205)를 전면으로 이동시켜서 지문인식창(203)을 외부로 노출시킨 후에 지문이 등록된 손가락을 지문인식창(203)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밀착에 의하여 스캐닝된 지문데이터는 신호전송부(202)와 연결된 신호전송단자(204)를 통하여 도어록(10)으로 전송된다. 지문인식을 위하여 지문스캔부(201)에 열감지센서 또는 접촉센서를 구비하고 있다가 손가락이 지문인식창에 밀착되면 스캐닝을 시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키이부(2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역시 표면에는 지문인식창(203)이 구성되어 있으며, 외측단부에는 원형의 신호전송단자(204)가 구비되어 있다. 원형의 신호전송단자는 표면에 다수의 단자가 분리되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신호전송단자(204)의 형상은 도어록(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삽입구(103a)의 형상에 영향을 미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도어록(10)과 직접 접촉되는 방식은 도어록(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7)로부터 직접 작동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기 때문에 키이부(10)의 케이스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유선접촉이 아니라 무선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는 무선수신부와, 신호복조부와, 안테나를 포함하고,키이부(20)의 신호전송부(202)는 무선송신부와 신호변조부와 전원부와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주파수 대신에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고자 하면 해당 신호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체 전원을 더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키이부(20)의 케이스가 유선접촉방식에 비하여 더 커지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도어록(10)에는 유선접촉방식을 위한 삽입부가 필요없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입이나 파손에 대하여 더욱 안전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록(10)에는 지문데이터가 등록, 저장되어 있으며, 잠금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어록(1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잠금상태로 대기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는 키이부(20)를 도어록(10)의 삽입구(103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키이부(20)의 지문입력창(203)에 손가락을 밀착시켜 지문을 스캐닝시킨다. 지문입력창(203)에 지문이 밀착된 후에 지문스캔부(201)에서 지문을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지문데이터는 신호전송부(202)를 통하여 도어록(10)으로 전송된다.
도어록(10)의 제어부(101)에서는 신호수신부(103)를 통하여 입력되는 지문데이터를 지문데이터 저장부(104)로 전송하고, 지문데이터 저장부(104)에서는 입력된 지문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지문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입력된 지문데이터가 등록된 지문데이터(또는 다수의 지문데이터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제어부(101)에서 이것을 검출하고 잠금장치부(102)에 잠금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잠금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잠금장치부(102)는 내장된 구동모터(또는 다른 구동수단)을 작동시켜서 잠금로드(102a)를 돌출상태에서 내부로 돌입시킨다. 따라서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본 고안에서는 키이부(20)를 사용할 수 없을 때, 비상용 키패드부(110)가 설치되어 있어서 도어를 열 수 있다. 키패드부(110)는 도 1을 참고하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춰져 있다가 사용자가 커버를 제거함으로서 노출된다. 키패드부(110)가 노출된 후에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누른다. 키패드부(110)에 의하여 생성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는 제어부(101)에 입력된다.
제어부(101)에서는 키패드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숫자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숫자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숫자가 일치하면 잠금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도어록(10)이 해제상태에 있을 때 도어록(10)을 잠그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키이부(20)를 삽입구(103a)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문을 스캐닝하면, 도어록(10)의 제어부(101)에서는 입력된 지문데이터의 비교결과를 인식하고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함으로서 도어록(10)이 잠겨진다.
또한 실내에서 도어록(1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08)에 의한 작동상태는 상술한 내용중에서 키이부(20)를 통하여 지문데이터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하게 작동되는데, 이 경우에는 지문데이터의 비교없이 무조건 잠금상태를 제어한다. 다시말하여, 스위치(108)가 눌러지면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지문데이터의 비교없이 즉시 전환된다.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용자는 키이부(20)를 이용하지 않고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에 잠금장치제어를 위한 지문인식부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키이부에 지문인식부를 설치함으로서 외부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고의나 실수로 인한 지문인식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지문을 인식하여 잠금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지문데이터에 따라서 잠금장치부(102)를 제어하여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내장되며 스위치(108)가 연결된 제어부(101)와, 상기 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도어의 회동상태를 제한하도록 제어되는 잠금장치부(102)와, 키이부(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송하는 신호수신부(103)와, 도어록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7)와, 제어부(101)를 통하여 입력된 지문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등록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지문데이터저장부(104)를 포함하며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10)과;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스캔부(201)와, 상기 지문스캔부(201)를 통하여 인식된 지문을 상기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202)를 포함하는 키이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가 지문데이터의 등록을 위하여 지문을 스캐닝하는 내장스캔부(106)와 기능설정 및 숫자입력을 위한 기능설정부(1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부(105)가 지문등록을 위한 제1, 2 및 제3상태를 가지는 슬라이드 스위치와 키패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부(20)가 지문인식창(203)이 사용중이 아닐 때에는 지문인식창(203)을 외부와 차단하고 사용을 위하여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활주커버(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가 삽입구(103a)를 통하여 삽입되는 키이부(20)의 신호전송부(202)에 연결된 신호전송단자(204)와 접촉되는 단자를 구비하여, 유선접촉으로 지문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단자(204)가 표면에 다수의 신호전송용 전극이 구비된 것으로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0)의 신호수신부(103)가 무선수신부, 신호복조부 및 안테나를 포함하고, 키이부(20)의 신호전송부(202)가 무선송신부, 신호변조부, 전원부 및 안테나를 포함하여, 키이부(20)를 도어록(10)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문데이터를 무선으로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0)이 비상시에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110)가 도어록(10)의 표면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춰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KR20-2002-0029634U 2002-10-04 2002-10-04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KR200300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634U KR200300160Y1 (ko) 2002-10-04 2002-10-04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634U KR200300160Y1 (ko) 2002-10-04 2002-10-04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0Y1 true KR200300160Y1 (ko) 2003-01-10

Family

ID=4939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634U KR200300160Y1 (ko) 2002-10-04 2002-10-04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240A (en) Computer access control
US20180363327A1 (en) Electronic key and electronic locking device based on dual authentication
KR100360601B1 (ko) 지문인증과 비밀번호 인증 겸용방식을 채용한 도어록/언록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20010085510A (ko) 인증개폐기능을 보유한 자물쇠 및 이를 위한 아이씨카드
KR101952522B1 (ko)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100742263B1 (ko) 무선 id를 갖는 열쇠를 이용한 전자 시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0300160Y1 (ko)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KR200392382Y1 (ko) 도어록 장치
KR20050106339A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KR100666071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KR20060035951A (ko)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무선 송수신기 등록 및 삭제 방법
KR102220133B1 (ko) 락커락 시스템
KR100808405B1 (ko) 차량용 스마트키를 구비한 지능형 디지털 도어록
CN210316992U (zh) 一种自动门指纹系统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0392381Y1 (ko) 도어록 장치
KR20040091172A (ko) 무선 도어키와 알에프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입문 잠금장치
KR100439114B1 (ko) 카드 리더를 겸비한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0665349B1 (ko) 임시 수동잠금 모드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100473888B1 (ko) 도어록 장치
KR200217982Y1 (ko) 키인식 및 지문인식을 이용한 도어개폐 장치
KR200378868Y1 (ko)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KR100411392B1 (ko) 핸드 헬드 프로그래머를 구비한 도어 보안장치
KR100385288B1 (ko) 충전전원과 공급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지문인식 키,그리고 그를 이용한 잠금 및 잠금해제 장치와 그 방법
KR20010070625A (ko) 지문인식 보조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