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234A -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234A
KR20020033234A KR1020000063852A KR20000063852A KR20020033234A KR 20020033234 A KR20020033234 A KR 20020033234A KR 1020000063852 A KR1020000063852 A KR 1020000063852A KR 20000063852 A KR20000063852 A KR 20000063852A KR 20020033234 A KR20020033234 A KR 20020033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pecific information
mobile terminal
user
wireless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708B1 (ko
Inventor
안현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7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보안 및 방범장치를 해제하거나 보안 및 방범을 위한 경보수행, 관리자 또는 보안 및 방범기관(또는 회사)에 자동적으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은, 고유의 특정 정보를 가지는 무선 이동 단말기와,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고유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 수신된 단말기 고유의 특정 정보를 디코딩하여 설정된 특정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잠금장치를 개폐 구동시키는 잠금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CDMA 단말기의 경우 가지고 있는 고유의 ESN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정당성 여부를 검증하고, 이 검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도어 록(door lock) 등의 잠금장치를 해제시킴으로써, 고도의 보안성을 가지고 도어 록 등과 같은 보안 및 방범장치를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SECURITY SYSTEM USING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보안 및 방범장치를 해제하거나 보안 및 방범을 위한 경보, 관리자 또는 보안 및 방범기관(또는 회사)에 자동적으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 회사, 창고 등의 보안 및 방범장치는 기계적 혹은 전자적 자물쇠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계적 자물쇠 장치의 경우는 자물쇠에 꼭 맞는 열쇠를 이용해서 자물쇠를 개폐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자에 의한 침입이나 도난 등의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계적 자물쇠 장치의 경우는 그 보안 및 방범성이 취약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암호화된 카드 키이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비밀번호 입력방식을 이용하는 전자식 자물쇠가 보편화되고 있다. 카드 키이 방식의 경우는 사용자가 카드 키이를 늘 휴대하고 다녀야 하고, 카드 키이를 분식하는 경우에는 자물쇠를 열 수 없다는 단점이 따른다. 비밀번호 입력방식의 경우는 카드 키이 방식보다는 편리하지만 비밀번호를 조합하는 경우의 수가 대부분 4자리의 숫자 키이의 조합 정도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암호 노출의 위험을 전혀 배제할 수 없고, 보안 및 방범성이 암호화된 카드 키이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한편, 근래에는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 및 방범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으나, 지문을 인식하거나 홍채를 인식하는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가 불가능하다는 제약과 더불어 이러한 시스템은 대부분 고가이기 때문에 보편화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보안 및 방범장치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CDMA 단말기를 이용해서 일반 가정, 회사, 창고 등과 같은 건조물(또는 특정지역이나 장소)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보안 및 방범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CDMA 단말기 고유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정보를이용해서 보안 및 방범장치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CDMA 단말기 고유의 ESN 정보를 가지고 보안 및 방범장치를 설정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도용이나 위조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고도의 보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CDMA 단말기 고유의 ESN 정보를 가지고 보안 및 방범장치를 해제할 때, 별도의 사용자 확인절차를 더 거치도록 함으로써, 보안 및 방범장치를 강제로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경보 메시지를 보안 및 방범장치의 관리자(또는 보안 및 방범 공공기관 등)에 자동적으로 연락을 취하여 전송해 줄 수 있도록 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을 현관 문에 적용한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어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은, 고유의 특정 정보를 가지는 무선 이동 단말기와,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고유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 수신된 단말기 고유의 특정 정보를 디코딩하여 설정된 특정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잠금장치를 개폐 구동시키는 잠금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은, 고유의 특정 정보를 가지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잠금장치에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잠금장치가 자신에게 설정된 고유의 특정 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특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여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고유의 특정 정보는 CDMA 단말기의 ESN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수신 및 디코딩된 단말기 고유의 특정 정보와 설정된 특정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고유의 특정 정보는 변경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고유의 특정 정보는 일정한 기간 후 자동적으로 변경 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수단은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경보수단은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연락처를 기억하는 수단, 상기 기억된 연락처로 상기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단말기 고유의 특정 정보가 일치하였을 때 추가의 사용자 확인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추가의 사용자 확인절차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비밀번호의 입력요구와 이 요구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로부터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현관 문에 적용한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현관문(101)에 마이크로 스트립 패턴 구조의 송수신 안테나(102)를 내장하였고,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의 송수신 안테나(102)로 수신된 CDMA 단말기의 ESN정보를 디코딩하고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의 해제 여부와 경보 메시지의 전송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현관문 도어 록 장치(103)를 구비하였다. 부호 104는 무선 이동 단말기 이고, 105는 기지국 이다.
도1에서 무선 이동 단말기(104)는 CDMA 단말기로서 단말기 고유의 ESN정보를 가지고 있다. 무선 이동 단말기(104)를 이용해서 도어 록 장치(103)에 전화를 걸면 도어 록 장치(103)에서는 무선 이동 단말기(104)로부터의 ESN정보와 도어 록 장치에 설정된 ESN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도어 록을 해제하거나, 또는 경보 메시지 등을 지정된 원격지로 자동 전송해 준다.
도2는 본 발명의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102)와 연결되어 RF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RF송수신부(201)와, 상기 RF송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된 수신 RF신호에 포함된 ESN 정보 등을 디코딩하거나 전송할 정보를 코딩하여 RF송수신부(201)에 전달해 주는 코덱(CODEC)(202)과, 수신된 ESN정보와 메모리된 ESN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해제 또는 경보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203)와, 상기 프로세서(203)로부터 출력된 도어 록 해제명령에 따라 도어 록을 해제하기 위한 구동부(204)와, 상기 구동부(204)의 구동에 의해서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록(205)과, 상기 고유의 ESN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06)와, 상기 프로세서(203)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에 따른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 이다.
상기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207)를 이용해서 사용자 자신의 무선 이동 단말기 고유의 ESN정보와 동일한 ESN정보를 메모리(206)에 기억시켜 둔다.
또한 이 메모리(206)에는 비상시 경고 메시지 등을 전송할 원격지의 연락처(공공기관의 전화 번호 등)도 사용자 인터페이스(207)를 이용해서 기억시켜 둔다.
또한 이 메모리(206)에는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비밀번호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207)를 이용해서 기억시켜 둔다.
사용자가 무선 이동 단말기(104)를 이용해서 도어 록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해당 ESN정보를 가진 단말기(104)를 이용해서 도어 록 장치에 전화를 건다(단계 301).
사용자가 무선 이동 단말기(104)를 이용해서 건 전화는 기지국(105)에 의해서 전용 잠금장치(도1의 경우 도어 록 장치(103))로 전송되고, 전용 잠금장치는 걸려온 전화의 단말기 ESN정보를 확인한다(단계 302).
즉,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의 안테나(102)로 수신된 RF신호를 RF송수신부(201)가 수신하여 코덱(202)으로 전달해 주고, 코덱(202)에서 디코딩된 ESN정보는 프로세서(203)에 전달되며, 프로세서(203)는 수신된 ESN정보를 상기 메모리(206)에 기억된 자신의 ESN정보와 비교하는 것이다(단계 303).
상기 비교 결과 걸려온 전화의 ESN정보와 잠금장치에 기억된 자신의 ESN정보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는 추가의 확인작업을 진행한다(단계 304).
이 추가의 확인작업은 예를 들면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무선 이동 단말기로 입력한 비밀번호와 메모리(206)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비교해서 정당한 사용자인가의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비밀번호의 입력을 소정의 설정된 재입력 허용횟수를 주고, 허용된 횟수 이내에 일치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로 간주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정당한 사용자로 간주하지 않는 방법으로 추가 확인작업을 할 수있다.
추가 확인작업의 진행 결과에 따라, 현재 일치하는 ESN정보를 가진 단말기로 전화를 건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5).
이 단계(305)의 판단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203)는 잠금장치 해제 명령(신호)을 구동부(204)에 보내고, 구동부(204)는 잠금장치 해제 명령에 따라 도어 록 장치(205)를 구동시켜 잠금장치를 해제시킨다(단계 306).
그러나, 상기 정당한 사용자 확인단계(305)에서 부적당한 사용자인 경우와, 상기 ESN 일치 판별단계(303)에서 자신의 메모리된 ESN정보와 수신된 ESN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단계 307), 필요한 경우 공공기관에 자동적으로 연락을 취한다(단계 308).
여기서, 필요한 경우란 예를 들어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면서도 계속해서 도어 록 해제를 위한 시도를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공공기관에 연락을 취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메모리(206)에 기억시켜 놓은 전화번호로 프로세서(203)가 전화를 걸어서 코덱(202)과 RF송수신부(201)를 통해서 약속된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 이동 단말기 고유의 특정정보, 예를 들면 CDMA단말기의 경우 ESN정보를 이용해서 보안 및 방범장치를 제어함으로써, 고도의 보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의 ESN정보를 전용 잠금장치에 한하여 주기적으로 자동 변경해 준다면, 무선 이동 단말기의 ESN정보가 노출되었을 때에도 도용에 따른 보안 및 방범장치의 보안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 고유의 ESN정보를 잠금장치의 해제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도용의 위험을 방지하고, CDMA 전송 방식의 특성상 위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카드 키이 방식의 잠금장치나 기구적 자물쇠 보다 보안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원격지에서도 보안 및 방범장치 해제 여부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자가 잠금장치의 해제를 시도하는 경우 이 것을 경고하는 것은 물론, 설정된 연락처로 해당 메시지를 자동 전송해 줌으로써 방범 취약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9)

  1. 고유의 특정 정보를 가지는 무선 이동 단말기와,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고유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 수신된 단말기 고유의 특정 정보를 디코딩하여 설정된 특정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잠금장치를 개폐 구동시키는 잠금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특정 정보는 CDMA 단말기의 ESN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디코딩된 단말기 고유의 특정 정보와 설정된 특정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경보를 수행하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생성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연락처를 기억하는 수단, 상기 기억된 연락처로 상기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특정 정보는 변경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6. 고유의 특정 정보를 가지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해서 잠금장치에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화 연결에 따라 잠금장치가 자신에게 설정된 고유의 특정 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특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여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특정 정보와 자신의 고유 특정 정보를 비교한 결과,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정당한 사용자인가의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당 사용자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ESN정보가 일치한 단말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로 입력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로부터 정당한 사용자의 진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해당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연락처로 자동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방법.
KR10-2000-0063852A 2000-10-30 2000-10-30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KR10038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852A KR100387708B1 (ko) 2000-10-30 2000-10-30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852A KR100387708B1 (ko) 2000-10-30 2000-10-30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234A true KR20020033234A (ko) 2002-05-06
KR100387708B1 KR100387708B1 (ko) 2003-06-18

Family

ID=1969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852A KR100387708B1 (ko) 2000-10-30 2000-10-30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7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60A (ko) * 2002-08-23 2004-02-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도어의 원격 개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73888B1 (ko) * 2002-09-02 2005-03-10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도어록 장치
KR100511178B1 (ko) * 2001-03-08 2005-08-30 김석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기 위해 발신되는 신호를 이용한 보안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30B1 (ko) * 2009-07-16 2012-02-14 (주)아빌론네트웍스 구조물의 점검구 방범 시스템
KR101676118B1 (ko) 2014-12-01 2016-11-14 이상훈 웨어러블디바이스를이용한 스마트폰의 보안설정 및 해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688A (ja) * 1997-02-20 1998-11-04 Kouji Kagetani 扉の施解錠方法
JPH11224383A (ja) * 1998-02-05 1999-08-17 Ritaa:Kk 携帯防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178B1 (ko) * 2001-03-08 2005-08-30 김석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기 위해 발신되는 신호를 이용한 보안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17660A (ko) * 2002-08-23 2004-02-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도어의 원격 개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73888B1 (ko) * 2002-09-02 2005-03-10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708B1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4306B2 (ja) 許可方法
KR100263034B1 (ko) 인텔리전트 금고
US7924139B2 (en)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and wireless authentication system
CA2632770C (en) Mobile based identification in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US6897767B2 (en) Multiway control system for keyset
WO2005088846A1 (en) Phone for unmanned guard and method of preventing crimes using the same
WO2007149977A2 (en) Location-based security, privacy, access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20210209879A1 (en)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0387708B1 (ko) 무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및 방범장치 제어 시스템
KR20040068342A (ko) 액세스 제어 시스템
KR20050089706A (ko) 보안 도어록 시스템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4470A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079820B1 (ko) 비가청 음파신호에 기반한 모바일 id출입통제 시스템 및 운용방법.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165400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325394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100944246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216165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10645070B2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KR100855125B1 (ko) 도주 방지용 방범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332829B1 (ko) 무선 방범 관제 시스템
KR100445368B1 (ko) 실시간암호발생기(rtp)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장치
KR102182152B1 (ko) 스마트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