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974Y1 -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974Y1
KR200201974Y1 KR2020000016881U KR20000016881U KR200201974Y1 KR 200201974 Y1 KR200201974 Y1 KR 200201974Y1 KR 2020000016881 U KR2020000016881 U KR 2020000016881U KR 20000016881 U KR20000016881 U KR 20000016881U KR 200201974 Y1 KR200201974 Y1 KR 200201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odor
manhole
manhole cover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열
Original Assignee
조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열 filed Critical 조희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로의 물의 유입은 받아 들이되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는 그 공기의 유동을 기계적으로 차단함으로서 보행자 및 거주주민이 악취, 유독가스, 해충 및 수인성 전염원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보장하는 기구에 관한것으로 특히 동력의 전달에 중력을 이용하여 마개 개폐에 비용이 들지않으며 미관에도 좋은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이다.
기존의 맨홀 뚜껑은 빗물등의 유수를 하수구로의 유입을 도우며, 보행자가 걸어가는데 있어서 발판의 역활만을 유지했으나,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미관상 맨홀뚜껑 밑에 보이는 하수구를 안보이게 하며 악취의 확산을 제거하되 그 운동원에 자연력인 중력을 이용하여 그 마개의 개폐에 전혀 비용이 들지 않게 하는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기존의 맨홀 뚜껑 아래에 중력에 의하여 축 회전되는 긴 연동 마개를 구성하여 하수구 밑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확산을 제거하여 도로나 거리의 보행자들에게 악취로부터의 노출을 제거하고, 맨홀 뚜껑위로부터 하수구를 바라볼때 종래의 맨홀에서는 지저분한 하수구의 바닦이 보였으나 본 고안에 의하여 보행자의 미감 마져도 보호해주는 환경 보호 차원에서도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A device to prevent a bad smell from the manhole of sewer system}
본 고안은 하수구로의 물의 유입은 받아 들이되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는 그 공기의 유동을 기계적으로 차단함으로서 보행자 및 거주주민이 악취, 유독가스, 해충 및 수인성 전염원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보장하는 기구에 관한것으로 특히 동력의 전달에 중력을 이용하여 마개 개폐에 비용이 들지않으며 미관에도 좋은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이다.
본 고안은 도 5에 의하여 도시된 것처럼 맨홀 뚜껑자체에 낙수구멍을 천공시 구멍의 한쪽면을 절개하고 대응되는 타측을 절곡, 전개시켜 보행자들이 낙수구멍을 통하여 하수도 내부의 불결한 오수 및 폐수를 보게되는 불쾌감은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수도 자체의 실질적인 문제점인 악취 및 수인성 전염원의 제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질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 악취, 유독가스, 해충 및 수인성 전염원의 제거를 위한 기구는 전혀 고안된 적이 없는 개척고안이라 할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보행자이 하수구의 불결함을 보게되어 미간을 찌푸리는 불쾌감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수구에 포함된 악취, 유독가스, 해충 및 수인성 전염원을 간단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대기중에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의 오염원으로부터 인간에게 발생될 수 있는 병충해의 피해로부터 보다 벗어나고자 함이다.
더욱이 이 모든 목적의 실현은 중력에 의한 지레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악취등의 확산을 막는 마개의 개폐를 무비용으로 영구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자 함이 주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회동편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축지지편과 회동편부의 체결상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와 도 3b은 본 고안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회동편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맨홀 뚜껑 일 실시예
본 고안은 도 1과 2에 도시된 듯이, 4각의 몸체부(10)를 둔다.
이는 기존의 맨홀 뚜껑(100) 아래에 위치 고정됨이 본 고안의 사용상 유리하기에 기존의 맨홀부와 그 형상이 동일함이 요구되며, 기존 하수구(200)와 맨홀 뚜껑(100) 사이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됨이 적당하다.
그 체결구조의 일 실시예들은 도 3의 (A)(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몸체부(10)에는 빗물 및 하수구로 흘러내려야만될 액상화된 유체(50)를 낙하시키는 낙수 구멍(12)을 가진다.
도 1과 2에서 보이는 절첩부(11)는 낙수 구멍(12)의 천공시 아래로 몸체부(10)를 접어놓은 것이다.
이 절첩부(11)는 몸체(10)의 플레이트상을 흘러내린 유체(50)가 절첩부(11)까지 그 표면 장력을 유지 낙수 구멍(12)으로 수월하게 미끄러질수 있도록 도울수 있다.
또한 이 절첩부(11)는 회동편부(30)의 축(21) 회전시 회전에 방해를 주지않는 길이로 적당함이 중요하다.
상기 몸체부(10)의 저면에는 회동편부(30)의 축 방향과는 수직하게 축 지지판(20)을 세워 고정한다.
축지지판(20)에는 회동편부(30)가 힌지(21) 연결된다.
이 회동편부(30)는 무게부(31)와 긴 연동 마개(32)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된듯이 단면상 축을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무게부(31)와 긴 연동마개(32)가 일체되 있으되 그 무게의 중심은 무게부(31) 쪽으로 치우쳐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중력의 크기가 다르다.
고로 큰 중력이 작용되는 무게부(31) 쪽으로 기울게되며, 지레의 원리로 긴 연동마개부(32)를 항상 들어올려주는 쪽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다.
도 4의 (A)는 본 고안의 실시예중 무게부(31)와 긴 연동 마개부(32)의 절첩시 그 각도의 변화를 보여 주는 것이다.
즉 지레의 원리로 축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의 길이에 따라 힘의 크기가 변동된다.
따라서 무게부(31)에 작용된 큰 중력은 긴 연동 마개(32)를 위로 무게부(31)는 아래방향으로 회동시키는데 회동각도가 커질수록 축으로부터 무게부(31)까지의 길이는 작아진다.
이는 중력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무게부(31)와 긴 연동 마개(32)의 절첩 각도의 조절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힘의 평형의 위치를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무게부(31)의 형태는 도 4의 (A),(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경우처럼 수지류나 스텐편등(31')을 사이에 끼워 무게부(31)를 형성하거나, 일체의 스텐을 여러번 절곡하여 구성시킨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무게부(31)의 무게가 긴 연동마개부(32)의 무게보다 무겁게 구성되야 된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하수구에 맨홀 뚜껑(100)과 함께 체결되는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도 3의 (A),(B)에 도시된 것처럼 기존의 맨홀에 보강 구성되고 항상 물 및 유체(50)와 함께하고 있어 물에 의한 녹이나 변형이 적은 스텐 및 프라스틱수지로 재질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건의 구성 및 작용은 살펴 보았으며, 하기에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용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고안에서 빗물 및 액상의 유체(50)가 맨홀 뚜껑(100)을 통하여 떨어져 본 고안의 몸체부(10) 플레이트상에 떨어져 낙수구멍(12)으로 흘러들거나, 직접 낙수구멍(12)으로 떨어진다.
이때 낙수 구멍(12)을 통한 빗물 및 유체(50)는 힘 평형의 상태로 비스듬히 구성된 긴 연동마개(32)의 끝단부로 흘러들게 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다.
따라서 끝단부에 흘러든 유체(50)는 무게를 가지고있어 다시 힘의 평형을 깨고 긴 연동 마개(32)를 아래로 무게부(31)를 상방향으로 축(21) 회동 시키게 한다.
상기 끝단에 흘러든 유체(50)의 양이 많을 수록 무게가 많아 양측의 긴 연동마개(32)를 크게 회동하며 연동마개(32) 사이의 간격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유체(50)를 하수구 내로 흘려보내게 된다.
또한 낙수 구멍(12)으로 흘러드는 유체(50)가 없을시는 중력이라는 자연력에 의하여 긴 연동 마개(32)를 양쪽 마개의 끝단이 맞물려 지는등 힘의 평형을 이룰때 까지상승시켜 악취, 유독가스, 해충 및 수인성 전염원의 확산을 막는다.
본 고안은 무 비용이 드는 중력을 이용하여 긴 연동마개를 개폐하여 악취, 유독가스, 해충 및 수인성 전염원의 확산을 막는 사용상 반 영구적인 악취방지장치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행자가 보행시 맨홀 뚜껑위에서 하수구를 바라볼 지라도 긴 연동 마개에 의하여 지저분한 하수구의 저면이 보이지 않으므로 보행자의 불쾌감을 줄이고 환경오염 방지의 차원에도 일조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하수구 및 맨홀(200)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유독가스, 해충 및 수인성 전염원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낙수 구멍(12)을 가지며 그 낙수 구멍(12)은 장방향으로 몸체(10)를 절첩하여 절첩부(11)가 구성된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저면 양 끝에 단방향으로 가로질은 축 지지판(20),
    상기 축 지지판(20)에는 축으로 힌지(33) 연결된 개폐부(1)가 구성되되,개폐부(1)는 무게부(31)를 가진 회동편부(30)가 쌍으로 마주보게 구성되 기존의 맨홀 뚜껑(100)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200)의 악취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개폐부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 축회전되는 회동편부(30)가 쌍으로 구성되는데,
    단면상 축을 좌,우로 긴 편의 형태의 연동 마개(32)와 짧되 무게중심을 가져 연동마개(32)가 윗방향으로 항시 상승하게 힘을 부여하는 무게부(31)로 구성되어 무게부(31)의 무게가 긴 연동마개(32)의 축회전에 의한 상승을 가져와 낙수구멍(12)을 막고 하수구(200)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의 악취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에 구성된 낙수구멍(12)은 그 갯수에 따라 같은 갯수의 회동편부(30)를 구성하며 상기의 낙수 구멍(12)은 기존 맨홀 뚜껑(100)에 장공이 구성된 위치, 갯수, 및 조건에 따라 변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의 악취방지장치.
KR2020000016881U 2000-06-14 2000-06-14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KR2002019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630A KR20010111886A (ko) 2000-06-14 2000-06-14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630A Division KR20010111886A (ko) 2000-06-14 2000-06-14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74Y1 true KR200201974Y1 (ko) 2000-11-01

Family

ID=196718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881U KR200201974Y1 (ko) 2000-06-14 2000-06-14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KR1020000032630A KR20010111886A (ko) 2000-06-14 2000-06-14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630A KR20010111886A (ko) 2000-06-14 2000-06-14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197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808B1 (ko) * 2001-01-11 2004-05-20 임흥호 배수로용 악취방지구
KR100801979B1 (ko) 2006-10-31 2008-02-21 (주)태운건설 그레이팅
WO2009025482A2 (en) * 2007-08-20 2009-02-26 Chang-Soon Kim Cover preventing an offensive odor
KR101211649B1 (ko) * 2012-06-12 2012-12-12 이진규 차단날개 개폐식 스틸 그레이팅
KR101936661B1 (ko) * 2016-06-29 2019-01-10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악취방지형 그레이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862B1 (ko) * 2005-09-23 2007-04-13 오웅배 악취차단형 배수로 덮개
KR100759995B1 (ko) * 2006-03-31 2007-09-18 (주) 미도랜드 악취 역류 방지판을 가지는 그레이팅
KR100857546B1 (ko) * 2007-12-27 2008-09-09 오웅배 악취차단형 배수로 덮개
KR101702646B1 (ko) 2015-08-26 2017-02-03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우·하수 맨홀의 낙수충격 완충 장치
KR102148162B1 (ko) * 2017-08-10 2020-08-26 (주)성지테크 빗물 역류와 악취 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커버의 제조방법
KR102095129B1 (ko) 2018-10-17 2020-03-30 이방열 배수구(排水口)의 맨홀덮개장치
KR20230024524A (ko) 2021-08-12 2023-02-21 이방열 배수구(排水口)의 악취차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808B1 (ko) * 2001-01-11 2004-05-20 임흥호 배수로용 악취방지구
KR100801979B1 (ko) 2006-10-31 2008-02-21 (주)태운건설 그레이팅
WO2009025482A2 (en) * 2007-08-20 2009-02-26 Chang-Soon Kim Cover preventing an offensive odor
WO2009025482A3 (en) * 2007-08-20 2009-05-07 Chang-Soon Kim Cover preventing an offensive odor
KR101211649B1 (ko) * 2012-06-12 2012-12-12 이진규 차단날개 개폐식 스틸 그레이팅
KR101936661B1 (ko) * 2016-06-29 2019-01-10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악취방지형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886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1974Y1 (ko)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US8535523B2 (en) Fluid flow control and debris intercepting apparatus
KR100611047B1 (ko)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US20150053598A1 (en) Fluid Flow Control and Debris Intercepting Apparatus
KR20060094678A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AU642783B2 (en) Cesspool
KR200484152Y1 (ko) 개폐판을 구비한 배수용 그레이팅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200395192Y1 (ko) 역류차단기
KR102183756B1 (ko) 악취 차단과 맹인의 안내가 가능한 맨홀
KR200295534Y1 (ko) 맨홀의 안전장치
KR102175240B1 (ko)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180003319U (ko) 교량 오수 분산 장치
KR200281794Y1 (ko) 배수용 덮개의 구멍 개폐장치
KR200218233Y1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19990035237U (ko) 하수구의악취방지장치
KR100406853B1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102067555B1 (ko)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함이 구비된 냄새차단이 가능한 그레이팅
KR19990046751A (ko) 맨홀의방취구조
KR20230082814A (ko)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JP2003138638A (ja) 側溝用雨水導入バルブ装置
KR200318099Y1 (ko) 하수 맨홀 내부의 악취 누출방지시설
KR20190128793A (ko) 맨홀용 악취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