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814A -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814A
KR20230082814A KR1020210170640A KR20210170640A KR20230082814A KR 20230082814 A KR20230082814 A KR 20230082814A KR 1020210170640 A KR1020210170640 A KR 1020210170640A KR 20210170640 A KR20210170640 A KR 20210170640A KR 20230082814 A KR20230082814 A KR 20230082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housing
drain
blocking
odo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준
Original Assignee
이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준 filed Critical 이민준
Priority to KR102021017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814A/ko
Publication of KR2023008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정지상태에서 악취를 차단하고 회전함으로써 유수를 배출하는 악취차단부제를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덮개 없이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Sewer Odor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배수구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수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별도의 덮개 없이 배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구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측면에는 강우 시 도로의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우수 배수구가 형성되고, 우수 배수구는 배수로나 하수구와 연결되어 빗물을 정수로 또는 하천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우수 배수구로는 빗물, 빗물과 같이 유입되는 토사, 잡물을 하수구로 배출하고 있으며, 우수 배수구에는 빗물 등에 의해 함께 쓸려오는 주위의 나뭇잎이나 비닐 등의 비교적 큰 잡물의 유입을 걸러 주기 위한 스틸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종래의 모든 우수 배수구 구조물은 대체로 강우 시 노면에 흐르는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기능만을 주로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우수 배수구 구조물은 대부분이 상부 유입구 측이 넓게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고, 노면과 접하는 상부 유입구 측에 격자상의 스틸 그레이팅 만을 가설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배수로나 하수구와 연통되는 상부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날파리 등의 각종 해충, 노폐물 또는 퇴적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가 우수 배수구 구조물을 통하여 지상으로 누출되어 도로 주변 환경을 악취나 해충으로 오염시키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이나 통행자 등에 불쾌감을 유발하고, 특히, 장마철 또는 기온이 높은 계절에 더욱 심하게 나타나 심각한 환경 위생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 때문에 배수구 주변 거주자들이나 상인들은 이러한 악취나 해충을 차단하기 위해 뚜껑이나 덮개를 스틸 그레이팅의 상부에 덮게 된다.
그러나, 덮개는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악취로 인해 막아놓은 덮개 때문에 우천 시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해 도로가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 실용 신안 20-0417611
본 발명은 별도의 덮개 없이 악취 및 해충을 차단하는 배수구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차단장치는 일측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유입된 상기 유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상기 유수를 배출하며, 정지상태에서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이 상기 악취차단부재;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악취차단부재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유입된 상기 유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차단막은, 끝단이 연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차단막은, 각각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차단막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덮개 없이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차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차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악취차단부재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차단장치(1)는 일측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10) 및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유입된 유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하우징의 타측으로 유수를 배출하며, 정지상태에서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2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차단장치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은 일측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은 장착되는 배수구의 형상에 맞도록 원통형, 다각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기존 배수구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는 도면상에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배출구(12)보다 높은 위치상의 모든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악취차단부재(20)는 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유입구(11)를 통해서 유입된 유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0)의 배출구(12)로 유수를 배출하며, 정지상태에서 악취를 차단한다.
도 3은 도 1의 악취차단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악취차단부재(20)는 회전축(21) 및 회전축(21)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차단막(22)을 포함한다.
악취차단부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회전축(21)은 하우징(10)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다. 회전축(21)은 차단막(22)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차단막(22)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일단이 회전축에 지지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차단막(22)은 정지 상태일 때 악취를 차단하고, 유입된 유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유수를 배출한다. 차단막(22)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연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22)의 끝단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22)은 각각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22)은 회전축(21)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짝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개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차단막(22)은 유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의 하우징(10)은 차단막(22)이 악취를 차단하도록 내측면이 차단막(22)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측면은 차단막(22)이 어느 각도에서나 악취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인접한 두 차단막(22)끝단의 호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걸림턱
20 : 악취차단부재
21 : 회전축
22 : 차단막

Claims (6)

  1. 배수구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유입된 상기 유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상기 유수를 배출하며, 정지상태에서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2.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이 상기 악취차단부재;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부재는,
    회전축; 및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악취를 차단하며, 유입된 상기 유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수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차단막;
    을 포함하는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끝단이 연질로 제공되는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악취차단장치.
KR1020210170640A 2021-12-02 2021-12-02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KR20230082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40A KR20230082814A (ko) 2021-12-02 2021-12-02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40A KR20230082814A (ko) 2021-12-02 2021-12-02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814A true KR20230082814A (ko) 2023-06-09

Family

ID=8676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640A KR20230082814A (ko) 2021-12-02 2021-12-02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8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11Y1 (ko) 2006-03-16 2006-06-02 조원대 배수구 악취 방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11Y1 (ko) 2006-03-16 2006-06-02 조원대 배수구 악취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US8945375B2 (en) Fluid flow control and debris intercepting apparatus
KR100827566B1 (ko)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KR100714488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0825374B1 (ko) 그레이팅 개폐장치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KR20230082814A (ko) 배수구 악취차단장치
KR20110025595A (ko) 개폐식 배수구 덮개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120040805A (ko) 맨홀의 하수역류 방지장치
KR200351993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JP2004285649A (ja) 雨水ます
KR101704347B1 (ko) 빗물받이용 다단 악취 차단시스템
KR101849023B1 (ko)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KR100923020B1 (ko) 하수 배출 장치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100996921B1 (ko) 하수로의 수문개방 지연장치
KR101742189B1 (ko) 이물질 유입 차단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부재를 갖춘 맨홀 뚜껑
KR100535692B1 (ko) 역류방지용 집수정
KR200416119Y1 (ko) 트랜치 커버용 악취방지구조.
KR20130054814A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0385205Y1 (ko) 하수도 악취방지장치
KR200265515Y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