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047B1 -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047B1
KR100611047B1 KR1020040075646A KR20040075646A KR100611047B1 KR 100611047 B1 KR100611047 B1 KR 100611047B1 KR 1020040075646 A KR1020040075646 A KR 1020040075646A KR 20040075646 A KR20040075646 A KR 20040075646A KR 100611047 B1 KR100611047 B1 KR 10061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ain
rain gutter
support frame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778A (ko
Inventor
안계훈
Original Assignee
안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계훈 filed Critical 안계훈
Priority to KR102004007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0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설비와 연결된 배수구상에 설치되는 빗물받이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덮개의 일 측단을 덮개 지지프레임에 힌지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열려 질 수 있도록 구성하되 덮개 지지프레임의 하방으로 지지 브라켓을 두고 이에 유입되는 빗물의 낙차로 인한 수압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전동시킬 수 있는 바스켓을 가진 작동구를 회동 가능하게 축설하되 바스켓에 연장 구성한 작동레버의 단부에는 덮개의 저면에 구성되는 승강 가이드봉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시켜주도록 한 것으로, 일정량 이상의 빗물이 빗물받이로 유입되면 낙하되는 빗물의 중량과 수압이 바스켓에 작동되도록 하여 작동구가 하향 회동되면서 반대 측의 승강 가이드봉을 상승시켜 덮개의 자유단을 일정 높이만큼 지면에서 열려질 수 있도록 하여 빗물받이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통수(通水) 면적의 증가로 인한 빗물의 유입을 원활히 할 수 있음은 물론 덮개로의 이물질 흡착율을 감소할 수 있으며, 빗물 유입량의 감소 시 자동으로 하강되어 빗물받이를 덮어줄 수 있도록 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고, 덮개의 일측만이 비스듬히 열려진 상태로 빗물받이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매우 안전성있게 원활한 통수와 배수작용이 되게 한 것이다.
빗물받이, 배수구, 덮개, 바스켓, 작동구, 승강 가이드봉

Description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the cover for rain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덮개가 하강되어 배수구를 덮은 상태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가 상승되어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덮개 지지프레임 2:지지 프레임
3:덮개 3':통공
3A:힌지 브라켓 3B:힌지축
4:승강 가이드봉 4A:체결공
5:작동구 5A:결속돌기
5B:작동레버 5C,5C':1, 2차 수압 작동부
5D:바스켓 5D':배수공
6:경사면 6':경사부
7:이물질 커버
본 발명은 하수설비와 연결된 배수구상에 설치되는 빗물받이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덮개의 일 측단을 덮개 지지프레임에 힌지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열려 질 수 있도록 구성하되 덮개 지지프레임의 하방으로 지지 브라켓을 두고 이에 유입되는 빗물의 낙차로 인한 수압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전동시킬 수 있는 바스켓을 가진 작동구를 회동 가능하게 축설하되 바스켓에 연장 구성한 작동레버의 단부에는 덮개의 저면에 구성되는 승강 가이드봉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시켜주도록 한 것으로,
일정량 이상의 빗물이 빗물받이로 유입되면 낙하되는 빗물의 중량과 수압이 바스켓에 작동되도록 하여 작동구가 하향 회동되면서 반대 측의 승강 가이드봉을 상승시켜 덮개의 자유단을 일정 높이만큼 지면에서 열려질 수 있도록 하여 빗물받이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통수(通水) 면적의 증가로 인한 빗물의 유입을 원활히 할 수 있음은 물론 덮개로의 이물질 흡착율을 감소할 수 있으며, 빗물 유입량의 감소 시 자동으로 하강되어 빗물받이를 덮어줄 수 있도록 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고, 덮개의 일측만이 비스듬히 열려진 상태로 빗물받이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사고나 보행자의 실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변에는 지중에 배수로를 매몰하여 설치하고 배수구를 설치하므로써 빗물 등의 집수하여 별도의 처리장소로 배출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배수구는 배수구 상에는 하수설비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배수구 빗물받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빗물받이의 입구에는 착탈 가능하게 커버를 적용시켜 차량 및 보행인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빗물의 원활한 배수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수구 빗물받이의 기존 구조는 사각 틀 형태의 덮개 지지프레임과 상기 덮개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되 노면의 빗물을 유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격자형태의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존의 빗물받이는 배수구 상에 지면과 동일높이로 덮개 지지프레임을 매립 설치하고, 그 상부에 커버를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한편 집중 호우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침수피해의 대부분은 배수관로의 통수 단면적 부족으로 인한 침수보다는 빗물 유입관로에 침착되는 유수방해 물질로 인한 배수불량이 주원인으로써, 유수방해 물질로는 배수관로내의 침사 퇴적물과 활엽수종의 낙엽 등이 빗물유입부에 흡착됨으로 인한 빗물유입부의 통수단면적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써, 상기한 기존의 빗물받이 커버는 단순히 덮개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어서 빗물이나 하수 등과 함께 부피가 비교적 작은 낙엽이나 각종 쓰레기 등과 같은 오물이 유입되어 적층되어 통공을 막아주게 됨으로써 배수를 지연하거나 어렵게 하여 침수피해를 유발하게 되었으며 이를 방지하 기 위해 하수도 관리자는 폭우 발생시 저지대 지역에 설치된 빗물받이의 덮개를 인력을 이용하여 빗물받이에서 분리시켜 낙엽 등에 의한 빗물소통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덮개를 열어 놓는 경우 빗물의 배수는 원활히 할 수 있으나 대량의 강우 시 빗물받이가 빗물에 잠겨 보행인이나 운전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빗물받이에 빠져 인체의 부상이나 차량의 파손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강우의 종료 시 일일이 열어 놓은 빗물받이 뚜껑을 다시 제자리에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기존의 덮개 지지프레임은 외연부의 턱과 바닥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이에 결합되는 덮개의 가장자리 또한 직각을 이루는 구성이어서 이물질이 빗물받이 내로 원활히 유입되지 못하고 덮개 지지프레임의 입구에 걸려 적층되는 것으로, 이로인해 분리된 덮개를 다시 결합할 때는 일일이 이물질을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빗물받이에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낙엽 등이 빗물받이 덮개에 흡착되어 배수를 저해하는 요인과 빗물받이 덮개의 제거 시 발생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빗물받이 덮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빗물받이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받이에 노면수가 일정량 이상으로 유 입되면 덮개가 자동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빗물받이 주변의 낙엽 등의 이물질이 덮개에 흡착되지 않고 빗물받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빗물받이로의 빗물유입이 원활하도록 함과 아울러 빗물 유입량의 감소 시 자동으로 하강되어 빗물받이를 덮어줄 수 있도록 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고, 덮개가 수직으로 들려 올려진 상태로 빗물받이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사고나 보행자의 실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빗물받이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덮개의 일 측단을 덮개 지지프레임에 힌지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열려 질 수 있도록 구성하되 덮개 지지프레임의 하방으로 지지 브라켓을 두고 이에 유입되는 빗물의 낙차로 인한 수압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전동시킬 수 있는 바스켓을 가진 작동구를 회동 가능하게 축설하되 바스켓에 연장 구성한 작동레버의 단부에는 덮개의 저면에 구성되는 승강 가이드봉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시켜주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덮개가 하강되어 배수구를 덮은 상태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가 상승되어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를 보 이는 것으로,
사각 틀 형태의 덮개 지지프레임(1)의 저면에 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며 단부에 결속공(2A)을 구비하는 지지 브라켓(2)과 내면에는 가이드봉 지지구(2B)를 형성함과;
상기 덮개 지지프레임(1)의 일측단에 천공되는 힌지공(3C)에 힌지축(3B)과 힌지 브라켓(3A)을 통해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다수의 격자상의 통공(3')을 구비하는 덮개(3)와;
상기 덮개(3)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에는 체결공(4A)을 구비하며 호형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승강 가이드봉(4)과;
상기 지지 브라켓(2)의 결속공(2A)에 결합되는 결속돌기(5A)와, 상기 승강 가이드봉(4)의 체결공(4A)과 결속되는 작동레버(5B)와, 빗물의 낙차로 인한 수압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전동시키며 1, 2차 수압작동부(5C)(5C')와 담겨지는 빗물의 자연적인 배수를 위해 다수의 배수공(5D')을 구비하는 바스켓(5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동구(5)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 지지프레임(1) 중 일측 단부와 양 측면 및 이에 대응되게 접하는 덮개(2)의 3면에는 내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경사면(6)과 경사부(6')를 두어 덮개 지지프레임(1)의 연부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고 슬립 되어 빗물받이의 내부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덮개(3)하강시 지지프레임(1)에 안착되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덮개(2)의 힌지 브라켓(3A)이 위치되는 덮개 지지프레임(1)의 타측단에는 이물질 커버(7)를 구성하여 회동되는 작동 부위를 외부로부터 은폐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의 개선과 구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바스켓(5D)의 상부면에 망과 같은 여과체를 설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덮개(2)가 하강되어 빗물받이를 덮고 있는 상태로서,
상기 덮개 지지프레임(1)의 경사면(6)과 덮개(3)의 경사부(6')는 상호 안정된 상태로 면접되어 있게 되며, 덮개(3)에 설치된 호형의 승강 가이드봉(4)의 체결공(4A)은 작동레버(5B)의 외측단에 유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결속돌기(5A)는 덮개지지 프레임(1)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2)의 결속공(2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레버(5B)의 내측에는 바스켓(5D)이 일체로 형성되어 유입 낙하되는 빗물의 초기 수압을 최적으로 받아줄 수 있도록 1 수압작동부(5C)가 입구 측을 향하도록 횡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침수피해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적은 강우량인 경우에는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빗물이 커버(3)의 통공(3')을 통해 유입되어 바스켓(5D)의 1차 수압작동부(5C)로 작동되더라도 낙차에 의한 수압이 커버(3)자체의 중량을 능가할 정도의 힘을 갖지 못하여 작동구(5)를 회동시키지 못하게 되며 바스켓(5D)내의 빗물은 배수공(5D')을 통해 바로 배출되게 되어 악취나 부식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침수피해가 발생될 정도의 폭우가 발생되어 대량의 빗물이 빗물받이로 유입되어 빗물이 배수공(5D')유출수량보다 급격히 많아지게 되면 바스켓(5D)에 담겨지는 빗물의 하중과 빗물의 낙차 수압이 동시에 바스켓(5D)의 1차 수압작동부(5C)에 고스란히 작용하게 되어 커버(3)의 중력을 극복하고 결속돌기(5A)를 중심으로 바스켓(5D)이 도 3에서와 같이 밑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2차 수압작동부(5C')는 세워져 있게 됨으로 빗물의 초기 유입 시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바스켓(5D)과 일체로 구성된 작동레버(5B)는 반대로 상승하면서 외측단에 연결된 승강 가이드봉(4)을 위로 올려 덮개(3)가 힌지축(3B)을 중심으로 위로 회동되어 덮개지지프레임(1)에서 일정 각도 만큼 열려지면서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빗물받이의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작동구(5)가 회동되어 커버(3)가 최대한 열려지면 1차 수압작동부(5C)가 세워지게 되어 수압이 작용하지 못하게 되고 대신 2차 수압작동부(5C')가 횡으로 위치되어 전적으로 수압을 받게 되는 것으로 작동구(5)는 하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커버(3)의 열려진 상태를 지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빗물받이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되면 통수(通水) 면적의 증가와 이물질이 덮개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빗물받이로 유입되어 빗물의 유입과 배수가 원활하게 되며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빗물이 입구의 측면은 물론 상부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것이므로 빗물의 측면 수압과 유속을 감소할 수 있어 이물질의 부착률을 감 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강우가 중단내지 감소하여 빗물받이로의 빗물 유입량이 감소되면 감소된 수압이 커버(3)는 자체 중량을 이기지 못하게 되어 결국 승강가이드봉(4)이 작동레버(5B)를 서서히 밑으로 눌러 작동구(5)가 서서히 도 2의 초기와 같은 위치로 복귀되어 눕혀지게 되고 커버(2)는 초기와 같이 덮개지지프레임(1)으로 내려 앉아 덮여 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정량 이상의 유수가 빗물받이로 유입되면 자동적으로 덮개를 일정 높이만큼 지면에서 열어 빗물받이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통수(通水) 면적의 증가로 인한 빗물의 유입과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음은 물론 덮개에의 이물질 부착율을 감소할 수 있으며, 빗물 유입량의 감소 시 자동으로 하강되어 빗물받이를 덮어줄 수 있도록 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되며, 덮개가 수직으로 들려 올려진 상태로 빗물받이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사고나 보행자의 실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사각 틀 형태의 덮개 지지프레임(1)의 저면에 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며 단부에 결속공(2A)을 구비하는 지지 브라켓(2)과;
    상기 덮개 지지프레임(1)의 일측단에 천공되는 힌지공(3C)에 힌지축(3B)과 힌지 브라켓(3A)을 통해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덮개(3)와;
    상기 덮개(3)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지지구(2B)에 끼워지며 하단에는 체결공(4A)을 구비하고 호형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승강 가이드봉(4)과;
    상기 지지 브라켓(2)의 결속공(2A)에 결합되는 결속돌기(5A)와, 상기 승강 가이드봉(4)의 체결공(4A)과 결속되는 작동레버(5B)와, 빗물의 낙차로 인한 수압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전동시키며 1, 2차 수압작동부(5C)(5C')와 담겨지는 빗물의 자연적인 배수를 위해 다수의 배수공(5D')을 구비하는 바스켓(5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동구(5)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지지프레임(1)의 일측 단부와 이에 대응되게 접하는 덮개(2)의 자유단 내면에는 내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경사면(6)과 경사부(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지지프레임(1)의 타측 단부에는 덮개의 힌지 브라켓(3A)을 은폐 보호할 수 있는 이물질 커버(7)를 일체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KR1020040075646A 2004-09-21 2004-09-21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KR10061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646A KR100611047B1 (ko) 2004-09-21 2004-09-21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646A KR100611047B1 (ko) 2004-09-21 2004-09-21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778A KR20060026778A (ko) 2006-03-24
KR100611047B1 true KR100611047B1 (ko) 2006-08-10

Family

ID=3713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646A KR100611047B1 (ko) 2004-09-21 2004-09-21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0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15B1 (ko) 2007-02-20 2007-12-03 김수선 오물수거 버켓이 설치된 빗물받이 블럭
KR100911440B1 (ko) * 2008-12-30 2009-08-11 오웅배 악취방지용 배수로 덮개
KR101128069B1 (ko) 2011-10-20 2012-03-28 주식회사 삼안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KR101133441B1 (ko) 2010-05-17 2012-04-09 고재용 도로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KR102378660B1 (ko) * 2021-06-30 2022-03-24 심병섭 폭우 대비 도로 배수시설용 빗물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941B1 (ko) * 2009-11-25 2012-03-27 정균 악취 역류 방지장치
CN102127929B (zh) * 2011-02-17 2013-05-01 镇江东方生物工程设备技术有限责任公司 雨水井格栅清理装置
CN102797288A (zh) * 2012-08-30 2012-11-28 沈润泽 新型排水装置及工作方法
CN104060680B (zh) * 2014-06-30 2015-08-19 东南大学 一种旋转式自开关窨井盖
KR101646902B1 (ko) * 2015-11-10 2016-08-09 주식회사 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CN106677223A (zh) * 2017-03-06 2017-05-17 成都飞航沛腾科技有限公司 一种防盗市政井盖
JP6425316B2 (ja) * 2017-03-10 2018-11-21 有限会社ポラリス グレーチング
CN108487422B (zh) * 2018-04-08 2020-04-21 浙江中用市政园林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排水结构
CN109695285B (zh) * 2018-12-19 2020-10-09 长安大学 一种自动增排泄洪及防冲走下水道井盖
CN110499816A (zh) * 2019-08-24 2019-11-26 浙江诚通市政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井的连接结构及施工方法
CN110593383A (zh) * 2019-09-25 2019-12-20 南昌大学 一种一体化杠杆式自动开合雨水口截污装置
CN110700389A (zh) * 2019-10-20 2020-01-17 荆门银鱼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下水道井盖
CN111945858A (zh) * 2020-08-12 2020-11-17 喆祥(杭州)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快速漏水防臭地漏芯
CN112196064B (zh) * 2020-09-27 2022-02-08 瑞安市凯宇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用积水疏导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09800B (zh) * 2020-12-17 2022-03-08 广东港丰建设有限公司 一种管沟井盖和市政道路一体化结构
CN113216362B (zh) * 2021-04-19 2022-12-02 长安大学 一种自动调节及清理的雨水口系统及其应用方法
CN115434410B (zh) * 2022-11-09 2023-02-10 北京建筑大学 一种通过水力自动升降排除涝水的安全雨水口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15B1 (ko) 2007-02-20 2007-12-03 김수선 오물수거 버켓이 설치된 빗물받이 블럭
KR100911440B1 (ko) * 2008-12-30 2009-08-11 오웅배 악취방지용 배수로 덮개
KR101133441B1 (ko) 2010-05-17 2012-04-09 고재용 도로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KR101128069B1 (ko) 2011-10-20 2012-03-28 주식회사 삼안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KR102378660B1 (ko) * 2021-06-30 2022-03-24 심병섭 폭우 대비 도로 배수시설용 빗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778A (ko) 200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047B1 (ko) 자동 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US10724224B2 (en) Storm drain grate an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US8557109B1 (en) Drain cover for generally open flat drainage areas with debris blockage and open drainage portions
KR101652055B1 (ko) 우수받이
KR102262405B1 (ko) 우수 배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20090007395U (ko)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KR20090014689A (ko) 맨홀 커버장치
EP2685016A1 (en) Shut-off device and drain with such a device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KR20190139420A (ko) 오물투척방지용 자동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JPH10140592A (ja) 換気孔の雨水流入防止装置
KR20130024339A (ko) 우수 맨홀 커버
KR200249093Y1 (ko)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JP3286267B2 (ja) 排水溝用自洗装置
EP4198217A1 (en) Waste collection device for drain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220122061A (ko)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KR102669508B1 (ko) 우수용 악취 제거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100877703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KR102368996B1 (ko) 배수용 그레이팅 방충망
CN216276092U (zh) 一种园林景观设计用雨水口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